남양유업-피해대리점協, 협상타결…사태 일단락(종합2보)

posted Jul 18,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동선언문 교환하는 남양유업-대리점협의회
공동선언문 교환하는 남양유업-대리점협의회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웅 남양유업 대표와 이창섭 피해대리점협의회 회장이 18일 서울 중구 중림동 LW컨벤션에서 서명한 '남양유업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선언문'을 교환하고 있다. 2013.7.18 hihong@yna.co.kr

 

 

'중재기구' 구성해 2개월 안에 배상액 산정

 

불공정거래 원천차단, 상생委 설치, 영업권 회복에 합의

 

 

(서울=연합뉴스) 김상훈 임은진 설승은 기자 = '갑(甲)의 횡포' 논란을 촉발한 남양유업 사태가 일단락됐다.

 

남양유업과 남양유업 피해대리점협의회는 18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품 밀어내기로 피해 보상 등에 관한 협상타결을 알렸다.

 

이로써 지난 5월 초 폭언과 밀어내기 관련 음성파일이 공개되면서 '갑(甲)의 횡포'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남양유업 사태는 마무리됐다.

 

이날 협상 타결 식에는 김웅 남양유업 대표, 이창섭 피해대리점협의회 회장, 김한길 대표 등 민주당 의원들이 참석했다.

 

양측이 서명한 협상안에는 ▲ 피해보상기구에서의 실질 피해액 산정·보상 ▲불공정거래 행위 원천 차단 ▲ 상생위원회 설치 ▲ 대리점 영업권 회복 등이 포함됐다.

 

양측은 우선 피해보상을 논의하기 위한 기구로 사측, 피해대리점주, 양측 변호사가 공동 추천한 외부 전문가 1명씩이 참여하는 '배상중재기구'를 한 달 안에 구성하기로 했다.

 

인사말 하는 남양유업 김웅 대표
인사말 하는 남양유업 김웅 대표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웅 남양유업 대표가 18일 서울 중구 중림동 LW컨벤션에서 피해대리점협의회 측과 서명한 '남양유업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선언문'을 교환하기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3.7.18 hihong@yna.co.kr

 

 

중재기구에서 논의, 적어도 두 달 안에는 보상액을 산정하기로 했다. 물량 밀어내기 피해분을 2008년 1월 1일부터 지난해 말까지만 포함하기로 했다. 피해발생 여부 입증이 어려운 경우 해당 대리점의 평균 매입물량, 영업기간 등을 고려해 산정하기로 했다.

또 피해 대리점주의 영업권을 조속히 회복시키고 '상생위원회'를 설치해 상생방안을 적극 모색하기로 했다.

 

아울러 협의회 측은 협상 타결에 따라 남양유업의 모든 임직원의 고소·고발도 취하하기로 했다.

 

양측은 이날 남양유업 정상화를 위한 공동선언문도 채택했다.

 

이들은 공동선언문에서 물의를 빚은 점을 사죄하고 상생 모델로 거듭날 것을 약속하는 한편 제품을 다시 구매해 대리점과 회사를 살려달라고 국민에게 호소했다.

 

이창섭 피해대리점협회 대표는 "우리 피해 대리점의 인식 변화가 지금 이 자리에서 시작된 것 같다"며 "그동안 도움을 준 국민께 감사한다"고 말했다.

 

남양유업-대리점협의회 협상 타결
남양유업-대리점협의회 협상 타결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웅 남양유업 대표(가운데 왼쪽)와 이창섭 피해대리점협의회 회장이 18일 서울 중구 중림동 LW컨벤션에서 서명한 '남양유업 정상화를 위한 공동 선언문'을 교환한 뒤 악수하고 있다. 2013.7.18 hihong@yna.co.kr

 

그는 "이 자리가 고통받는 국민의 눈물을 멎게 하는 첫 걸음이 되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대표는 "남양유업이 모범된 상생기업으로 거듭나고 매출을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남양유업의 분노를 거두고 응원해 주시기를 국민에게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김웅 남양유업 대표는 "국민 여러분이 경종을 울려준 점을 잊지 않고 낡은 관행을 뿌리 뽑아 업계에서 가장 좋은 대리점 환경을 만들 것"이라며 "상생협력의 모범기업으로 거듭날 것인 만큼 남양유업 대리점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한 번 더 기회를 달라"고 호소했다.

 

양측은 지난 5월 21일 교섭을 시작해 타결 목전까지 갔지만 진정성 공방과 피해 보상금 규모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파행을 거듭했다. 일부 피해 대리점주들은 지난달 조속한 협상 타결을 촉구하며 삭발 및 단식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불매운동과 기업 이미지 실추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의 남양유업 매출은 대폭 감소했다.

 

한편 협상 타결로 남양유업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피해보상액 산정이라는 숙제를 잘 풀어갈 수 있을 지가 관건으로 남았다.

meolakim@yna.co.kr

engine@yna.co.kr

se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7/18 11:27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