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정보 넘어가는 의혹있는 중국산 드론, 해수부 및 산하기관 대부분 사용

posted Oct 04,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가보안정보 넘어가는 의혹있는 중국산 드론, 해수부 및 산하기관 대부분 사용

- 중국산 DJI사 드론, 2017년 미육군 사용금지 지정 -

- 미국 국토안보부 지난 5월 드론 비행기록 중국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는 우려 발표 -

- 해양경찰청, 항만공사 등 대분분의 기관에서 중국 DJI사 드론 사용 -

- 정보 보안에 대한 검증 없이 민간 드론판매업체에서 구매 -


cf12f419cf4234167701b7ef6a4fbbff_1570190104_502.jpg
 


드론 사용 시 노출되는 각종 위치정보 음성정보 비행정보가 중국에 넘어갈 수 있다는 의혹이 있는 드론이 해양수산부 및 산하기관 등에서 아무런 검증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해운대을)이 해양수산부 및 산하기관으로부터 제출받은 ‘보유드론 현황’ 자료에 의하면 중국 DJI 사에서 생산하는 드론이 해수부 및 해양경찰청, 항만공사, 해양환경공단 등 다수의 기관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DJI사는 전세계적으로 드론 생산 및 점유율에서 가장 높은 사용을 보이고 있는 업체이지만, 지난 2017년 미육군은 DJI사의 드론이 네트워크/사이버 취약성이 높기 때문에, DJI 무인항공기와 DJI전자시스템이 적용된 전자제품 이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플라이트컴퓨터(비행기에 내장된 컴퓨터 장치), 카메라, 라디오, 배터리, 속도조절계, GPS장치, 휴대용 장치, 혹은 DJI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에 대하여 사용을 금지한다는 발표를 했다.


cf12f419cf4234167701b7ef6a4fbbff_1570190119_0206.JPG



cf12f419cf4234167701b7ef6a4fbbff_1570190261_3395.JPG

또한 지난 5월에서는 미국 국토안보부에서 "국외 독재국가의 통제 또는 영향력 아래 운영되는 회사들이 제조하거나 판매하는 드론을 사용할 경우 잠재적으로 정보가 수집되거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물론 이에 대하여 중국 DJI 사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론을 취하고 있으나, 최근에 미국정부가 요구하는 수준의 제품을 미국현지에서 직접 생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 


이런 정보 보안성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 및 산하기관에서는 중국 DJI사의 제품사용이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f12f419cf4234167701b7ef6a4fbbff_1570190154_8662.jpg
 


부처와 기관 드론 보유 현황을 보면 대부분의 기관이 특별한 용도의 드론 이외에 일반적인 드론의 경우 대부분 중국 DJI사의 드론을 사용하고 있었다.


더욱이 해양경찰청 및 항만공사의 경우 국내 보안 및 안보시설에 대한 관리를 하는 주체로서 만약 DJI사의 드론으로 촬영을 했을 경우 국내 보안시설의 위치 정보등의 기록이 고스란히 중국 업체에 넘어갔을 우려가 남아있다. 


이런 의혹에도 불구하고 해양수산부와 해양경찰청 등 정부기관은 이에 대한 아무런 정보보안에 대한 검증을 따로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해당 드론들은 정부가 일괄적으로 구매하는 것이 아닌 부처와 기관이 자체적으로 예산을 받아 민간 사설업체에서 구매하여 그대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런 정보 보안 검증이 매우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윤준호 국회의원은 “4차산업 시대에서 드론을 이용한 산업 활성화 및 업무활용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그에 앞서 국내 국가 중요 보안시설의 정보가 중국의 사설업체 서버에 그대로 넘어간다는 것은 매우 우려되는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특히나 중국 DJI 사의 제품은 국내에서도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드론 제품이기 때문에 이런 보안 취약성이 드러난다면, 이는 국내의 국가정보가 고스란히 중국에 넘어 갈수 있다고 본다.”고 말하며 “이는 해수부 차원이 아닌 정부가 앞장서서 중국산 드론제품에 대한 보안 안전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라고 말했다.


스포츠닷컴 유규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