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질병관리 정책세미나

posted Sep 15,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남구 기자/스포츠닷컴]

 

야생동물 질병관리 정책세미나

 

2014. 9. 15 오후2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는 환경부와 광주광역시가 주최하고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주관한 ‘야생동물 질병관리 정책세미나’가 열렸다.

 

주제발표에 나선 Tomoko Ishibashi 아시아태평양지역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부소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야생동물의 질병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야생동물의 질병은 야생동물의 개체군뿐 아니라 사람 그리고 가축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것은 최근 들어 전 세계적인 무역의 증가 그리고 지구온난화와 함께 인간과 동물사이에 공유하는 신종질병들이 증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더욱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야생동물에 존재하는 질병- 그리고 이러한 질병의 야생동물, 가축 그리고 인간에 대한 영향을 포함하여-은 신종질병 관리 방안을 개발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열쇠 중의 하나이다.

 

야생동물과 가축의 질병에 관한 지식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긴급하고 절대적인 수요에 대응하고자 OIE는 ‘육상동물 건강기준’에 야생동물의 특정 주요 질병을 다루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야생동물의 질병에 대한 예찰의 중요성은 가축에 대한 예찰과 동일한 정도로 인식되어야 한다.

야생동물은 질병의 조기경보 기제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는 가축의 질병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말했다.

 

두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Jonathan Sleeman 미국지질조사국 야생동물보호센타 원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날이 갈수록 신종감염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중 사람, 야생동물, 생태계의 건강을 위협하는 많은 질병들이 야생동물에서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신종질병들은 흔히 국가의 공중보건체계의 부담을 증가시키며 경제적인 손실을 야기하고 야생동물 집단의 감소 그리고 그에 따른 생태적인 문제들을 일으키는 등,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결과를 가져온다.

 

더 나아가 야생동물 개체군들은 환경오염물질의 치사적 또는 비치사적 영향, 유전적 다양성의 감소, 서식지 손실 등에 의한 집단의 재생력 저하로 인해 질병의 영향에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

야생동물 보건 분야에서 국가의 역량은 이러한 위협요소들에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국가적인 역량에는 새로운 과학적 기술을 응용하는 방안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병원체 탐지를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과 같은 분자진단기술-질병의 분포, 동태. 역량을 파악하고 야생동물에 대한 위협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도구를 제공하는 새로운 분석 모델- 백신과 같은 야생동물 질병 관리를 위한 도구개발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역량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인프라와 더불어 ‘One Health' 접근법이 필요하다.

‘One Health' 접근법은 운영관리 능력과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포함하며, 이는 사람, 동물, 생태계 건강을 위한 이상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 기본계획안의 주요기능으로 야생동물 질병의 예찰과 감시이다.

그리고 수 . 출입 야생동물 검역 지원과 야생동물 관리기관 질병관리 협력, 야생동물 질병 대응 체계 구축 및 신속대응팀 운영 그리고 야생동물 질병 대응법 및 백신 개발이다.

 

야생동물과 생태계의 건강과 질병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을 목표로 야생동물 질병 전파 경로 및 예측 모델링 연구와 야생동물 숙주에서의 병원체 생태연구 그리고 종 특이적 병원체 감수성 평가 및 병원소종 규명과 야생동물 질병 진단기법 및 매뉴얼 개발이다.

 

끝으로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은 명확하고 정량적인 발전 목표와 지표설정으로 구체적인 발전 로드맵 작성할 것과 조직구성원의 목표의식과 열정을 고양시키는 리더쉽 확보와 단계별, 점진적 발전계획으로 신규 소요예산의 분산 및 부족한 전문인력 양성시간 확보할 것과 국제수준의 과학적 진단 및 연구, 투명한 조직 운영과 소통으로 국민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을 세계 유수의 야생동물 보건 관리 및 연구 전문 기관으로 발전 시킬 목표로 활동을 해야 하기 위해선 대 국민 야생동물 질병 예방 교육 . 홍보 및 소통으로 조직의 필요성 부각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www.newssports25.com

강남구기자 gu0357@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