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北 핵개발 포기하고 평화의 길 나서야"(종합)

posted Jul 27,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묵념하는 박근혜 대통령
묵념하는 박근혜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 정전 60주년 기념식에서 순국선열.호국영령 및 유엔군 전몰 장병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2013.7.27 jeong@yna.co.kr

 

유엔군참전ㆍ정전60주년 기념식 참석…"참전용사 헌신, 역사에 남게 할 것"

 

"DMZ 평화공원은 평화ㆍ통일 출발점…정전협정 당사국 관심ㆍ참여 부탁"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은 '유엔군 참전ㆍ정전 60주년 기념일'인 27일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고 진정한 변화와 평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의 전쟁기념관에서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열린 열린 기념식의 기념사를 통해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한다면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남북한 공동발전의 길을 적극 열어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이제 북한은 핵무기를 포기하고 북한 주민들의 민생과 자유를 책임질 수 있는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 60년간 한반도에는 언제 깨질지 모르는 불안한 평화가 유지돼왔다. 전쟁이 잠시 멈춘 세계 최장의 휴전기간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제 대결과 적대를 멈추고,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어야 한다.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와 희망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확고한 억지력과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로 북한이 도발을 할 생각을 멈추고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일원으로 나오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일관된 원칙과 신뢰를 토대로 북한과 신뢰구축을 위한 대화를 유도하고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중무장지대가 돼버린 비무장지대(DMZ)의 작은 지역에서부터 무기가 사라지고, 평화와 신뢰가 자라나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며 "과거 서로 총부리를 겨눴고, 정전협정을 맺은 당사국들이 함께 국제적 규범과 절차, 그리고 합의에 따라 평화공원을 만든다면 그곳이 바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인사말 하는 박근혜 대통령
인사말 하는 박근혜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유엔군 참전, 정전 60주년 기념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3.7.27 hama@yna.co.kr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올해부터 7월27일을 유엔군 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기 위해 '유엔군 참전의 날'로 지정했다"고 소개한 뒤 "자유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유엔군 참전용사 여러분과 조국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치신 참전유공자의 숭고한 정신은 우리 가슴 속에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며 사의를 표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나라 발전에 언급, "이 놀라운 기적은 국민의 헌신과 노력, 참전용사들이 피와 땀으로 지켜낸 자유와 평화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저는 위대한 우리 국민이 자랑스럽고, 참전용사들의 고귀한 희생의 뜻을 후세에도 널리 알려 그분들의 헌신을 역사에 남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은 존 키 뉴질랜드 총리 등 유엔 참전국 대표 27명과 참전용사 출신인 피델 라모스 전 필리핀 대통령, 제임스 트루먼 등 전현직 유엔군 사령관, 6ㆍ25 파병을 결정한 해리 트루먼 전 미국 대통령 유족 대니얼 클리프턴 트루먼 등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저와 대한민국 국민 모두는 어려웠던 시절 우리를 도운 국제사회의 고마움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에 도움을 주고 세계평화에 기여해서 여러분의 뜻이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드리겠다"고 약속했다.

 

박 대통령은 오찬에 앞서 영국 대표로 방한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사촌동생인 리처드 알렉산더 월터 조지 글로스터 공작을 따로 접견하고 여왕의 친서를 전달받았다.

min22@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