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내수 유출 심각

posted Aug 2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수 유출 심각

 

소득이 늘어도 돈을 쓰지 않는 '흑자형 소비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유독 해외지출만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내수 유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2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내국인이 해외에서 소비한 지출액(거주자 국외소비지출)61527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에 비해 3839억원 증가한 것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772억원이 늘었다. 우리 국민의 해외 소비는 최근 급격히 늘었다. 20111분기 46650억원과 비교하면 최근 4년동안 32%(15000억원)나 해외 지출액이 늘었다.

 

dvs.jpg

 

반면 외국인이 국내에 들어와 지출한 금액(비거주자 국내소비지출)은 지난 1분기 33248억원을 기록했다. 내국인의 해외 사용액과 비교하면 약 28000억원 적자다. 외국인의 국내 지출은 중국 관광객의 국내 지출 증가로 20132분기 처음으로 3조원을 돌파한 이후 정체국면이다. 2013년 하반기 3조원대 밑으로 하락했고 지난해 4분기 38757억원을 정점을 찍었으나 올해 1분기 33000억원대로 주춤한 상태다. 중국인 관광객의 국내 쇼핑 지출이 크게 늘었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들의 해외여행 지출과 해외 직접구매(직구) 가 더 빠르게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전체 소비지출에서 해외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3.7%를 기록했다. 20111분기엔 2.9%에 불과했다. 해외 지출액이 커진 것은 최근 해외직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도 주요 요인이다. 해외직구 시장은 지난해 약 2조원 (155000만달러) 규모로 커졌다. 2013년보다 48.5% 성장한 것이다. 해외여행 수지도 적자폭이 확대되고 있다. 올해 17월 해외 여행객은 108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06만명)보다 19.4% 늘었다. 해외여행은 글로벌 금융위가 같은 급격한 환율 상승기에는 주춤했지만 2012부터 2014년까지는 연평균 8% 대의 꾸준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 올해 17월 외국인 관광객은 7305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798만명)보다 8.5% 줄었다. 올해는 특히 메르스 영향이 있었지만 관광수지 적자는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 올해 16월 관광수지는 227600만달러(27000억원) 적자, 작년에도 171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통계상으로 해외 여행 지출이나 직구도 민간소비로 계산된다. 해외에서 씀씀이가 커지면 겉으로 보기엔 국내소비가 살아난 것 처럼보인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 보면 내수가 유출돼 국내 소비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은 관계자는 "내국인이 외국에서 지출하는 금액 역시 민간소비에 포함되지만 실질적으로 내수 활성화와 국내총생산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해외지출의 이런 이중성 때문에 정부 부처간에도 정책의 방향성에서 혼란이 드러난다. 기획재정부는 직구 활성화를 소비촉진의 한 방편으로 삼고 있다. 올해 세법개정안에서 해외직구 활성화를 위해 소액면세 한도를 150달러로 높였다. 20만원 이상 해외직구 물품의 운송료 과세 기준가를 내려 직구 비용을 줄여주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권맑은샘 기자 

 



  1. 일단 유사시, 시민들 대피소는?

    일단 유사시, 시민들 대피소는?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피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방위대피소는 재래식포탄 또는 핵공격이 발생했을 때 시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설을 말한다. 시민들의 최...
    Date2015.08.24
    Read More
  2. 글로벌 금융시장, “검은 월요일, 대혼란”

    글로벌 금융시장, “검은 월요일, 대혼란” 세계 금융시장이 24일 '검은 월요일'을 맞이했다. 중국 주식시장은 8% 이상 폭락하면서 패닉에 빠졌고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가는 물론 유럽 증시도 급락했다. 중국발 악재에 아시아 신흥국의 통화 가치는 큰 폭으...
    Date2015.08.24
    Read More
  3. 여야, 국가안보 초당적 대처

    여야, 국가안보 초당적 대처 여야는 23일 남북 고위급 접촉에 대해 한목소리로 “회담을 통해 군사적 긴장이 해소되길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전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긴급 여야 대표 회동을 열고 “국가 안보와 국민의 안...
    Date2015.08.24
    Read More
  4. 정부 경제팀도 비상

    정부 경제팀도 비상 정부는 북한의 도발 등으로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주말을 반납하며 대책마련에 나섰다. 남북 고위급 회담이 성사되면서 위기감은 다소 진정됐지만 안심하기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금융, 실물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
    Date2015.08.24
    Read More
  5. 결의에 찬 예비군들, “동원령 떨어지면 싸운다”

    뿔난 예비군들, “동원령 떨어지면 싸운다” 북한군의 포격도발 사건으로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로 치닫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지금 당장이라도 전선으로 나가 싸우겠다는 댓글이 쇄도하고 있다. 최전방 부대에서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키는 현역 ...
    Date2015.08.24
    Read More
  6. 대피령 접경지역 주민들, 피곤하지만 정부 잘따라

    대피령 접경지역 주민들, 피곤하지만 정부 잘따라 대피령이 내려진 접경 지역 주민들은 나흘째 대피소에 머무르며 남북 간 접촉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곶리 대피소에는 주민 약 30여 명이 모여 있다. 이곳에 모인 주민 대부분이 노령인데다, 또 몸...
    Date2015.08.24
    Read More
  7. 내수 유출 심각

    내수 유출 심각 소득이 늘어도 돈을 쓰지 않는 '흑자형 소비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유독 해외지출만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내수 유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2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내국인이 해외에서 소비한 지출액(거...
    Date2015.08.23
    Read More
  8. 국회 의원회관, "날아간 추석연휴“

    국회 의원회관, "날아간 추석연휴“ 여야가 올해 국정감사를 추석연휴를 사이에 두고 '분리실시'키로 하면서 국회 의원회관 곳곳에서 때아닌 볼멘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의정활동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국감 준비를 위해 의원 보좌관들은 일찌감치 휴가를 반...
    Date2015.08.23
    Read More
  9. 경찰, 북도발관련 유언비어 엄정 사법처리 예정

    경찰, 북도발관련 유언비어 엄정 사법처리 예정 경찰이 북한 포격도발과 관련한 유언비어 유포행위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경찰청은 21일 오후 8시께 성명을 통해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유언비어를 유포하는 행위는 북한을 이롭게 하는 이적...
    Date2015.08.21
    Read More
  10. 북도발, 시민들 동요없어

    북도발, 시민들 동요없어 "군과 정부는 급박하게 돌아가는 것 같은데 일반 시민들은 크게 동요하는 것 같지는 않아요. 그동안 북한이 시도 때도 없이 위협발언과 행동을 벌여왔기 때문인지 불안감은 있지만 일상을 바꿀 정도는 아닌 것 같아요." 남북한이 포격...
    Date2015.08.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8 449 450 451 452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