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시리아내전, 미국·터키·사우디·영국·프랑스 vs 러시아·이란 '첨예대립'

posted Oct 0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리아내전, 미국·터키·사우디·영국·프랑스 vs 러시아·이란 '첨예대립'

 

최근 러시아가 시리아 내 반군을 겨냥한 대규모 공습을 개시하자 '시리아 사태'를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 등 주요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가 공습 과정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인 터키 영공까지 침범하면서 각국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졌다. 전 세계적인 현안으로 떠오른 '난민사태'의 진앙인 시리아 문제를 놓고 관련국 간 갈등이 높아진 것은 시리아 사태가 5년간 이어지는 과정에서 시리아 내 세력이 정부군과 반군,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등으로 갈라졌고, 이에 맞춰 이들에 대한 각국의 이해관계도 복잡하게 얽히거나 나눠졌기 때문이다.

 

우선 미국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은 물론 시리아, 이라크 등지에서 세를 넓힌 IS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알아사드 정부에 대항한 반군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영국, 프랑스, 터키 등과 연합군을 형성해 일차로 IS격퇴를 목표로 이라크와 시리아에 대한 공습을 벌이고 있다. 아울러 반군에는 군사훈련과 군사물자를 지원한다. 이에 맞서 러시아는 알아사드 정권을 돕고 있다. 러시아는 중동 사태가 계속된 최근 10여년간 일관되게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해왔다.

 

러시아 역시 겉으로는 IS에 반대한다. IS 세력 내에 러시아 출신들이 수천명가량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황에서 이들이 러시아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서방은 러시아의 '() IS' 입장이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하려는 구실이라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 러시아가 시리아 정부에 대규모 군수물자를 지원하는데다가, 최근 감행한 러시아의 시리아 공습은 러시아 주장과는 달리 IS를 표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시리아 반군을 겨냥한 것이라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ieodh.jpg 

 

미국 주도의 연합군에 편제된 터키는 시리아 반군을 지원한다. 알아사드 정권과 IS는 물론 터키, 시리아 등지에서 활동하는 쿠르드족 반군인 '쿠르드노동자당'(PKK)과는 대립 관계다. 이를 위해 터키는 자국 내 공군기지를 미군 주도 연합군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아울러 지난 6월에는 이라크 북부 지역의 PKK 격퇴를 목표로 지상군도 투입했다. 중동의 맹주를 자처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알아사드 정권 퇴진을 목표로 반군을 지원한다. 특히 러시아의 알아사드 정권을 대놓고 반대한다. 1년 전에는 미국 주도 연합군의 시리아내 IS를 목표로 한 공습에도 참여했다. 또 알아사드 정권 붕괴를 목표로 시리아 반군에 대한 무기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혀왔다.

 

영국은 미국의 입장을 지원하지만 의회내 거센 반대로 적극적으로 시리아 반군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한적으로 이라크 내 IS 격퇴를 목표로 한 연합군의 공습에만 힘을 보태고 있다. 프랑스도 알아사드 정권 퇴진과 IS 격퇴라는 연합군의 입장에 동조해, 최근에는 이라크와 시리아 내 IS 격퇴를 위한 공습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시리아 문제 관련국 가운데 러시아와 보조를 맞춘 곳은 이란이다. 이란 역시 IS에는 반대 입장이지만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지난 5년전부터 일관되게 시리아 정부를 군사·경제적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지원해왔다. 하지만, 시리아에서 IS가 세를 넓혀 알아사드 정권의 입지가 좁아지자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주변에 주둔한 정부군 지원에 집중하고 있다.

 

권맑은샘 기자

 

 



  1. 시리아내전, 미국·터키·사우디·영국·프랑스 vs 러시아·이란 '첨예대립'

    시리아내전, 미국·터키·사우디·영국·프랑스 vs 러시아·이란 '첨예대립' 최근 러시아가 시리아 내 반군을 겨냥한 대규모 공습을 개시하자 '시리아 사태'를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 등 주요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가 공습 과정에서 북대서양조...
    Date2015.10.06
    Read More
  2. 노벨생리의학상 기생충연구, 투유유-캠벨-오무라 공동수상

    노벨생리의학상 기생충연구, 투유유-캠벨-오무라 공동수상 2015년 노벨생리의학상은 말라리아와 같은 기생충으로 인한 전염병 치료약 연구에 헌신한 아일랜드와 일본, 중국의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5일(현지시간) 아일...
    Date2015.10.06
    Read More
  3. 러시아, 사령부포함 IS시설 6곳 폭격

    러시아, 사령부포함 IS시설 6곳 폭격 사흘째 시리아 공습에 나선 러시아가 2일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시설 6곳을 폭격했다고 러시아 국방부가 밝혔다. 이고르 코나센코프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러시아 공군이 총 14차례 출격해 IS의 시설 6곳을 폭...
    Date2015.10.03
    Read More
  4. 독일 등 유럽내 유대인 대상 범죄 계속증가

    독일 등 유럽내 유대인 대상 범죄 계속증가 독일 내에서 유대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독일 내에서 지난해 유대인 대상 범죄가 1596건으로 기록됐다며 이는 2009년 이후 최대...
    Date2015.10.03
    Read More
  5. 미국 오리건 총기난사범 "기독교인만 노려“

    미국 오리건 총기난사범 "기독교인만 노려“ 1일 오전 미국 오리건 주 로즈버그의 엄프콰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벌어진 총기 난사사건 용의자는 26세 남성으로 확인됐다. AP통신과 CNN방송 등 미국 언론들은 이 대학에서 무차별 총격을 가한 용의자의 신원이 크...
    Date2015.10.02
    Read More
  6. 필리핀서 교민 잇단 피살

    필리핀서 교민 잇단 피살 필리핀에서 우리 국민이 피살되는 강력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교민과 관광객의 안전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마닐라 외곽 지역에서 한국인 교민 부부가 총격으로 숨진 것으로 2일 알려지면서 올해 들어 필리핀에서 살해당한 한국인은 1...
    Date2015.10.02
    Read More
  7. 탈레반, 아프간상공 미군 수송기 격추

    탈레반, 아프간상공 미군 수송기 격추 탈레반이 2일 아프가니스탄 상공에서 추락한 미군의 C-130 전술 수송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트위터를 통해 "우리 전사들이 잘랄라바드에서 미국의 항공기를 격추...
    Date2015.10.02
    Read More
  8. 북한 외무상 리수용, "장거리 로켓 발사·핵실험 강행 할것"

    북한 외무상 리수용, "장거리 로켓 발사·핵실험 강행 할것" 북한 외무상 리수용은 1일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위성'이라고 주장해온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핵실험을 실시할 의향을 강력히 내비쳤다. 리수용은 이날 밤 유엔총회에서 행한 일반토론 연설을 통해...
    Date2015.10.02
    Read More
  9. 독일언론, "검찰 아직 전 폭스바겐 그룹회장 수사안해"

    독일언론, "검찰 아직 전 폭스바겐 그룹회장 수사안해" 독일 검찰이 애초 발표와 달리 마르틴 빈터코른 전 폴크스바겐 그룹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수사에 착수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독일 일간지 쥐트도이체차이퉁(SZ)은 1일(현지시간) 폴크스바겐 본사...
    Date2015.10.01
    Read More
  10. 러시아 이틀째 시리아공습, 미국과 `일촉즉발`

    러시아 이틀째 시리아공습, 미국과 `일촉즉발` 시리아 사태를 놓고 글로벌 두 강대국인 미국과 러시아가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에 이어 1일에도 시리아에 대한 공습을 감행했다. 1일 레바논 알마야딘TV는 러시아 전투...
    Date2015.10.0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8 349 350 351 352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