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최영미 시 ‘괴물’과 ‘Me too’ 운동, 네티즌들 괴물에 충격, 문단에 실망

posted Feb 09,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영미 시 괴물‘Me too’ 운동, 네티즌들 괴


물에 충격, 문단에 실망

 

문단 내 성폭력 문제가 불거지며 다수 문인들의 이름이 사람들의 구설에 오르내린 적이 있다. 그 중 일부는 억울하게 누명을 쓰기도, 흐지부지 흘러가버리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서른 잔치는 끝났다의 최영미 시인이 지난해 12월 발행된 황해문학의 겨울호를 통해 문단 내 성폭력 문제를 다시 수면위로 끌어 올렸다. 최영미 시인이 적은 시의 제목은 괴물이다


bfxc.jpg

             최영미 시인


일각에서는 이 시 속 성폭력 가해자 ‘En’이 한 원로 시인을 가리킨다며 추측을 제기했지만, 정작 저자 최영미 시인은 “En은 특정 한 사람이 아니다. 창작활동을 하다보면 사실에 바탕을 뒀더라도 과장되거나 다른 생각들이 덧붙여진다. 성희롱, 성추행을 한 사람은 한 두명이 아니라 수십 명이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최영미 시인은 한 방송 뉴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성희롱, 성추행 한 사람은 한두명이 아니라 수십명이었다. 그런 문화를 방조하고 묵인하는 분위기였다90년대 초반 문단 내 분위기를 곱씹기도 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일종의 도제 제도가남아있는 문단의 분위기상 성폭력에 대해서 암묵적으로 침묵하는 분위기가 있었다는 것이 문학계의 일반적인 평이다.

 

일각에서는 문학을 하는 이들이 활자 뒤에서 추악한 모습을 보이고 이에 대해 침묵해왔다는 것에 충격을 표하는가 하면, 최영미 시인이 내놓은 시를 통한 폭로가 자신의 성폭력 피해 사실을 고백하는 ‘MeToo’캠페인의 일환이라며 피해자들에게 위로가 될 것이라고 감사를 표하고 있다. 한편 최영미 시인의 시 괴물을 접한 이들은 이 시가 현 문학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성폭력의 현주소를 가시적으로 드러내보이고 있다며, 문단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nhcv.jpg


한편, 최영미 시인의 시에 나오는 괴물은 네테즌들 사이에서 고은 시인인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더하고 있고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도 성추행 의혹이 불거진 고은 시인의 시()를 교과서에서 빼야 한다고 주장, 맹비난 했다. 8일 유승민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연석회의에서 현직 여검사의 고발에 이어 최영미 시인이 고은 시인의 성추행을 고발했다이런 사람이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됐다니 대한민국 수치가 될 뻔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고은 시인의 시를 국정 교과서에서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학계에서 권력을 가진 남성 문인이 여성 문인이나 신인 문인에게 성추행·성폭행을 가한 것이 광범위하다면 한국 문학을 대표하는 자들이 인간 자격이 없고 존엄이나 양식이 없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괴물

                                            최영미

 

En선생 옆에 앉지 말라고

문단 초년생인 내게 K시인이 충고했다

젊은 여자만 보면 만지거든.

 

K의 충고를 깜박 잊고 En선생 옆에 앉았다가

Me too

동생에게 빌린 실크 정장 상의가 구겨졌다.

 

몇 년 뒤, 어느 출판사 망년회에서

옆에 앉은 유부녀 편집자를 주무르는 En을 보고,

내가 소리쳤다. “이 교활한 늙은이야!”

감히 삼십년 선배를 들이박고 나는 도망쳤다.

En이 내게 맥주잔이라도 던지면

새로 산 검정색 조끼가 더러워질까봐

코트자락 휘날리며 마포의 음식점을 나왔는데,

 

100권의 시집을 펴낸 “En은 수도꼭지야. 틀면 나오거든

그런데 그 물은 똥물이지 뭐니

(우리끼리 있을 때) 그를 씹은 소설가 박 선생도

En의 몸집이 커져 괴물이 되자 입을 다물었다.

 

자기들이 먹는 물이 똥물인지도 모르는

불쌍한 대중들.

 

노털상 후보로 En의 이름이 거론될 때마다

En이 노털상을 받는 일이 정말 일어난다면,

이 나라를 떠나야지

이런 더러운 세상에서 살고 싶지 않아.

 

괴물을 키운 뒤에 어떻게

괴물을 잡아야 하나.


스포츠닷컴 사회, 문화팀

 











  1. 남북“2차 정상회담” 통일각에서 깜짝 개최

    남북“2차 정상회담” 통일각에서 깜짝 개최     26일 오후 3시에서 5시 사이 판문점 북측지역의 통일각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훈 국정원장과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만을 배석시키고 전격적으로 두 번째 정상회담을 하였...
    Date2018.05.27
    Read More
  2. 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취소 하루만에 개최 가능성 시사

    트럼프 "북미 정상회담" 취소 하루만에 개최 가능성 시사 최선희(북한 외무성 부상)- “펜스”미부통령에 대한 비난 담화.   ⟱ 도널트 트럼프(미국 대통령)- “지금 시점에서 회담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북미 정상회담 최소.   ⟱ 김계관(북한 외무성 제1...
    Date2018.05.26
    Read More
  3. 남-북-미, 반전의 반전 게임, 핵폐기 평화회담

    남-북-미, 반전의 반전 게임, 핵폐기 평화회담 25일(현지시간), 하루만에 다시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서 “북한과 논의, 원래 예정대로 12일에 열릴 수 (수~)있다”며 “수~”를 강조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한반도에 찾아온 비핵화 평화의 무드를 일순간에 변...
    Date2018.05.26
    Read More
  4. 민주노총 “사회적 대화 불참선언” 거센 반발

    민주노총 “사회적 대화 불참선언”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21일 오후1시 부터 집회 금지 장소인 국회 정문 앞에서 정기상여금과 숙식비를 최저임금 산입범위에 포함시키는 데 반대하며 연좌 농성을 벌렸으며 일부 조합원들은 본청 앞 까지 기습 진입하였다.   김...
    Date2018.05.22
    Read More
  5. 韓美압박하는 北 ‘탈북 여종업원 송한 요구’

    韓美압박하는 北 ‘탈북 여종업원 송한 요구’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에 관측용 전망대를 세우는 공사를 시작하고, 원산-길주 열차선로를 정비하며, 폐기 이벤트 행사에 한국기자단을 초청하겠다는 등 핵폐기를 겨냥하는 한미정상 회담의 목표에 제스쳐를 취하...
    Date2018.05.21
    Read More
  6. 2018년 '제9회 어바인 코리안 페스티벌' 성황리 개최

    2018년 '제9회 어바인 코리안 페스티벌'          5월12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바인 시청 광장에서는 한인들이 주축이 되어 매년 하루 개최되는 '제9회 어바인코리안페스티벌'(9th Annual lRVINE KOREAN CULTURAL FESTIVAL)(행사위원장: 윤주원)...
    Date2018.05.13
    Read More
  7. '의원 사직서‘ 처리 계속 진통

    '의원 사직서‘ 처리 계속 진통 -지역구 4곳 내년 보궐선거로 넘어갈 우려- 6.13 지방선거를 코 앞에 둔 현재,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나서는 4명의 의원 사직서가 여,야의 첨예한 대립으로 국회에서 처리되지 않고 있어 자칫하면 4곳의 지역구가 내년에 보궐...
    Date2018.05.12
    Read More
  8. 미국 LA 시 코리아타운 내 “홈리스 셸터”건립예정, 한인사회 거센 반발

    미국 LA 시 코리아타운 내 “홈리스 셸터”건립예정,  한인사회 거센 반발  “홈리스 셸터” 건립 예정지 부근 미국 LA에서는 요즘 “홈리스 셸터”를 시정부와 의회에서 일방적으로 코리아타운의 중심 근처에 건립을 계획하고 있어 한인들의 반발이 심하고 또 집회...
    Date2018.05.12
    Read More
  9. 6월 12일 미-북 정상회담 개최, 싱가포르에서

    6월 12일 미-북 정상회담 개최, 싱가포르에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에서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김정은과의 기대되는 회담이 개최...
    Date2018.05.11
    Read More
  10. 오는 22일 한미정상회담, 문 대통령의 역할

    오는 22일 한미정상회담, 문 대통령의 역할 문재인 대통령의 오는 22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은 남북 정상과 북미 정상 간 중간에 이뤄지는 회담이어서 남북정상회담의 평가와 북미정상회담을 준비하는 절차로 보여진다. 미국은 폼페이오 국무장관...
    Date2018.05.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 534 Next
/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