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국가재정 빨간불, 연금충당부채 643조

posted Apr 0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가재정 빨간불, 연금충당부채 643

 

나랏빚이 1년 사이에 100조원 가까이 증가한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경기침체로 나라 곳간이 쪼그라들면서 정부가 쓸 돈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린 탓이 크다.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지급액 등 갈수록 증가하는 연금충당부채도 재정건전성을 위협하는 최대 요인으로 작용했다. 장밋빛 경제전망을 근거로 예산을 짜는 악습도 대규모 세수 펑크로 국가 부채를 눈덩이처럼 불리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정부의 '2014회계연도 국가결산'을 살펴보면 지난해 발행된 국채는 498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86,000억원 늘어났다. 이는 당초 정부가 짠 예산(4913,000억원)보다 67,000억원 불어난 것이다. 재정 적자로 국채를 찍어내 나라 살림을 메꾸다 보니 세계잉여금이 8,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세계잉여금 적자는 나라 살림을 마이너스통장으로 꾸려간다는 의미로 지난 2012년 이후 3년째다.

 

국가 재정이 미래 세대에 빌려 쓴 신용카드 금액이 증가한 탓에 중앙정부(503조원)와 지방정부(274,00억원)의 부채를 합친 협의의 국가 부채(D1)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35.7%5305,000억원으로 치솟았다. 전년보다 무려 407,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국가 채무의 증가속도(8.3%)도 지난해 경제성장률(3.3%)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는다. 정부는 재정건전성이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국가 채무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10.9%보다 낮아서다. 2007년 대비 2014OECD 회원국 평균 국가 채무는 25.2% 포인트 증가한 반면 우리나라 증가폭은 7.0%포인트에 그친 것도 근거로 삼고 있다.

 

vghn.jpg

 

그러나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우리 복지는 아직 어린애 수준"이라면서 "어린애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자라게 돼 있다"며 한국과 선진국을 액면 그대로 비교하면 안 된다고 밝혔듯이 경제규모가 큰 OECD 국가와 우리 재정상황을 단순 비교해서는 곤란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복지를 비롯한 의무지출은 한 번 늘어나면 되돌기도 어렵고 시간이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속성을 감안하면 재정상황을 낙관적으로 볼 수만은 없다.

 

더욱이 공무원·군인 연금에 지급해야 할 연금충당부채의 증가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은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중앙 및 지방 정부 부채에다 연금충당부채를 합친 광의의 국가 부채(1,211조원) 가운데 공무원연금(5238,000억원)과 군인연금(1198,000억원) 충당부채를 합한 액수는 6436,000억원으로 전체 나랏빚의 절반을 웃돈다. 연금충당부채는 미래에 지급해야 할 연금액을 추정해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으로 정부가 빌린 돈은 아니지만 기금이 고갈돼 연금을 지급하지 못하면 혈세로 메꿔야 한다는 점에서 광의의 부채(국가 재무제표상 국가 부채)로 잡는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연금충당부채는 재직자와 연금수급자 수 변동, 급여 상승률 등에 영향을 받는다""지난해 대부분 항목이 플러스로 작용하면서 전체 부채를 늘어나게 한 요인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공무원 재직자는 1263,000명으로 9,000명이 늘어났다. 연금 수급자 수도 482,000명으로 32,000명 증가했고 올해 공무원 보수도 3.8%로 지난해 물가상승률(1.3%)의 세 배에 달할 정도로 늘어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연금충당부채에서 가장 덩치가 큰 공무원연금 개혁의 시급성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공무원 연금충당부채는 불과 1년 새 40조원이 증가해 국가 재정건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마이너스통장인 공무원연금 구조에 강도 높은 메스를 대지 않으면 향후 643조원에 달하는 연금충당부채 대부분을 결국 국민 혈세로 부담해야 한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권맑은샘 기자

 

 

?

  1. 이완구 총리, 임나일본부설 비판, 정부, 日정부 역사도발에 유감

    이완구 총리, 임나일본부설 비판, 정부, 日정부 역사도발에 유감 이완구 국무총리, 임나일본부설 비판 이완구 국무총리는 9일 일본의 한일고대사 왜곡 사례인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설 주장 등과 관련, "사실에 기초하지 않은 역사 왜곡을 해선 안된다"며 "엄...
    Date2015.04.09
    Read More
  2. 여야 대표연설 화두는 경제 ,해법은 제각각

    여야 대표연설 화두는 경제 ,해법은 제각각 4월 임시국회에서 처음으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 나선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핵심 화두는 한결같이 경제였다. 그만큼 우리 경제가 상당한 위기상황에 처해있고 따라서 계층간 갈...
    Date2015.04.09
    Read More
  3. 여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속도내

    여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속도내 내년 20대 총선에 완전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당이 9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의결하고, 야당도 법제화 마련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 정치권의 혁신작업에 시동이 걸렸다. 새누리당은 ...
    Date2015.04.09
    Read More
  4. 한국노총, 노사정 협상 결렬 선언

    한국노총, 노사정 협상 결렬 선언 한국노총이 노동시장 구조개편을 논의해온 노사정위원회 노동시장구조개선특위에 더는 참가하지 않겠다며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5...
    Date2015.04.08
    Read More
  5. 국토부, 경인고속도로 새민자방식으로

    국토부, 경인고속도로 새민자방식으로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경인고속도로의 지하화사업이 새로운 민자방식으로 추진된다. 경인고속도로는 교통정체가 심각해 '저속도로'라는 오명이 붙은 곳이다. 국토교통부는 8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민간투...
    Date2015.04.08
    Read More
  6. 추미애, 동교동 비판하다

    추미애, 동교동 비판하다 추미애 새정치연합 최고위원이 친노와 동교동계를 겨냥해 강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추 최고위원은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대중) 대통령의 말씀처럼 지지 세력이 가장 분노하고 좌절했던 사건이 대북송금 특검이었...
    Date2015.04.08
    Read More
  7. 국회 정치개혁특위, 선거구획정위원회 ‘독립기구’ 설치합의

    국회 정치개혁특위, 선거구획정위원회 ‘독립기구’ 설치합의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8일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을 논의할 선거구획정위원회를 ‘독립기구’로 설치키로 합의했다. 하지만 정개특위가 이 독립기구에서 마련한 획정안을 ...
    Date2015.04.08
    Read More
  8. 시화호 토막시신-40대 중국동포여성 한씨, 경찰 남편 추적중

    시화호 토막시신-40대 중국동포여성 한씨, 경찰 남편 추적중 경기 시흥 시화방조제에서 발견된 토막시신의 신원이 확인됨에 따라 수사도 활기를 띠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시흥경찰서 수사본부는 7일 발견된 시신 손에서 지문을 채취, 외국인 출입국기록...
    Date2015.04.07
    Read More
  9. 연말정산 5500만원이하 15% 세부담 증가

    연말정산 5500만원이하 15% 세부담 증가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13월의 세금폭탄’ 논란을 불러온 올해 연말정산과 관련, “5500만원 이하 소득자 1361만명의 85%는 세부담이 없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연 5500만...
    Date2015.04.07
    Read More
  10. 국가재정 빨간불, 연금충당부채 643조

    국가재정 빨간불, 연금충당부채 643조 나랏빚이 1년 사이에 100조원 가까이 증가한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경기침체로 나라 곳간이 쪼그라들면서 정부가 쓸 돈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린 탓이 크다.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지급액 등 갈수록 ...
    Date2015.04.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13 514 515 516 517 ... 966 Next
/ 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