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통일부, "北, 내달 초까지 강수부족시 식량생산량 최대 20% 감소"

posted Jun 09,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일부, "北, 내달 초까지 강수부족시 식량생산량 최대 20% 감소"

 

다음 달 초까지 북한 지역의 강수량 부족 현상이 지속하면 식량생산량이 전년보다 15~20%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9일 전망했다. 통일부는 이날 '北 가뭄피해 평가 및 식량 생산 전망'이라는 자료를 통해 북한 지역의 강수량 부족이 이달 상순까지 지속하면 식량생산량이 5~10% 감소, 대체 작물인 옥수수 생산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북한 당국은 이달 10일을 기점으로 볏모가 말라죽는 지역에선 강냉이 및 알곡작물로 교체할 것을 지난달 28일 지시했다.

 

djfk.jpg 

통일부는 다음 달 초까지 강수량 부족이 지속하면 예년 대비 감자와 쌀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북한의 식량생산량이 15~2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경우 지난달 10일 이전에 파종한 옥수수 생산량도 많이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지역의 지난해 강수량은 평년(1981~2010년 평균) 대비 61%에 불과했고, 올해 5월까지 강수량도 평년 대비 56.7%에 그쳤다.

특히, 북한의 곡창지대인 황해도와 평안도의 경우 올해 강수량이 평년 대비 각각 46.9%, 61% 수준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서 5월 강우량이 100㎜ 미만을 기록, 모내기 지연 및 생육장애 발생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작년부터 가뭄이 이어지면서 북한의 식량생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봄 가뭄 때는 기존 저장 용수 활용으로 상당 부분 피해를 극복했지만, 올해는 최근 함흥지역 댐의 수위가 30㎝에 불과할 정도로 용수 고갈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북한이 쌀 생산량은 216만t으로 전년 대비 6% 증가했지만, 옥수수와 감자 생산량은 172만t, 54만t으로 각각 4%, 2% 감소했다.

 

권맑은샘 기자






  1. 하버드·스탠퍼드대 "한국 여고생 동시합격", 사기로 드러나

    하버드·스탠퍼드대 "한국 여고생 동시합격", 사기로 드러나 미국 명문 하버드 대학과 스탠퍼드 대학측이 9일(현지시간) 두 대학에 합격한 것으로 국내 언론에 보도된 한국 여고생 김정윤(18)양의 합격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하버드 대학본부의 공보담당자는 ...
    Date2015.06.10
    Read More
  2. 유럽연합(EU) 최대위기

    유럽연합(EU) 최대위기 '하나 된 유럽'의 꿈을 안고 탄생한 유럽연합(EU)이 출범 22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영국에서는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Brexit)를 묻는 국민투표 시행법안이 1차 관문을 통과했고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은 점점 더 꼬이면서 그...
    Date2015.06.10
    Read More
  3. 개성공단, 남한 '쵸코파이,라면' 사라져

    개성공단, 남한 '쵸코파이,라면' 사라져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들 사이에서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국산 초코파이와 라면이 최근 자취를 감춘 것으로 8일 전해졌다. 대신 북한산 초코파이와 라면이 그 자리를 채우기 시작했다. 개성공단 입주업체 관계자에 따르...
    Date2015.06.09
    Read More
  4. 통일부, "北, 내달 초까지 강수부족시 식량생산량 최대 20% 감소"

    통일부, "北, 내달 초까지 강수부족시 식량생산량 최대 20% 감소" 다음 달 초까지 북한 지역의 강수량 부족 현상이 지속하면 식량생산량이 전년보다 15~20%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9일 전망했다. 통일부는 이날 '北 가뭄피해 평가 및 식량 생산 전망'이라는 자...
    Date2015.06.09
    Read More
  5. 미질병센터 "한국여행변경 권장않아“, 러시아, 한국여행 자제권고

    미질병센터 "한국여행변경 권장않아“, 러시아, 한국여행 자제권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8일 공식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미국인들이 메르스 바이러스 때문에 한국 또는 다른 나라의 여행 계획을 변경하는 것을 권장(recommend)하지 않는다"고 밝혔...
    Date2015.06.09
    Read More
  6. G7 정상회담 종료…대테러제재 강화 등 현안 공동선언 채택

    G7 정상회담 종료…대테러제재 강화 등 현안 공동선언 채택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이틀간의 정상회의를 마치고 글로벌 현안 문제들을 다룬 결과에 대한 코뮤니케(공동선언문)를 채택했다고 AFP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의장국인 독일을 비롯해 미국,...
    Date2015.06.09
    Read More
  7. G7 정상회의 개막…그리스·우크라 사태 집중 논의

    G7 정상회의 개막…그리스·우크라 사태 집중 논의 7일(현지시간) 독일 남부 알프스 휴양지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이틀 일정으로 개막하는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그리스 및 우크라이나 사태가 집중 논의될 전망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날 보...
    Date2015.06.07
    Read More
  8. 북한, "연평도 불벼락"언급, 위협

    북한, "연평도 불벼락"언급, 위협 북한은 6일 최윤희 합참의장의 최근 서해 연평도 주둔 부대 방문과 관련해 과거 연평해전을 들먹이며 위협하고 나섰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서기국 '보도'를 통해 "괴뢰패당은 연평도의 불벼락이 결코 지나간...
    Date2015.06.06
    Read More
  9. 미국, 유럽에 중거리핵미사일 배치 검토

    미국, 유럽에 중거리핵미사일 배치 검토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촉발된 유럽 내 서방과 러시아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영국 일간 더 타임스는 6일(현지시간) 미국이 냉전 시대 이후 처음으로 유럽에 중거리 핵미사일을 배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
    Date2015.06.06
    Read More
  10. 러시아·중국, 리비아 내전 지도자 제재에 반대

    러시아·중국, 리비아 내전 지도자 제재에 반대 러시아와 중국이 리비아에서 내전을 벌이는 두 세력의 지도자들에 대한 유엔제재에 반대하고 나섰다고 유엔 주재 서방 외교관들이 5일(현지시간) 전했다. 미국,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 4개국은 유엔 안전보장...
    Date2015.06.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71 372 373 374 375 ... 586 Next
/ 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