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EU 정상회의, 내주 다시 난민사태 대책논의

posted Nov 0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U 정상회의, 내주 다시 난민사태 대책논의

 

2차대전 이후 최악의 난민 유입 사태에 직면한 유럽연합(EU)이 해결방안을 찾지 못한 가운데 EU 정상들이 다시 모여 난민 대책을 논의한다. 도날드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오는 1112일 몰타 수도 발레타에서 열리는 EU-아프리카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 그 자리에서 EU 정상회의를 개최할 것이라고 3일 밝혔다. 투스크 의장은 EU 정상들에게 보낸 회의 초청 서한에서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차례의 논의를 통해 해결 방안에 일부 진전을 보았지만 아직 상황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달에 지중해를 넘어 EU 국가로 들어온 난민과 이주민이 218천 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전하고 이처럼 난민 유입 사태가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에서 포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투스크 의장은 특히 EU 역내 자유통행을 규정한 솅겐조약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EU 외부 국경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그리스, 이탈리아에 난민 접수센터 건립 EU 외부국경 통제 강화 방안 난민 유입을 저지하기 위한 터키 등 제3국과 협력 난민 분산 수용 이행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ojygh.jpg

 

EU 정상들은 지난 6개월간 이미 4차례나 모여 난민 대책을 논의했다. EU 회원국들은 여러 차례의 특별 정상회의와 각료회의를 통해 공동 대응 방안에 합의했지만 약속이 이행되지 않고 있다. 전례 없는 난민 유입 사태가 꺾일 기미를 보이고 않아 난민 사태가 더욱 악화할 우려를 낳고 있다. EU가 외부 국경 통제 강화를 모색하고 EU 각국도 국경을 봉쇄할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난민들은 유럽으로 들어가는 관문이 완전히 막히기 전에 유럽 땅을 밟아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죽음의 여정'에 나서고 있다. 이미 작년보다 23배 많은 80만명 이상이 유럽 땅에 들어왔지만 이 같은 추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EU 회원국들이 난민 대책을 위한 공동 부담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융커 위원장은 지난달 27일 유럽의회 연설에서 각국 정부가 EU 외부 국경 통제를 위한 경비 병력 충원을 지체하고 있으며 시리아 인접국의 난민 수용소 지원을 위한 자금 공여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EU는 지난달 16만 명의 난민을 분산 수용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그리스와 이탈리아에 도착한 난민을 EU 회원국들이 분산 수용하기로 합의했지만 지금까지 이뤄진 난민 재배치는 수백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EU 해군의 난민 밀입국 조직 퇴치 작전도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EU 해군이 리비아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려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권맑은샘 기자

 

 



  1. EU 정상회의, 내주 다시 난민사태 대책논의

    EU 정상회의, 내주 다시 난민사태 대책논의 2차대전 이후 최악의 난민 유입 사태에 직면한 유럽연합(EU)이 해결방안을 찾지 못한 가운데 EU 정상들이 다시 모여 난민 대책을 논의한다. 도날드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오는 11∼12일 몰타 수도 발레타에...
    Date2015.11.04
    Read More
  2. 미 전문가 "러 여객기 '폭발성 해체'로 추락"

    미 전문가 "러 여객기 '폭발성 해체'로 추락" 지난달 31일 이집트 시나이 반도 상공에서 발생한 러시아 여객기 추락 사고의 원인을 둘러싸고 갖가지 가설이 제기되는 가운데 사고기가 꼬리 부분이 순식간에 떨어져 나가는 '폭발성 해체'로 추락했다는 주장이 ...
    Date2015.11.04
    Read More
  3. 한미 국방부, 북핵·미사일 무력화 ‘4D작전 계획’ 공식화

    한미 국방부, 북핵·미사일 무력화 ‘4D작전 계획’ 공식화 한국과 미국 국방부가 한반도 유사시 핵·생화학 탄두 등 대량살상무기(WMD)를 실은 북한 미사일을 조기에 무력화하기 위한 미사일 대응작전개념인 ‘4D 작전개념 이행 지침’을 공식 승인했다. 4D작전 이...
    Date2015.11.02
    Read More
  4. 필리핀, 한국인 납치 살해 심각

    필리핀, 한국인 납치 살해 심각 필리핀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하는 납치, 살해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현지 교민과 관광객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안전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필리핀 치안이 부실한 만큼 강력 범죄의...
    Date2015.11.02
    Read More
  5. 러시아, 이집트 자국 여객기 추락 "격추는 아니다"

    러시아, 이집트 자국 여객기 추락 "격추는 아니다" 러시아가 이집트서 추락한 자국 여객기의 사고원인으로 테러 가능성을 거듭 배제했다. 막심 소콜로프 러시아 교통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사고기 블랙박스에서 가벼운 기술적 결함만이 발견됐으며 열에 따...
    Date2015.11.02
    Read More
  6. 인니국회, KFX 1조7천억 예산 통과, 사업 탄력받을 듯

    인니국회, KFX 1조7천억 예산 통과, 사업 탄력받을 듯 인도네시아 국회가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사업에 투자할 2016년도 예산을 통과시켰다. 주 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관계자는 주재국 정부의 한 소식통을 인용 "인도네시아 국회에서 KF-X 사업에 투자할 ...
    Date2015.11.01
    Read More
  7. IS, 러시아 여객기 격추 주장

    IS, 러시아 여객기 격추 주장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이집트 지부(시나 윌라야트)는 31일(현지시간) 이집트 시나이 반도 상공에서 추락한 러시아 여객기를 자신들이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이 무장조직과 연계된 트위터 계정엔 이날 오후 "오늘 여객...
    Date2015.11.01
    Read More
  8. "한미, 사드(THAAD) 공식, 비공식 논의중" 록히드마틴 부사장이 밝혀

    "한미, 사드(THAAD) 공식, 비공식 논의중" 록히드마틴 부사장이 밝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를 놓고 한·미 양국 정부가 공식·비공식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사드 제작사인 록히드마틴의 고위관계자가 29일(현지시간) 주장했다. 마이...
    Date2015.10.30
    Read More
  9. "북한노동자 5만명 외국서 외화벌이“

    "북한노동자 5만명 외국서 외화벌이“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서 고용돼 북한의 외화벌이에 동원되고 있는 북한 노동자가 현재 5만 명이 넘는 것으로 유엔에 보고됐다. 이들은 한달 평균 120∼150달러의 임금을 받고 광산, 벌목장, 건설현장, 섬유 및 의...
    Date2015.10.30
    Read More
  10. “역시, 과연 하버드 대학 그리고 법과대학원”

    “역시, 과연 하버드 대학 그리고 법과대학원”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학의 법과전문대학원(로스쿨)이 4천만 쪽에 달하는 법률 관련 서적과 자료를 '파기'한다고 29일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법에 자유를'이라는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하버드대학 법과전문대학...
    Date2015.10.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3 344 345 346 347 ... 586 Next
/ 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