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정부, 노인치매 건강보험 지원확대

posted Dec 1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부, 노인치매 건강보험 지원확대

 

보건복지부는 17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국가치매관리위원회를 열고 '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이로써 인구 고령화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치매환자들에 대한 건강보험과 국가 지원이 확대된다. 모든 치매검진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중증 치매 환자에게 1년에 6일까지 24시간 방문요양 서비스가 제공된다. 치매 환자와 가족들에게는 여행 경비도 지원한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내년중 비급여 항목이던 신경인지검사(CERAD-K, SNSB )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sjwhdg.jpg

 

이미 혈액검사, 전문의 문진, 뇌영상촬영(MRI, CT) 등 다른 치매정밀검진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어서 20% 안팎의 본인부담금(전국가구 평균소득 100% 이하는 무료)만 내면 신경인지검사를 포함한 모든 치매정밀검진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신경인지기능검사 비용은 7~40만원 수준인데, 연간 118억원의 건강보험 재정이 추가로 투입될 전망이다. 요양병원이나 요양시설은 치매 노인을 일반 환자와 분리해 행동심리증상(BPSD)과 신체 합병증을 집중적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내년 중 요양시설이나 주야간보호센터에 치매 환자를 분리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치매 유니트'를 설치하고 2017년부터 전국 78곳의 공립요양병원 안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치매전문병동을 시범운용할 계획이다. 2017년부터는 치매 환자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2급 중증 치매환자에게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연간 6일까지 24시간 방문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여행을 갈 때는 국가 재정에서 여행 경비를 지급하는 사업도 시작한다. 치매 환자 가족이 전문의로부터 치매 대응요령, 복약지도, 돌봄기술 등에 대해 설명을 듣는 '치매가족 상담'에 대해서도 건강보험이 새로 적용된다.

 

아울러 의사결정능력에 제한이 있는 저소득·독거·중증 치매노인에 대해서는 재산관리, 의료·요양 서비스 이용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공공후견제도도 내년 중 도입된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치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치매 노인이 살기 좋은 마을을 '치매안심마을'로 지정하고, 치매 예방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 '치매예방실천지수'를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또 치매 환자들을 돕는 자원봉사자인 치매파트너즈를 현재 16만명 수준에서 20205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2006~2014년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치매환자는 676천명(사망자 제외)이나 된다. 이 중 65세 이상은 631천명으로 노인 인구의 치매 유병률(치매 환자수/전체 노인 인구수)9.9%에 달한다.


스포츠닷컴 사회팀

 



  1. 정부, 노인치매 건강보험 지원확대

    정부, 노인치매 건강보험 지원확대 보건복지부는 17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국가치매관리위원회를 열고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이로써 인구 고령화로 크게 늘어나고 있는 치매환자들에 대한 건강보험과 국가 지원이 확대된다. 모든 치매검진에 ...
    Date2015.12.17
    Read More
  2. '크림빵 뺑소니범' 항소심 징역3년

    '크림빵 뺑소니범' 항소심 징역3년 일명 ‘크림빵 아빠 뺑소니’ 사건의 피고인이 항소심에서도 징역3년을 선고받았다. 법원은 1심에서 논란이 됐던 음주운전 혐의에 대해서도 원심과 같이 무죄로 판단했다. 대전고등법원 청주제1형사부(부장판사 김승표)는 17일...
    Date2015.12.17
    Read More
  3. 가토 산케이 前지국장, '박대통령 명예훼손' 1심 무죄

    가토 산케이 前지국장, '박대통령 명예훼손' 1심 무죄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사고 당시 행적에 대한 의혹을 보도했다가 박 대통령 등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혐의로 불구속기소된 가토 다쓰야(加藤達也·49) 일본 산케이(産經)신문 전 서울지국장이 1년 2개월만...
    Date2015.12.17
    Read More
  4. 이주열 한은총재, "미금리인상 부정적 영향 우려할 상황 아니다“

    이주열 한은총재, "미금리인상 부정적 영향 우려할 상황 아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미국 금리 인상의 영향에 대해 "금융시장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
    Date2015.12.17
    Read More
  5. 미기준금리 인상, 우리정부-“내수·수출 타격 막아라” 외화유동성 점검‘비상’

    미기준금리 인상, 우리정부-“내수·수출 타격 막아라” 외화유동성 점검‘비상’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드러내지 않고 있지만,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이 단행되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와 유사한 ‘비상모드’로 근무 태세를 바꾸고 있다. 주식·외환·채권시장...
    Date2015.12.17
    Read More
  6. 우리주력산업 매출액 증가율, 한,미,일,중,4개국중 꼴찌

    우리주력산업 매출액 증가율, 한,미,일,중,4개국중 꼴찌 그동안 우리경제의 주력산업이 ‘쇠퇴기’에 접어들면서 경쟁국들에 뒤처지고 있는 것이 실증 분석을 통해 입증됐다. 여야 정쟁 등으로 기업의 선제 구조조정을 통한 산업재편과 미래 신성장 산업발굴이 ...
    Date2015.12.17
    Read More
  7. 새누리, “지금은 비상사태, 국회가 못하면 대통령이”

    새누리당,“지금은 비상사태, 국회가 못하면 대통령이” 정의화 국회의장이 ‘쟁점법안’들의 직권상정 불가 입장을 밝히자 새누리당에서는 대통령이 ‘긴급재정·경제명령’(긴급명령)을 발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불거졌다. 경제여건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음에도 야...
    Date2015.12.17
    Read More
  8.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상향식 공천" 천명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상향식 공천" 천명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안철수 의원 탈당 후 첫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했다. 문 대표는 당에 남아있는 비주류를 겨냥해 분열과 혁신반대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안 의원 탈당이 분당사태를 부를 ...
    Date2015.12.17
    Read More
  9.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 연말연시 후유증 시달려

    -각종모임에서의 과도한 음주가 휴유증의 가장 큰 원인, 피로감에 의한 졸음 참기 힘들어 -연말모임은 ‘주 2~3회’, 모임당 평균 지출비용은 ‘3만원~5만원’이 가장 많아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은 연말연시 잦은 모임이나 술자리, 들뜬 분위기 등으로 후유증을...
    Date2015.12.17
    Read More
  10. No Image

    현대경제연구원 ‘전월세 시장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내년도 체감 전세가격 평균 1,400만원 상승 전망 현대경제연구원이 ‘현안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개요 최근 전세가격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초과하면서 전세 세입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전세 공급 부족에 따라 전세에서 월세...
    Date2015.12.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