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posted Jan 09,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지속적인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 임대차시장에서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전세난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됐다. 전세물량이 귀해지고 보증금이 크게 오르면서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떠나는 이른바 전세난민도 늘었다. 정부도 전세난을 해결하기 위해 전세 대출 금리를 낮추는 등 여러 정책 대안을 들고 나섰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해결책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은 20093월 이후 지난달까지 69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관련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장기간 상승세다. 상승속도도 한층 빨라졌다.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6.11%2014년 상승률(4.36%)을 크게 웃돌았다.

 

서울과 수도권은 말 그대로 전세대란이다. 서울의 지난해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9.57% 올랐다. 6개 광역시(5.27%)와 지방(1.92%)도 전셋값 상승세가 거듭되고 있지만 서울에 비하면 준수한 편이다. 지난해 11월 서울의 평균 주택(아파트, 단독, 연립) 전셋값은 처음으로 3억원(3349만원)을 돌파했고 아파트 전세 가격은 평균 37800만원에 이른다. 6개 광역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22675만원이니 서울에서 전세 살 돈이면 지방 광역시에서는 아파트를 사고도 15000만원이 남는다.


frtd.jpg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의미하는 전세가율도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70%를 넘겼다. 전세가율이 82%에 달하는 성북구 길음동 등 일부지역에서는 전셋값이 매매가를 추월하는 역전현상도 발생했다.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하고 인천·경기 등 수도권으로 밀려나는 이른바 '전세난민'도 크게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한 해(1~11) 동안 서울을 빠져나간 인구(시도간 전출자)54393명으로 이 가운데 60%324287명이 경기도로 이주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세난이 지난해보다 심해졌다는 분석이다.

 

이자수익률이 떨어지고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임대주들이 늘면서 전세가 귀해졌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월세 거래량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4.6%로 전년 동월(39.0%) 대비 5.6%포인트 증가했다.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온 것이다.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도 전세난에 한몫했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전체 가구 중에 20~30%는 자신이 번 돈으로 집을 살 수 없을 정도로 집값이 올랐다""매매 수요가 임대차 수요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수급불균형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전세난이 심각해지자 정부도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했다. 4월 임차보증금 대출금리를 0.2%포인트 낮췄고 저소득층 월세대출 금리도 기존 2%에서 1.5%로 내리도록 했다. 10월에는 신혼부부의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 기존 1억원에서 12000만원으로 늘렸다. 하지만 전·월세난을 해소할 수 있는 근원적 치유책까지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전·월세 시장 분위기를 단번에 바꿀 만한 대책들이 거듭 미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1월 국회 서민주거복지 특별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없이 이달 초 막을 내렸다. 위원회에서는 전·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을 검토했지만 결국 단기 전·월세 상승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에 밀려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한 전문가는 "대출한도를 늘려주는 정부의 전·월세 정책은 결국 더 많은 빚을 내라는 말"이라며 "·월세 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근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1960~70년대 개발시대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정부의 전·월세 정책 패러다임도 바뀌어야 한다. 이 연구위원은 "정부 정책은 공급을 늘리면 주거난이 해소된다는 식"이라며 "공급자 위주의 부동산 정책으로는 서민의 주거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경제팀

  


  1. 초중고교 졸업시즌이 바뀌고 있다

    초중고교 졸업시즌이 바뀌고 있다 초중고교의 '졸업 시즌'이 바뀌고 있다. 올해 1월에 졸업식을 갖는 서울지역 중·고교는 총 31곳이다. 2년전에는 공항중이 유일했는데 최근 그 수가 크게 늘어났다. 학교가 졸업식을 1월로 앞당긴 것은 '시간 때우기식'으로 운...
    Date2016.01.09
    Read More
  2. 미 연준수장들, '완만한 금리인상'

    미 연준수장들, '완만한 금리인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를 구성하는 지역 연방준비은행의 수장들이 잇따라 앞으로의 금리인상 경로가 완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장은 8일(이하 현지시간) 열린 강연에서 ...
    Date2016.01.09
    Read More
  3.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전세난 갈수록 심각, 정부 전·월세대책은 미봉책 지속적인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 임대차시장에서 수급불균형이 이어지면서 지난해 전세난은 이전보다 더욱 심화됐다. 전세물량이 귀해지고 보증금이 크게 오르면서 서울에서 전세를 구하지 못해 수도권으로 떠나...
    Date2016.01.09
    Read More
  4. 새누리, "국회선진화법 개정, 민주적 방향으로“

    새누리, "국회선진화법 개정, 민주적 방향으로“ 새누리당은 9일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추진과 관련, "국회선진화법 개정에 대해서 국회후진화법 운운하는 건 더불어민주당의 정략적인 비판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문정림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논평을 통해 "...
    Date2016.01.09
    Read More
  5. 안신당 한상진 발언, “묻지마 잡탕정당인가?”

    안신당 한상진 발언, “묻지마 잡탕정당인가?” 안철수 의원의 '국민의당' 공동 창당준비위원장직을 맡은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가 신당 합류 인사들을 향해 화학적 결합을 위한 '진실과 화해의 과정'을 강조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한 위원장은 창준위원...
    Date2016.01.09
    Read More
  6. 더민주 고연호 은평을 지역위원장 탈당

    더민주 고연호 은평을 지역위원장 탈당 더불어민주당 고연호 은평을 지역위원장이 9일 탈당을 선언,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추진하는 신당에서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민주는 끊임없는 공천잡음과 계...
    Date2016.01.09
    Read More
  7.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 확인

    메르스 바이러스 변이 확인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MERS-CoV)에 변이가 일어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바이러스에 변이가 있었다는 것은 그동안 중동에서 유행했던 메르스 바이러스가 한국에서 유전적으로 변화했을 수 있다는 의미로, 감염력...
    Date2016.01.08
    Read More
  8. 1심법원, 박기춘 의원-징역1년4개월, 추징금 2억7800만원 선고

    1심법원, 박기춘 의원-징역1년4개월, 추징금 2억7800만원 선고 서울중앙지법 형사21부는 8일 분양 대행 업체 대표로부터 수억원대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 기소된 무소속 박기춘(60) 의원에게 징역 1년4개월에 추징금 2억7800만원을 선고했다. 또 자신의 불법...
    Date2016.01.08
    Read More
  9. 한국증시, 미국 금리인상 이어 중국증시 악재에 롤러코스트

    한국증시, 미국 금리인상 이어 중국증시 악재에 롤러코스트 우리 주식시장은 롤러코스터인가? 개장 전엔 미국 뉴욕증시 급락 여파 영향으로 코스피지수 1890선이 무너지는 급락세로 출발했다. 중국 증시가 문을 연 이후엔 중국 주식시장 흐름에 연동돼 널뛰기...
    Date2016.01.08
    Read More
  10. 중국 서킷브레이크 아직 미성숙, 국제금융시장 “불안”

    중국 서킷브레이크 아직 미성숙, 국제금융시장 “불안” 중국이 증시의 급등락을 막겠다고 도입했던 서킷브레이커가 새해부터 큰 혼란을 야기했다. 결국 도입 나흘 만에 포기했다. 성숙하지 않은 중국 증시에는 아직은 섣부른 시도였다는 분석이다. 지난 4일 상...
    Date2016.01.0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80 381 382 383 384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