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김장철인데 소비자 물가 비상

posted Dec 01,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장철인데 소비자 물가 비상

 

김장철이 다가왔는데 소비자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째 1%대를 기록하며 연중 최고 수준을 지속했다. 전월에 이어 농··수산물 가격이 여전히 높았고, 서비스물가도 상승해 체감 물가는 고공 행진을 이어갔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이는 올해 2(1.3%) 이후 8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던 10월과 같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부터 8월까지 계속 0%대에 머물다가 지난 9(1.2%)부터 1%대로 올라섰으며 10월에는 1.3%로 상승했다.

 

11월 서비스물가는 1.8% 오르며 전체 물가를 1.00%포인트(p) 끌어올렸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6.4% 떨어졌지만, 전월보다 하락 폭이 줄었다. 전체 물가 기여도는 0.31%p였다. 국제유가가 반등하면서 석유류와 도시가스 가격이 전월보다는 상승했기 때문이다. ··수산물은 7.9% 뛰며 전체 물가를 0.57%p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산물(9.6% 상승)의 기여도가 그중 절반이 넘는 0.35%p에 달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4% 상승에 그쳤다. 201412(1.4%)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1% 올랐다. 20147(1.4%) 이후 24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다. 생활물가지수를 구성하는 항목 중 식품 물가가 1년 전보다 3.7% 뛴 영향이다. 생활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면 체감물가 상승률도 높아진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는 채소, 과일, 생선 등의 물가인 신선식품지수는 15.0% 뛰었다. 품목별로 보면 농··수산물 중에선 무가 120.7%나 뛰었다. 올여름 폭염 때문에 출하량이 줄어든 무는 9월부터 3개월 연속으로 2배 넘게 뛰는 급등세를 보였다.


qfsd.jpg

 

배추는 82.1% 뛰었다. 토마토 71.1%, 풋고추 62.4%, 파는 41.6% 올랐다. 배추 가격 상승 여파로 김치 제품 물가도 20.4% 상승했다. 하수도 요금은 10.9% 올랐고 외래진료비도 2.1% 상승했다. 이외에 외식 소줏값은 11.4%, 공동주택 관리비 3.6% 상승했다. 전세는 1년 전보다 3.3% 올랐다. 반면 저유가 여파로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는 각각 14.8%, 19.3% 떨어졌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토마토와 풋고추 등 값이 오르면서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다. 신선채소는 작년 이맘때 가격이 낮게 형성돼 있어서 상승률이 높게 나타나는 기저효과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스포츠닷컴 경제팀

 

 



  1. 추미애 '탄핵후 1월퇴임" vs 김무성 '朴 4월퇴임이면 탄핵안가’

    추미애 '탄핵후 1월퇴임" vs 김무성 '朴 4월퇴임이면 탄핵안가’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일 전격 회동해 박근혜 대통령 퇴임시기, 탄핵 추진 여부 등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으나 이견을 드러내면서 결론을 내진 못했다. 탄핵 가...
    Date2016.12.01
    Read More
  2. 2일 탄핵 사실상 무산-민주 "오늘 발의" vs 국민의당 "불가“

    2일 탄핵 사실상 무산-민주 "오늘 발의" vs 국민의당 "불가“ 더불어민주당은 1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의 이날 발의 및 2일 본회의 처리 입장을 결정, 국민의당에 제안했으나 국민의당이 이를 거절했다. 이에 따라 탄핵안의 '2일 처리'는 사실상 무산된 것...
    Date2016.12.01
    Read More
  3. 김장철인데 소비자 물가 비상

    김장철인데 소비자 물가 비상 김장철이 다가왔는데 소비자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째 1%대를 기록하며 연중 최고 수준을 지속했다. 전월에 이어 농·축·수산물 가격이 여전히 높았고, 서비스물가도 상승해 체감 물가는 고공 행진...
    Date2016.12.01
    Read More
  4. 미국연수 간호장교 "박 대통령 미용시술 없었다“

    미국연수 간호장교 "박 대통령 미용시술 없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에서 근무한 간호장교 2명 중 1명인 조모 대위는 30일(현지시간) "당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진료는 없었다"고 말했다. 미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의 육군 시설관리사령...
    Date2016.12.01
    Read More
  5. 현기환 전 정무수석, 피의자 신분 검찰출두 조사 뒤 귀가

    현기환 전 정무수석, 피의자 신분 검찰출두 조사 뒤 귀가 해운대 엘시티(LCT)사업 비리와 관련해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피의자 신분으로 29일 오전 부산지검에 출두해 12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뒤 귀가했다. 부산지검 특수부(부장검사 임관혁)는 29일 오...
    Date2016.11.30
    Read More
  6. 국회 자존심 걸린 문제에 야권, “탄핵 매진”, “비박에 명분줘야”

    국회 자존심 걸린 문제에 야권, “탄핵 매진”, “비박에 명분줘야” 박근혜 대통령의 29일 대국민 담화에 야권은 “탄핵을 늦추려는 교란책이자 꼼수”라며 격앙했다. 야 3당은 상황 변화가 생겼지만 탄핵안을 발의한다는 계획 자체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
    Date2016.11.30
    Read More
  7. 박대통령의 꼼수담화에 새누리당 비박계 주목

    박대통령의 꼼수담화에 새누리당 비박계 주목 박대통령의 꼼수담화에 새누리당 비박계의 움직임과 결정이 주목받게 되었다. 탄핵안 표결의 캐스팅보트를 쥔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는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조기퇴진을 위한 여야 협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
    Date2016.11.30
    Read More
  8. 삼성전자, 이재용 시대 새판짜기 시동

    삼성전자, 이재용 시대 새판짜기 시동 삼성전자가 지주회사 전환 검토를 공식화했다. 이재용 부회장 중심의 경영 승계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삼성 그룹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에 대한 이 부회장 등 총수 일가의 지배력 강화와 안정적 경영권 확보를 위해...
    Date2016.11.30
    Read More
  9. 최순실은 상습적 주사 중독자

    최순실은 상습적 주사 중독자 최순실은 주사중독자였음도 드러났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있는 최순실 단골 목욕탕에서 최순실은 비타민 등 각종 주사제를 맞아온 사실이 확인됐다. 목욕탕으로 전직 간호사와 현직 간호 조무사 등을 불러 수시로 주사제를 ...
    Date2016.11.30
    Read More
  10. No Image

    아시아 경제국, 지역 인재에 더 집중해야 할 것으로 나타나

    -- IMD, 조사결과 발표 (싱가포르 2016년 11월 29일 PRNewswire=연합뉴스) IMD가 실시한 중요한 신규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가 앞으로도 자체적인 사업인재개발을 간과하는 경우,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한다. 사진: http://photos.prnewswi...
    Date2016.11.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67 268 269 270 271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