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혐한 반대 시위는 日 한류 팬 온라인 항의에서 비롯"

posted Jan 20,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사카(大阪)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혐한단체 회원들과 이들에 반대하는 시민들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혐한 시위대에 반대하는 일본 시민들이 플래카드를 든 채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DB>>

 

김웅기 교수 "시위대 압박하며 반대 세력 결집 계기" 분석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최근 수년간 일본에서 위협적으로 벌어진 '한국 혐오(혐한·嫌韓) 시위'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본 내 한류 팬들의 온라인 항의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웅기 홍익대 국제경영학과 교수는 최근 재외한인학회에서 발표한 논문 '혐한 시위를 통해 보는 재일 코리안: 카운터(반대·counter) 활동을 중심으로'에서 이같이 주장하며 일본 내 혐한 시위의 전개과정을 조명했다.

 

김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일본에서 혐한 시위가 본격화된 것은 2006년 1월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재특회)'이 결성되면서부터다.

 

이후 재특회는 꾸준히 세를 늘려 2009년 12월 교토조선 제1초급학교 주변 시위를 비롯, 2011년 후지TV의 한류 콘텐츠 방영에 반대하는 집회를 조직했고 2012년에는 도쿄도(東京都) 신오쿠보(新大久保) 등지에서 대규모 혐한 시위를 벌였다.

 

이 단체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우익 언사를 남발하는 '넷우익(Net右翼)'들로부터 지지를 받으면서 2013년 말을 기준으로 회원 수가 1만4천 명까지 늘어났다.

 

반면 이에 대항하는 움직임은 온라인상에서 어린 케이-팝(K-Pop) 팬들의 작은 항의에서 시작됐지만 혐한 시위 세력을 압박하고 혐한에 반대하는 이들을 결집하는 계기가 됐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특히 재특회가 혐한 시위를 벌이며 한인 상점들을 상대로 폄하나 비방 등의 거친 행태를 보이자 케이-팝 팬들의 항의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고, 거리에서 혐한 시위를 물리적으로 저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실례로 혐한 시위가 열린 지난해 1월 12일 트위터에 적지 않은 비난 글이 올랐다.

 

김 교수는 당시 트위터에 오른 대표적인 비난 글로 "'죽어라'라든가 '바퀴벌레'라든가 패거리를 만들어 외쳐대며 사람의 마음을 침해하는 일을 '권리'라고 주장해봤자 바보 같지 않나. 인간의 권리를 침해할 권리 따위는 없다"를 소개했다.

 

한 네티즌은 "신오쿠보의 반한 데모를 놓고 다수가 비판(같은 일본인으로서 창피하다)"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런 케이-팝 팬들의 글은 재일동포 프리랜서 언론인인 이신혜 씨의 온라인 기사를 통해 소개됐고, 이에 영향을 받은 소위 '카운터 세력'이 거리 활동을 시작하는 계기가 됐다고 김 교수는 분석했다.

 

그는 카운터 세력이 처음 거리로 나선 때는 지난해 2월 9일 신오쿠보에서 열린 혐한 시위였으며 이때부터 혐한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고 덧붙였다.

 

재일동포 2세이자 일본 정치를 전공한 김 교수는 16일 연합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13일에도 교토에서 혐한 시위가 있었는데, 작년 한 해 150차례의 혐한 시위가 일본 전역에서 벌어졌다"면서 "수그러들기는 했지만 오사카, 교토 등지에서 여전하다"고 전했다.

 

 

eddi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4/01/16 07:30 송


  1. 재갈매기 결투

    [ 2014-01-20 14:59 송고 ] 재갈매기 결투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20일 서울 성동구 성수1가 살곶이공원 앞 청계천과 중랑천의 합류지점에서 재갈매기 두 마리가 다투고 있다. 2014.1.20 hihong@yna.co.kr (끝) <!-- 기사내용 끝
    Date2014.01.21
    Read More
  2. 한겨울 우즈베크 고려인 마음 녹인 대학생 봉사단

    "직접 짠 목도리 참 좋아요" (서울=연합뉴스) '프렌드아시아' 소속 대학생 봉사단원 30여 명이 지난 4일부터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 인근의 '아흐마드 야사비'라는 마을을 찾아 봉사활동을 벌이고 있다. 현지 고려인 동포들이 프렌드아시아가 전달한 수...
    Date2014.01.20
    Read More
  3. 김종섭 삼익악기 회장, 세계빈곤아동 3억5천만원 후원

    김종섭 삼익악기 회장, 세계빈곤아동 3억5천만원 후원 (서울=연합뉴스) 국제개발협력단체인 코피온은 16일 김종섭 삼익악기 회장(왼쪽)이 지구촌 빈곤 아동을 돕는 데 써 달라며 3억5천만원을 성금으로 냈다고 밝혔다. 2014.1.16 <<코피온 제공>> eddie@yna.c...
    Date2014.01.20
    Read More
  4. "혐한 반대 시위는 日 한류 팬 온라인 항의에서 비롯"

    오사카(大阪)의 한인 밀집 지역에서 혐한단체 회원들과 이들에 반대하는 시민들 사이에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혐한 시위대에 반대하는 일본 시민들이 플래카드를 든 채 시위를 벌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DB>> 김웅기 교수 "시위대 압박하며 반대 세력 결...
    Date2014.01.20
    Read More
  5. 인제 빙어축제 개막 첫날 '구름 인파'

    (인제=연합뉴스) 이재현 기자 = '겨울축제의 원조' 제16회 인제 빙어축제가 18일 개막한 가운데 축제장인 인제 남면 소양강 상류의 광활한 얼음벌판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관광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개막 첫날 19만명의 인파가 축제장을 찾았다. ...
    Date2014.01.20
    Read More
  6. No Image

    美 영화 산업에서 35㎜ 필름 시대 저문다

    디지털 상영 방식 대세…파라마운트, 35㎜ 필름 배급 중단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권훈 특파원 = 카메라에서 필름이 사라진 데 이어 영화에서도 35㎜ 필름이 퇴출될 조짐이다. 120년 동안 영화는 35㎜ 필름에 담아서 은막에 영사하는 방식이었지만 이제 디지...
    Date2014.01.20
    Read More
  7. No Image

    "호주에 이슬람교도 증가 추세"

    (시드니=연합뉴스) 정열 특파원 = 호주에 이슬람교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일간 데일리텔레그래프가 20일 보도했다. 신문은 호주이슬람협회 통계를 인용, 시드니에서만 매년 100명 이상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 가운데 3분의 2가량이 여...
    Date2014.01.20
    Read More
  8. 日언론 "韓中, 안중근 기념관으로 일본압박 공조" 주장

    안중근 의사 기념관 (서울=연합뉴스)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중국 하얼빈역에 19일 안 의사의 의거를 기리는 기념관이 전격 개관했다. 사진은 기념관 개관 전 마무리작업하는 모습. 2014.1.19 << 외교부 제공 >> photo@yna.co.kr "中, 아베 야...
    Date2014.01.20
    Read More
  9. 타임誌 표지사진 놓고 美 온라인 시끌

    (서울=연합뉴스) 미국 민주당의 유력한 잠재 대권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묘사한 시사주간 타임지(誌)의 표지가 '성차별적'이란 논란에 휩싸였다. 2014.1.17 << TIME 홈페이지 >> photo@yna.co.kr (끝)/사진부공용 kirin@yna.co.kr 2014-01-17 1...
    Date2014.01.19
    Read More
  10. 작년 訪韓 일본인 22%↓…엔저·외교갈등에 동남아로

    서울 명동의 호텔 주변 환전 안내판 옆으로 일본인 관광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DB>> 전체출국자 감소폭 상회 "엔저 탓도 있지만 관계악화 영향도 커" 현지 관광업계 "올해 1∼2월도 상황 좋지 않아"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작년 한 해 한...
    Date2014.01.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7 478 479 480 481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