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문화체육 관광부, “e스포츠 상설 경기장 날림 공사 우려”

posted Oct 02,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문화체육 관광부, “e스포츠 상설 경기장 날림 공사 우려”


539f84fe3b057deeaab202148a07e360_1570026096_8323.jpg
 


문화체육관광부가 전국 3개 지방에 구축 중인 e스포츠 상설 경기장에 대한 날림 공사 우려가 제기됐다.


제대로 된 e스포츠 경기장을 조성하기에는 할당된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동섭 간사(바른미래당)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8년 8월 e스포츠의 저변을 확대하고 지역 e스포츠를 진흥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e스포츠 상설경기장을 전국 3개 권역에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체부는 e스포츠 경기장 조성지로 부산광역시와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를 선정하고 e스포츠 경기장을 구축하고 있다. 각 지역별로 30억원 씩 국고를 지원하고 나머지 비용은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하여, 총비용으로 부산시 60억원, 대전시 70억원, 광주시 60억원의 예산으로 지어진다.


그러나 60~70억원 대의 예산은 제대로 된 e스포츠 방송 설비를 갖추기에도 부족한 비용이란 게 이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 서울시에 따르면 상암 e스포츠 경기장은 e스포츠 방송 송출 등에 필요한 설비 등을 갖추는 데만 해도 100억원을 투자했다는 설명이다.


서울 상암 e스포츠 경기장에 투입된 총 예산은 430억원으로 이번 지방 경기장 조성에 할당된 예산의 6~7배가 넘는다.


이에 따라 턱없이 적은 예산으로 지어지는 지역 e스포츠 경기장들이 결국 날림 공사를 통해 부실하게 지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아울러 문체부는 경기장 조성 지역 선정 심사 시에도 e스포츠 경기장 구축 전문가는 한 명도 없이, 이와 무관한 경력의 비전문가들을 투입(*별첨 참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제대로 된 지방 e스포츠 경기장을 조성하기보다는 결국 '보여주기식' 사업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이동섭 의원은 “정부의 e스포츠 진흥 의지는 높이 사지만, e스포츠 상설 경기장 건립 사업은 많은 우려가 된다.


서울 상암 e스포츠 경기장에 비해 턱없이 적은 예산으로 경기장을 지어야 하고, e스포츠 시설 구축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들이 사업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부실공사가 되지 않도록 문체부의 엄중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포츠닷컴 유규상 기자


  1. 최근 8개월간 신종 보이스피싱 악성 앱, 2만9천개 탐지

    최근 8개월간 신종 보이스피싱 악성 앱, 2만9천개 탐지 - 전화가로채기, 원격조종 악성 앱 월평균 3,619개 탐지, 차단돼 - - 고용진 의원 “보다 근본적인 예방정책으로 국민의 재산 보호해야” -   최근 8개월간 ‘전화가로채기’ 또는 ‘원격조종’ 같은 신종 보이...
    Date2019.10.04
    Read More
  2. 국가보안정보 넘어가는 의혹있는 중국산 드론, 해수부 및 산하기관 대부분 사용

    국가보안정보 넘어가는 의혹있는 중국산 드론, 해수부 및 산하기관 대부분 사용 - 중국산 DJI사 드론, 2017년 미육군 사용금지 지정 - - 미국 국토안보부 지난 5월 드론 비행기록 중국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는 우려 발표 - - 해양경찰청, 항만공사 등 대분분...
    Date2019.10.04
    Read More
  3. 원전, 공극 및 철판 점검보수에만 1,655억원 소요

    원전, 공극 및 철판 점검보수에만 1,655억원 소요 - 공극 245개 한빛 3,4호기 점검 및 보수 금액만 약 586억원 - - 콘크리트 공극 보수보다 CLP 보수 금액이 4배 이상 더 들어 -   2016년 6월 한빛2호기 격납건물에서 철판(CLP) 부식이 최초 발견된 후부터 현...
    Date2019.10.04
    Read More
  4. “LH, 주차용지 장사로 6,500억원 수익”올렸다

    “LH, 주차용지 장사로 6,500억원 수익”올렸다 - 성남판교 360억, 김포한강 219억에 주차용지 매각 - - 주차문제 심각, 민간에 매각할 수 있는 주차용지 제한해야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산 상록을)이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
    Date2019.10.04
    Read More
  5. 묻지마 부동산펀드, 금융시장 뇌관으로 해외부동산 펀드 50조 시대

    묻지마 부동산펀드, 금융시장 뇌관으로 해외부동산 펀드 50조 시대 - 상위 15개 투자운용사의 해외 부동산펀드 401개 중 191개펀드 손실中 - - 상위 15개 투자운용사 해외 부동산 투자액 33조 중 15조 (46%) 손실中 -   국내 부동산 규제 강화와 이에 따른 수...
    Date2019.10.03
    Read More
  6. 10년간 피의사실공표죄 317건 접수, 기소는 0건

    10년간 피의사실공표죄 317건 접수, 기소는 0건 - 경찰관의 직무집행법 위반죄 역시 70건 접수에 기소 0건...수사기관의 제식구 감싸기? - -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해 수사기관의 제 식구 감싸기 막아야”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인 박주민(더불어...
    Date2019.10.03
    Read More
  7. 윤준호 의원, 해양쓰레기 3년간 40% 이상 증가

    윤준호 의원, 해양쓰레기 3년간 40% 이상 증가 - 2018년 해양쓰레기 수거 및 처리 비용에 762억원 투입 - - 전남, 충남지역 해양쓰레기 3년간 두 배 이상 증가 - - 수거된 해양쓰레기의 재활용률 매우 저조, 대부분 소각처리 -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몇 년...
    Date2019.10.03
    Read More
  8. 김 양식장 ‘불법 염산’ 사용 증가하는 속사정

    김 양식장 ‘불법 염산’ 사용 증가하는 속사정 - 김, 2017년‧2018년 수출 5억 달러 달성… 세계 시장점유율 약 70% “식품업계 반도체” - - 김 양식 갯병 치료 위해 무기염산 사용해왔지만 정부, 소비자 고려 1994년 이후 사용 규제 - - 지자체가 ‘합법 약제’ 지...
    Date2019.10.03
    Read More
  9. 김영진 의원, 명의위장 사업자 적발 점점 증가...5년간 9,306건!

    김영진 의원, 명의위장 사업자 적발 점점 증가...5년간 9,306건!   최근 버닝썬과 아레나 사태를 계기로 명의위장 등을 통해 고의로 세금을 회피하는 유흥업소·대부업자 등 민생침해 탈세사범에 대한 집중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실제 명의위장 사업자 ...
    Date2019.10.03
    Read More
  10. 대마합법화 북미發 변종대마 원천 차단해야

    대마합법화 북미發 변종대마 원천 차단해야 - 북미지역 대마 합법화 영향! 대마류 밀수 79%가 미국·캐나다에서 들어와 - - 유력인사 자제 잇단 마약 일탈 주범! 대마 액상 카트리지 밀수 폭발적 증가 -   최근 마약류 중 변종 대마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
    Date2019.10.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0 221 222 223 224 ... 508 Next
/ 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