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김예지 의원, 불법복제물로 인한 피해, 매년 2조원 넘어...

posted Oct 22,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영희 기자]

김예지2.jpg


불법 복제물로 인한 피해규모 수준이 심각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받은 ‘불법복제물로 인한 피해규모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음악, 영화, 방송, 출판, 게임 5개 분야의 불법복제물로 인한 피해규모(침해금액)는 7조 4,404억원으로 조사됐다. 온·오프라인 경로 모두 영화 분야의 피해규모가 가장 컸고, 잠재적 합법시장 침해율은 10~12%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피해규모는 불법복제물 이용량 중 정품 구매 의사가 있었으나 불법복제물 구매로 인해 구매하지 않게 된 합법저작물의 양에 합법시장 평균단가는 적용한 금액으로, 실제 피해규모는 이를 훨씬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부터는 조사방법을 불법복제물 이용량 중심으로 변경하여 잠재적 합법시장 침해율 대신 불법복제물 이용률을 산출하고 있는데, 한국저작권보호원의 ‘저작권 보호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체 불법복제물 이용률은 22%로 나타났다. 온라인 경로에서 불법복제물 이용률은 22.5%, 오프라인 경로에서는 10.1%로 조사됐으며, 분야별로는 영화가 42.8%로 가장 높았고, 방송 31.4%, 출판 26.8%, 게임 24.8%, 음악 18.6% 순이었다. 


불법복제물 이용량은 2019년 한 해 동안 5개 분야에서 1,446,942개로 나타났는데, 분야별로는 음악이 919,812개(62.7%)로 전체 불법복제물 이용량이 가장 높았으며, 방송 461,748개(31.5%), 영화 53,952개(3.7%), 출판 21,948개(1.5), 게임 9,482개(0.6%)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저작권보호원은 국내 사이트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는 불법복제물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OSP(온라인서비스제공자)를 대상으로 경고, 삭제 등 시정권고 조치를 하고 있는데 2017년 554,843건, 2018년 571,416건, 2019년 671,75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권리자가 보호 요청한 저작물을 대상으로 불법성이 명확한 게시물에 대하여는 OSP에 침해사실 통지로 삭제조치를 하고 있는데, 2017년 5,319건이던 보호요청 저작물이 2019년 15,052건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고, 모니터링 및 OSP 삭제는 2017년 2,147건에서 작년 46,608건으로 20배 넘게 급증했다. 


문제는 해외 저작권 침해 사이트에 대한 조치다. 보호원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협력하여 방심위에서 접속 차단한 원천사이트의 대체사이트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방심위에 제공함으로써 차단 지원을 하고 있는데, 접속차단을 해도 서버는 여전히 해외에 있으면서, 국내에서만 차단되기 때문에 우회 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아 접속차단으로는 한계가 크다. 

  

김예지 의원은 “해외사이트를 통한 불법복제물 유통이 점점 급증하고 있다.문체부가 경찰청과 수사 공조를 하고는 있으나, 특히 미국의 보안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면, 원서버 추적이 어렵다. 국제 공조를 통해 폐쇄시키는게 가장 최선이고 효율적이다. 지속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유관기관과의 협업, 해외공조 등을 통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하다.”며, “불법복제물은 창작자들의 창작 의지를 상실하게 하고, 저작물 산업의 성장에도 악순환으로 작용한다. 공정한 유통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불법복제 방지 및 저작권 보호를 위해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1. 강득구 의원, ‘유치원’을 ‘유아학교’로 변경하는 유아교육법 개정안 대표발의

    [공병만 기자]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 만안)은 28일(수) 유치원을 유아학교로 변경하는 ‘유아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교육기본법 제9조(학교교육)에 따르면 “유아교육·초등교육·중등교육 및 ...
    Date2020.10.29
    Read More
  2. 박주민 의원, 공동체지원농업(CSA) 국내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개최

    [이영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국회의원은 10월 29일 15시 국회 의원회관 제1간담회실에서 <공동체 지원 농업(CSA) 활성화 방안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토론회는 박주민TV에서 온라인으로 동시 생중계될 계획이다. 백혜숙 농어업정책포럼 이사의 사...
    Date2020.10.29
    Read More
  3. 이용선 의원, ‘국회 기업반부패 협력포럼’ 발족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용선 의원(서울 양천을)이 27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국회 ‘기업반부패협력포럼’을 발족하고 첫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 문형구 반부패협력대사를 비롯하여 행사를 함께 준비한 유엔글로벌콤...
    Date2020.10.28
    Read More
  4. 한병도 의원, “국립희귀질환센터 및 부속병원 설립 법안” 대표 발의

    [이영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한병도(전북익산시을)의원은 27일 희귀질환의 조기발견 연구·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희귀질환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5년, 제정된 희귀질환법을 통하여 정부는 희귀질환 ...
    Date2020.10.28
    Read More
  5. 최형두 의원, 무료인 듯 무료 아닌 무료폰트…저작권 사냥 미끼로 악용

    [공병만 기자] 글꼴 저작권 관련 저작권 위원회 상담이 올해만도 2,428건에 달했다. 그 중 폰트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내용증명서를 받아 상담받은 건수만도 약 1,233건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최형두 의원은(국민의힘, 마산합포) “폰트 저작권을 ...
    Date2020.10.26
    Read More
  6. 이동주 의원, 소상공인 자금난 해소 “소상공인은행” 설립 제안

    [공병만 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동주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소상공인의 대부업체와 사채를 통한 대출규모는 27조 9천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하...
    Date2020.10.26
    Read More
  7. 이수진 의원, 택배 노동자 과로사를 없애기 위해 근로기준법 개정 추진

    [이영희 기자]  과로사로 추정되는 택배노동자 사망 건수가 올해만 해도 무려 14건에 이른다.  이수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 국회 환노위)은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근로기준법 제59조의 근로시간 특례조항 개정을 추진하기로 하...
    Date2020.10.26
    Read More
  8. 김예지 의원, 주인 못찾은 저작권보상금 누적액 841억원, 음반산업협회 등 보상금수령단체가 떼간 관리수수료는 478억원에 달해

    [공병만 기자] 저작권자에게 분배되지 못한 저작권보상금 누적액이 841억 원에 달하고, 저작권보상금 징수·분배 과정에서 보상금수령단체가 떼간 관리수수료는 47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저작권보상금제도는 저작물 이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 공익 ...
    Date2020.10.23
    Read More
  9. 이상헌 의원, “웹보드 게임 불법 환전상 판친다”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국회의원(울산 북구)은 웹보드게임의 불법환전 문제를 지적하며,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웹보드게임의 불법 환전 문제는 오랜 시간 지적되어 왔지만 개선되고 있지 않다. 최근 유튜브나 아프리카tv, 트위...
    Date2020.10.23
    Read More
  10. 이영 의원, ‘국세 신용카드 납부’ 납세자 수수료 부담액 1조원 돌파!

    [이영희 기자] 국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때 납세자가 부담한 수수료가 2020년 8월 기준 1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의힘 이영 의원(정무위원회)이 국세청과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8년 국세 카드납부 제도가 도입된 이후 신용...
    Date2020.10.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 507 Next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