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라남도, 해양쓰레기 예산 확대해 제로화 잰걸음

- 수거처리기반시설 등 5개 분야 767억…2026년 달성 목표 -

 

0bc62555be19c6674df40a63178d2049_1623311724_5685.jpg

 

전라남도는 ‘청정 전남, 블루 이코노미’ 비전 실현과 해양쓰레기 제로화 목표 달성을 위해 2021년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와 기반시설 확충 등 5개 분야, 23개 사업에 767억 원의 예산을 대대적으로 투입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실시한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용역 결과에 따르면 매년 약 2만 6천 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 이 가운데 2만 2천 톤을 수거처리해 약 4천 톤이 누적됨에 따라 현재 약 8만 7천 톤의 쓰레기가 처리되지 않고 있다.

 

이에따라 매년 발생량은 10% 감축하고 수거처리량을 15% 확대해 2026년에는 해양쓰레기 제로화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사전예방 ▲수거 효율화 ▲기반시설 확충 ▲재활용 확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우선 바람과 조류의 영향으로 도서벽지 등 바닷가에 산재한 해양쓰레기의 신속한 수거를 위해 14개 시군에 해양쓰레기 정화사업비 141억 원을 지원한다.

 

또한 2019년 70명으로 시작한 바다환경지킴이를 올해 231명으로 늘려 주요 해안가에 배치, 해양쓰레기 전담 수거와 투기행위 감시업무를 맡겨 깨끗한 해양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물론 취업 취약계층에 일자리도 제공하고 있다.

 

조업중 인양쓰레기 수매사업에도 23억 원을 투입한다.

 

또 양식어장 환경개선, 퇴적물 수거처리, 바닥갈이 등 양식어장 정화사업에 37억 원(2천860ha)을 들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친환경 수산물 생산기반을 조성한다.

 

해조류, 패류 양식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티로폼 부표가 미세플라스틱 발생 원인이 되는 점을 감안, 수산물 안전성과 해양생물 보호를 위해 친환경 부표로 교체 보급하는 사업을 지난해(112억 원)보다 대폭 늘어난 278억 원을 투입한다.

 

조업중 유실되거나 무단 투기되는 폐그물로 인한 해양환경 오염 예방을 위해 해수부에 생분해어구 보급사용 확대와 수산업법 개정을 적극 건의한 결과 2026년까지 생분해성 어구가 단계적으로 보급될 예정이다.

 

해양쓰레기의 효율적 수거 처리를 위해 육상선상집하장 69개소를 설치(43억원)하고, 인력과 장비 접근이 곤란해 해양쓰레기 수거가 어려운 50호 미만의 유인도서나 무인도서 3개소에 소형 소각시설을 설치한다.

 

어촌인구 노령화와 수거장비 문제 해결을 위해 3억 원을 들여 트랙터 등 수거장비를 보급하고 해양환경 정화선 2척(150억원)을 건조하는 등 수거처리 기반을 확충하고 있다.

 

이와함께 열악한 지자체 재정으로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에 한계가 있어 해양수산부, 국회 등에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사업비의 재원과 지원율을 균특 50%에서 일반국고 70%로 상향 지원하도록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처리를 관 주도에서 벗어나 어업인, 수협, 민간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도록 거버넌스 구성 운영을 통해 해양환경 보호에 다함께 참여토록 교육과 홍보활동을 함께 할 예정이다.

 

강성운 전남도 해운항만과장은 “전남의 비교우위 자산인 바다, 섬, 갯벌 등 블루자원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해양쓰레기 제로화는 필요하다”며 “어업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해양쓰레기는 스스로 처리한다는 의식 전환과 함께 육상에서부터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지 않도록 생활 주변 및 하천변 쓰레기 상시 수거처리,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등에 동참할 것”을 당부했다.

 

스포츠닷컴 신인숙 기자


  1. 경상남도-거제시-얌테이블, 일자리를 창출 투자 협약 체결

  2. 충청북도, 방사광가속기 기반 신성장 산업 발굴 박차

  3. 김산 무안군수, 2022년 주요 현안사업 해결 위해 동분서주

  4. 제주 서부농업기술센터, 지역농협 협업 새 소득작목 육성

  5. 강원도,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6. 제주농기원 서부농업기술센터, 2021년 농촌지도사업 중간 현장평가

  7. 경상남도, 건축물 해체공사현장 844개소 긴급점검완료

  8. 충청남도, 33개 지정 해수욕장 오는 3일 개장

  9. 경주시, 동부사적지 첨성대 일원에 플록스 꽃단지 조성

  10. 제주자치경찰단, 4.5톤 이상 화물차량, 7월 1일부터 5‧16·1100도로 통행제한

  11. 충청남도, 부여·서천·태안 상수도 유수율 85% 달성

  12. 경주 보문카라반파크, 다음달 1일부터 하계 물놀이장 개장

  13. 강원도, 속초, 홍천, 양구, 인제, 고성, 양양 6개 시·군 주민 7월 1일부터 미시령터널 무료 이용

  14. 전라남도, ‘전라선 고속철도’ 등 3개 사업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규 반영

  15. 충청남도, 서해 KTX 시대 ‘조기 개막’ 속도 낸다

  16. 충청북도, ‘철도왕국’ 건설을 위해 도정역량 결집

  17. 제16회 제주포럼 <경계를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로> 문화세션 개최

  18. 제주특별자치도-한국예탁결제원, 도내 창업생태계 활성화 위해 ‘맞손’

  19. 전라북도, 2020년 한해동안 16,390가구 귀농귀촌

  20. 제주특별자치도·호주, 탄소중립 목표 달성 위해 기회 모색

  21. 전라남도, 2022년 전국무용대회 유치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135 Next
/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