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강민국 의원, 국민은 원리금 상환에 고통받는데 은행은 3년간 예대금리차 수익으로만 약 120조원 벌어!

posted Sep 08,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영란 기자]

강민국.jpg

 

최근 정부의 대출 금리 인상 등 규제 강화로 인해 서민들의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대출금리와 예금 등 수신금리 차이로 벌어들이는 예대금리차(예대마진) 수익이 천문학적인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정무위원회, 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은행 예대금리차 및 수익내역』을 살펴보면, 은행들의 예대금리차로 인한 수익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3년간 국내 은행들이 예대금리차로 벌어들인 수익을 살펴보면, 2018년 39조 4,867억원⇨2019년 39조 8,335억원⇨2020년 40조 3,133억원으로 3년간 총 119조 6,335억원에 달하였다.

 

또한 2021년 7월말 현재까지 은행 예대금리차 수익이 24조 8,961억원에 달하는 것을 감안 할 때, 2021년 역시 2020년 수준을 충분히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은행들의 예대금리차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유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현재 예대금리차는 저금리 기조 지속으로 과거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대출자산 규모 확대에 따라 이자 이익이 증가하였다’고 답변하였다.

 

그러나 지난 3년간 국내 은행들의 평균 예대금리차가 2018년 2.06%⇨2020년 1.78%로 2018년 대비 –98% 감소한 반면, 수익은 2018년 39조 4,867억원⇨2020년 40조 3,133억원으로 403%로 증감하였기에 ‘예대금리차가 낮은 수준이라 은행의 예대금리차 수익 증가는 문제가 없다’는 답변은 적절하지 못하다.

 

한편, 국내 은행들이 막대한 예대금리차 수익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2020년말 기준,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대출 규모를 살펴보면, 가계대출이 1조 6,915억원(8만 4,545건), 기업대출이 3조 4,773억원(2만 5,944건)에 달하였다.

 

더욱이 2021년 7월까지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가계대출이 1조 5,933억원(8만 5,752건), 기업대출은 3조 7,315억원(2만 9,770건)으로 이미 2020년 대출 규모를 넘어섰다.

 

강 의원은 “국민들은 원리금 상환으로 허리가 휘는데, 은행들은 예대금리차로 120조원이라는 천문학적 수익을 올리고 있다는 것은 결국 은행이 국민들의 빚으로 자신들만 배를 불리고 있는 것이다”고 비판하며,

 

“예대금리는 은행의 자율 권한이지만, 길어지는 코로나19로 인해 국가 경제와 서민 가계가 힘든 현실에 금융기업으로서 가져야 할 최소한의 윤리성을 벗어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금융감독원은 은행에서 대출금리가 투명하게 부과되는지 철저히 점검하고, 인상 근거에 문제가 있을 시에는 엄중히 처벌할 것”을 주문했다.


  1. 송재호 의원, 「산업안전보건법」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2건의 개정안 발의

    [공병만 기자]   송재호 의원(제주시 갑·정무위)은 23(목)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선지급 제도를 도입하는 등 현장 안전을 강화하는 내용의 「산업안전보건법」,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총 2건의 개정안을 발의하였다.   정...
    Date2021.09.23
    Read More
  2. 진성준 의원, 부모찬스 미성년자 2,842명, 임대료 558억

    [이영란 기자]   지난해 미성년자 2,842명이 벌어들인 임대소득이 558억원에 달하며 인원과 금액에 있어 매년 사상 최대치를 갱신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진성준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2019년 5년간 미성년자 5년간 11,...
    Date2021.09.23
    Read More
  3. 양정숙 의원, 중소기업 사이버위협 무방비 상태 대책마련 시급

    [공병만 기자]   사이버위협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피해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17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Date2021.09.17
    Read More
  4. 서영교 의원, 언론중재법은 가짜뉴스 방지법 <언론중재법 개정안> 통과 필요성 강조

    [이영란 기자]   서영교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중랑구 갑)이 코로나에 대한 가짜뉴스를 지적하며 <언론중재법 개정안>의 통과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영교 의원은 16일 2021년 정기국회 교육·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 질의자로 나서서, 전해철 행정...
    Date2021.09.17
    Read More
  5. 노웅래 의원, 일하고 돈 못받은 사람··· 올해만 15만명

    [공병만 기자]   올해 들어 일하고 제때 돈 못 받은 사람만 약 15만여 명에 달하고 이들의 평균 체불금액은 550만원이 넘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민주연구원장, 서울 마포갑)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
    Date2021.09.16
    Read More
  6. 오영환의원, 대형 물류창고․공사장, 노후 건축물 화재안전 대폭 강화된다.

    [이영란 기자]   오영환의원(더불어민주당 의정부시 갑)은 지난해 9월 17년간 운영해오던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변화하는 소방환경에 맞추어「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과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
    Date2021.09.16
    Read More
  7. 임오경 의원, 「소비자 기본법」,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발의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 경기광명갑)은 14일(화)블랙컨슈머·악성댓글 등으로부터 고통받는 자영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소비자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안」을 각각...
    Date2021.09.15
    Read More
  8. 권인숙 의원,「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표 발의

    [이영란 기자]   권인숙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교육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은 아동·청소년 관련 성범죄자 취업제한 대상기관을 확대하도록 하는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15일(수) 대표 발의했다.   현행법은 성범죄자가 일정...
    Date2021.09.15
    Read More
  9. 이용호 의원, ⌜택시호출비 상한법⌟ 대표발의

    [공병만 기자]   택시호출중개요금을 해당 플랫폼사업자 임의대로 인상하지 못하도록 하는 논의가 국회에서 추진될 예정이다.   이용호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북 남원·임실·순창)은 14일, 플랫폼운송중개사업자가 택시호출중개요금을 정하는 경우 중앙 ...
    Date2021.09.14
    Read More
  10. 김원이 의원, 국가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법안 발의

    [이영란 기자]   국가가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고용여건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 청년들의 소득 감소 문제에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
    Date2021.09.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 507 Next
/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