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동해안 해수욕장 청정한 피서지로 확인

- 주요 해수욕장 21개소를 대상으로 개장 전 수질 위생 안전성 조사 결과, 장염을 일으키는 건강영향 미생물인 대장균과 장구균 수질기준에 적합 -

- 백사장 토양 중 유해중금속 5항목 모두 환경기준 이하로 청정 -

 

강원.jpg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은 개장을 앞둔 도내 해수욕장 21개소를 대상으로 2022. 5. 30.부터 6. 24.까지 환경 안전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든 지역이 청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강릉(정동진, 경포, 안목, 연곡), 동해(추암, 망상, 대진), 속초(외옹치, 속초), 삼척(장호, 덕산, 맹방, 삼척), 고성(아야진, 백도, 송지호, 화진포), 양양(낙산, 하조대, 인구, 동호

 

‘해수욕장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해수욕장의 환경관리에 관한 지침’의 환경기준에 따라 수질과 백사장 토양을 조사한 결과, 수인성장염 발생을 유발하는 대장균과 장구균은 모든 해수욕장에서 수질기준에 적합하였다.

 

대장균은 0 ~ 14 CFU/100mL(기준: 500 이하)이였으며, 장구균은 모두 0 CFU/100mL(기준: 100 이하)로 나타났다.

 

백사장 토양은 어린이 활동공간의 바닥모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유해중금속 5항목(카드뮴, 비소, 수은, 납, 6가크롬)을 분석한 결과 모두 기준 이내로 안전하였다.

 

카드뮴은 평균 0.49 mg/kg으로 기준(4 mg/kg)의 12%, 납은 평균 5.1 mg/kg으로 기준(200 mg/kg)의 3% 수준이었고, 비소·수은·6가크롬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은 개장 중에도 이용객의 건강상 위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환경이 제공되도록 지속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며, 해수욕장 폐장 후에는 환경오염도에 대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1.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제적 재해·재난 대비 철저 강조

  2. 경상북도, 비탈면 붕괴 대비 주택 긴급 안전점검

  3. 전라북도-소방본부-응급의료센터, ‘응급실 표류’막는 응급의료 발전 협약 체결

  4. 무안군 - 한국상생제조연합회, 우수농산물 판매 업무협약

  5.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 도내 집단급식소 불법행위 51곳 적발

  6. 전라남도, 청정에너지 전환 위한 수소경제 육성 잰걸음

  7. 무안군, 정부출연 연구기관 유치에 총력

  8. 제주특별자치도,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상환 안정화 선제적 대응키로

  9. 김영록 전남도지사, “양식장 수산물 방사능 안전필증, 전 품목 시행”

  10. 충청남도, 여름 휴가철 대비 물놀이장 등 안전 점검

  11. 경기도, 아마존(AWS)과 협력해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추진

  12. 제주특별자치도-한화시스템, 제주에 첨단 위성제조시설 짓는다

  13. 전라남도, 교통약자 이동권 증진 기반 구축

  14. 제주특별자치도, 산업입지 수급계획 수립 추진

  15.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인체교상 참진드기 동정 및 병원체 검사 실시

  16. 제주평화대공원 조성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조성사업 탄력

  17. 경상남도, 미래항공우주산업 도약을 위한 청사진 마련

  18. 제주특별자치도, 대중교통 수요 많은 연삼로, 서광로, 남북측 오가는 급행버스 운영

  19. 충청북도, 혁신기술 제조창업 공유공장 구축 간담회 개최

  20. 제주특별자치도, 도 전역 지하수 수질감시 체계 촘촘 구축

  21. 충청남도 동물위생시험소, 위생적이고 안전한 달걀 공급 ‘총력’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38 Next
/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