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경상북도, 기관 갈등 유발하는 “교육전출금”제도 대대적으로 손봐야

- 일률적인 교육재정교부금, 지방정부 재정악화와 갈등유발 -

- 2017년 이후 현재까지 경상북도 비법정전출금 6배 넘게 늘어 -

- 교육비 특별회계 전출금으로 무상급식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

 

경북도청.jpg

 

이철우 지사는 교육행정과 광역행정간 불필요한 갈등을 유발하고 지방정부의 재정난을 부추기고 있는 “교육전출금”제도를 대대적으로 손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교육청의 세입예산은 과세권이 없어 국세와 지방세에 의존하는 구조이며, 국세와 지방세의 일정부분을 일률적으로 시도교육청에 전달하는 형국이다.

 

특히, 중앙정부에서 배정하는 교육교부금 말고도 광역자치단체로부터 시도세의 3.6%~10%를 법정전출금으로 받고 있다.

 

경상북도의 경우 2021년에만 5,444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교육청에 지원하였고 그 중 법정전출금 4,222억원이고 비법정전출금 1,222억원이다.

 

3527e5694685605aa2f94b9b023a48c6_1666693636_7701.jpg

 

학령인구는 지난 20년간 30%가 넘게 감소하고 있는데 학생수에 관계없이 법정전출금은 정부의 세금징수 실적에 연동돼 지속해서 늘어나고 이렇다 보니 초중고등학교의 사업성 자본지출을 늘이는 상황이다.

 

현장에서는 넘치는 교육예산 때문에 일선학교의 교직원들이 사업을 새로 만드는데 동원될 지경이라고 한다.

 

법정전출금은 남아돌고 있는데 공립학교 설치‧운영과 교육환경개선 사업 등에만 사용하면서 다시 시도지사에게 비법정전출금의 형태로 무상급식 등 사업에 예산지원을 요청하고 시도는 1,000억원이 넘는 재원을 고스란히 교육청으로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비효율적 재정지출구조가 지방대 위기와 같은 고등교육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OECD가 공개한 ‘OECD교육지표 2022’분석결과를 보면 특히, 한국은 초중등교육에 대한 지출비중은 OECD평균보다 높고 고등교육에 대한 지출은 OECD평균을 한참 하회한다.

 

2019년 기준으로 초등교육에는 1만3341달러를 지출해 OECD평균인 9923달러에 비해 34%나 높고, 중등교육은 1만7078달러로 OECD평균인 1만1400달러보다 50%가까이 높다. 반면, 고등교육은 1만1287달러로 OECD평균인 1만7559달러의 64%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철우 지사는 “지방정부는 고등교육에 투자하고 대학을 혁신해 기업을 불러모으고 일자리를 만드는데 집중해야 한다.”면서 “도세의 3.6%에 해당하는 교육비특별회계 전출금의 용도를 무상급식으로 까지 확대하여 불필요한 갈등의 소지를 없애고 도청과 교육청은 함께 경북을 살리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 경상북도, 사용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착공식 개최

  2. 충청남도, 제5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3. 충청북도, 수소산업 기술교류회 개최로 민·관 협력 강화

  4. 제주특별자치도,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개최

  5. 전라북도, 한국체인스토어협회와 손잡고 농수축산물 판로 확장

  6. 안산시, 아동권리인식 재고를 위한 「아동복지시설 종사자 역량교육」 실시

  7. 제주특별자치도, 2023 제주국제청년포럼(JIFF) 개최

  8. 전라북도, 이차전지 음극재 전문기업 투자유치

  9. 충청북도, 주소정보를 활용한‘자율주행차 주차’시연

  10. 충청남도, 인구 활력 융복합 프로젝트 ‘시동’

  11. 충청북도, 경제위기에도 불구 투자유치 10조원 조기 달성!

  12. 경상북도, 투자유치 기반 마련 위한 산업용지 적기 공급 추진

  13. 충청남도, 야생동물 질병 감시 협력체계 구축

  14. 경남도립거창대학, 지역 인구 소멸 대응을 위한 민·관·학 거버넌스 워크숍 개최

  15. 제주특별자치도-노르웨이, 탄소중립·해양보전 공동 목표 향해 교류 추진

  16. 전라북도, ‘숲 가꾸기 1일 체험행사’ 개최

  17. 안산시, 「안산사이언스밸리 경제자유구역 지정」 박차… 추진보고회 개최

  18. 제주특별자치도, 에너지 대전환 위한 핵심기술 섹터커플링 융합연구단 현판식 및 발대식 개최

  19. 충청남도, 네덜란드와 ‘스마트농업 교류협력’ 나선다

  20. 안산시 시민동행 추진단 300인 대토론회. 「이민청 유치」 안산의 미래를 담다.

  21. 제주특별자치도, 동부권 5,500세대 공공주택지구 들어선다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38 Next
/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