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美"일본전범 35명" 공식확인…軍위안부 관련자들 포함

posted Apr 02,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996년 발표때 16명보다 두배 늘어…'731부대' 관련자가 대다수

두명 입국시도하다 거부당해…美, 대일관계 우려해 명단 비공개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미국 법무부는 1일(현지시간) 입국금지 리스트에 올라있는 일본 전범 혐의자의 숫자가 현재 35명에 이른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는 입국금지 조치가 처음으로 내려진 1996년 12월의 16명에 비해 두배 이상 늘어난 것이어서 주목된다.

피터 카르 미국 법무부 공보담당은 이날 일본 전범 혐의자의 현황을 묻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현재 입국금지 리스트(Watchlist)에 등재된 일본 전범 혐의자 숫자는 35명"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구체적인 전범 혐의자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중 20명 가량은 생체실험과 세균전으로 악명높은 일제 '731부대' 소속이며 나머지 전범 혐의자 가운데 군대 위안소의 설립과 운영에 관련된 사람들도 상당수 들어있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미국 법무부 특별조사국(OSI)은 미국 국무부의 요청에 따라 이들 35명의 명단을 일본에 알려줬으나 정작 일본 측은 미국이 요구한 생일이나 출생지 정보 등을 제공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당초 일본 전범 혐의자 명단의 공개를 검토했으나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우려하는 내부 의견이 제기되면서 공개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일본 전범혐의자 숫자가 늘어난 것은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 법무부 특별조사국을 중심으로 일본 전범행위 수사가 본격화되고 2000년대 초반부터 미국 연방정부 합동조사단이 일본 전범 관련 자료발굴에 적극 나선데 따른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독일 나치 전범 및 일본전범기록 관계부처 합동조사단(IWG)은 지난 2007년 4월 최종보고서에서 "빌 클린턴 행정부 당시 국가안보보좌관을 맡은 새뮤얼 버거는 2000년 12월 관련 기관들에 공문을 보내 193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에 의해 저질러진 전쟁범죄 관련 기록을 예비조사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합동조사단은 ▲식민지 여성에 대한 일본의 조직적 성노예화를 의미하는 소위 '위안부' 프로그램과 관련한 자료와 함께 ▲강제노역 또는 노예활동을 포함해 전쟁포로와 민간인에 대한 일본군의 처우 ▲민간인을 상대로 한 박해와 잔혹 행위 ▲생화학무기 개발과 사용, 특히 731부대와 부대장인 이시이 시로(石井四朗) ▲일왕과 특정 전범들을 불기소한 미국 정부의 결정과 관련한 자료를 발굴하라고 지시했다.

 

합동조사단은 특히 군대 위안부(comfort women)가 일본의 조직적 성 노예 프로그램이라고 결론짓고 관련자료 발굴지침을 하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미국인 입국금지 리스트에 오른 일본인 전범 혐의자 가운데 입국을 거부당한 사람은 요시오 시노주카(Yoshio Shinozuka)와 시로 아주마(Shiro Azuma) 등 두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두명은 1998년 '2차대전 당시 아시아의 잊혀진 대학살'이라는 제하의 강연을 위해 미국과 캐나다를 방문할 예정이었다.

1926년생인 요시오 시노주카는 미국 시카고 오헤어 공항에서 입국을 거부당하고 추방됐다. 그는 16세부터 '731부대'에서 복무하면서 중국인 포로들을 대상으로 생체실험을 저지른 혐의로 입국금지 리스트에 올라있었다. 그는 1973년 법정 증인으로 나와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해서는 안될 일을 했다"며 자신의 과오를 반성했다.

 

1920년생인 시로 아주마(2006년 사망)는 1937년 난징대학살에 가담한 혐의로 입국금지 리스트에 올라있었다. 그는 당시 병환으로 인해 실제 미국에 가지 않았으며 2006년 사망했다.

rh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4/04/02 12:00 송고


  1. No Image

    "오바마, 23∼25일 일본 국빈 방문"<닛케이>

    (도쿄=연합뉴스) 김용수 특파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3∼25일 2박3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일 보도했다. 일본은 오바마 대통령을 국빈으로 대우하며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정상 회담을 하는 방향으...
    Date2014.04.02
    Read More
  2. No Image

    우크라 "러'흑해함대 주둔협정 폐기 제소할 것"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우크라이나가 1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취한 흑해함대 주둔 협정 폐기 결정을 인정할 수 없다며 국제재판소 제소 방침을 밝혔다. 우크라이나 우니안(UNIAN) 통신에 따르면 파벨 페트렌코 우크라이나 법무부 장관은 이날 "...
    Date2014.04.02
    Read More
  3. No Image

    美"일본전범 35명" 공식확인…軍위안부 관련자들 포함

    중문 일본어 1996년 발표때 16명보다 두배 늘어…'731부대' 관련자가 대다수 두명 입국시도하다 거부당해…美, 대일관계 우려해 명단 비공개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미국 법무부는 1일(현지시간) 입국금지 리스트에 올라있는 일본 전범 혐의자의 숫...
    Date2014.04.02
    Read More
  4. 유럽의 '태권도 전도사' 황대진 핀란드 한인회장

    핀란드 태권도 사범과 한국 찾은 황대진 핀란드한인회장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황대진(72) 핀란드 한인회장은 지난달 31일 2주의 일정으로 2명의 핀란드 태권도 사범과 함께 한국을 방문했다. 사진 왼쪽부터 사미 레티란타(41) 사범, 황 회장, 펜티 ...
    Date2014.04.02
    Read More
  5. '질주 본능' 노루 가족

    [ 2014-04-01 15:38 송고 ] '질주 본능' 노루 가족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화창한 날씨를 보인 1일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에 있는 한국마사회 제주목장의 초지에서 봄나들이를 나온 노루 가족이 풀을 뜯다가 카메라 셔터 소리에 놀라 뛰어가고 있다. 2...
    Date2014.04.01
    Read More
  6. No Image

    중국, 한국의 이어도 포함 해양조사에 '경계심'

    (상하이=연합뉴스) 한승호 특파원 = 우리나라가 이어도(중국명 蘇岩礁·쑤옌자오)를 포함한 모든 관할 해역에 대한 해양조사에 나서는 데 대해 중국이 경계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한국 국립해양조사원이 4월부...
    Date2014.04.01
    Read More
  7. 동아시아 학술대회 필라에서 가져...

    [미국현지=차문환 대기자/스포츠닷컴] 해마다 3월 미국 도시 돌며 개최 춘원 이광수 딸 이정화 여사 아버지 작품 ‘흙’ 영문판 보며 감격 미국 아시아학회가 주관하는 동아시아 학술 컨퍼런스가 지난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필라델피아 다운타운에 위치한 매리...
    Date2014.04.01
    Read More
  8. '김치 워리어' 세계 최대 웹시리즈 축제 첫 '3관왕'

    '김치 워리어' 세계 최대 웹시리즈 축제 첫 '3관왕' (서울=연합뉴스) 세계 최대 웹시리즈 축제인 '미국 LA웹시리즈 페스티벌(LAWEBFEST)'에서 재미 영화인인 강영만(48) 감독의 '김치 워리어(Kimchi Warrior)'가 페스티벌 첫 출품과 함께 3관왕 수상이라는 영...
    Date2014.04.01
    Read More
  9. <코이카 창립 23주년…민관 협력사업 20년>(종합)

    코이카 창립 23주년, 사회공헌 활동 (성남=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정부의 무상원조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KOICA)가 올해로 창립 23주년을 맞았다. 31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노인종합복지관에서 코이카 임직원들이 지역 어르신들을 ...
    Date2014.04.01
    Read More
  10. 독립운동가 후손·中동포 이순신 알리기 대거 동참

    독립운동가 김봉준의 후손인 김광릉(왼쪽 3번째) 씨가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붓글씨로 쓴 후 서경덕(2번째) 교수와 기념촬영하고 있다. 서경덕 교수 '성웅 이순신' 프로젝트에 중국인도 합세 (서울=연합뉴스) 왕길환 기자 = 중국 상하이(上海)에 거주하...
    Date2014.03.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54 455 456 457 458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