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미국, 反트럼프 물결

posted Feb 20,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미국, 트럼프 물결


미국도 대통령 때문에 무척 시끄럽다. 20(현지시간) 대통령의 날을 앞두고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달아 개최됐다.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수백명에 달하는 미국의 과학자들과 환경론자들은 19일 보스턴 코플리광장에서 대대적인 반트럼프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과학이 번영과 진보의 중추 역할을 한다"고 외치며 트럼프 대통령의 기후변화·에너지정책에 우려를 표명했다. 전날엔 뉴욕 워싱턴스퀘어 공원에서 "미국의 대통령제가 죽었다"는 의미의 모의 장례식(mock funeral)이 열렸다. 모의 장례식을 연 시위대는 미국의 대통령제가 조지 워싱턴 초대 대통령이 취임했던 1789430일 시작돼 트럼프가 취임한 2017120일 끝났다고 주장하며 '미국 대통령제'라고 이름 붙은 관을 들고 가두행진을 벌였다.

 

'대통령의 날' 당일인 20일에는 로스앤젤레스(LA), 시카고, 뉴욕 등 대도시 곳곳에서 본격적인 대규모 반트럼프 시위가 열릴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한달째와 맞물린 이날 시위에는 개최장소에 따라 수천, 수만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 맨해튼 센트럴파크에서 시위를 기획한 노바 캘리즈는 "트럼프는 우리의 생각을 대변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대통령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트럼프가 (대통령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가 시행하려는 정책들은 대부분 사람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것들"이라고 지적했다.


afqs.jpg

 

LA와 애틀랜타, 시카고 등지에서도 유사한 성격의 시위가 계획돼 있다. 백악관 수석 전략가 겸 선임고문인 스티브 배넌을 겨냥해 "대통령 배넌을 탄핵하라"는 팻말도 뉴욕, 워싱턴 DC, 볼티모어, LA 등 대도시 곳곳에 모습을 드러냈다. 반트럼프 단체들이 배넌이 트럼프 행정부 최고 실세로 트럼프보다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꼬집은 것이다.

 

팻말은 로널드 레이건, 조지 H.W. 부시, 빌 클린턴,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등 전임 대통령의 이름을 나열한 뒤 현 대통령으로 배넌의 이름을 명시하고 있다. 이 단체들은 "스티브 배넌을 뽑은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그는 사실상 미국의 45대 대통령"이라고 비난했다. 반트럼프 진영은 "(팻말을 본) 트럼프가 분노의 트윗 한두 개쯤은 날리지 않겠느냐""어쩌면 그가 제일 좋아하는 두 마디를 배넌에게 할지도 모른다. 바로 '당신은 해고야'라는 말(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리얼리티쇼에 출연해 다수 언급해 유행이 된 말) 말이다"라고 전했다.


스포츠닷컴 국제팀

 



  1.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만이 28일(현지시간) 2·28 사건 70주년을 맞았다. 이 사건은 국민당 군인과 경찰이 차별에 항거한 대만 주민들을 유혈 진입한 일로, 최대 2만8000명의 ...
    Date2017.02.28
    Read More
  2. 국방부 "사드, 5-7월경, 가능한 빨리 배치“

    국방부 "사드, 5-7월경, 가능한 빨리 배치“ 국방부는 28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될 시기에 대해 "가능한 빨리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사드 부지 확보를 위한) 부지 교환이 이뤄졌기 ...
    Date2017.02.28
    Read More
  3. 트럼프 “이젠 늦었다"…대북 초강력 경고

    트럼프 “이젠 늦었다"…대북 초강력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발언이 예사롭지 않다. 그동안 북한의 핵과 미사일위협을 중대한 사안이라고 인식하면서도 극단적 발언은 삼갔으나, 2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작심한 듯 북한에 ...
    Date2017.02.24
    Read More
  4.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강화… 모든 이민자는 잠재적 추방 대상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강화… 모든 이민자는 잠재적 추방 대상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 혼란의 소용돌이가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법원의 반대로 중지된 ‘반이민 행정명령’의 우회카드로 불법 체류자의 대대적인 단속을 꺼내 들었...
    Date2017.02.22
    Read More
  5. 말레이 보건당국, 김정남 시신 "심장마비 증거·침흔적 없어…유족 기다린다“

    말레이 보건당국, 김정남 시신 "심장마비 증거·침흔적 없어…유족 기다린다“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은 지난 13일 사망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이 심장마비를 일으켰다는 증거가 없고 시신에 외상이나 뚫린 흔적도 없었다고 밝혔다. 또 김정...
    Date2017.02.21
    Read More
  6. 미국, 反트럼프 물결

    미국, 反트럼프 물결 미국도 대통령 때문에 무척 시끄럽다. 20일(현지시간) 대통령의 날을 앞두고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달아 개최됐다.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수백명에 달하는 미국의 과학자들과 환경론자들은 19일 보스턴 코플...
    Date2017.02.20
    Read More
  7. 남중국해 미,중간 군사갈등 고조

    남중국해 미,중간 군사갈등 고조 남중국해에서 미,중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이 칼빈슨 항공모함 전단을 남중국해에 전개하자 중국은 20일 관영매체를 통해 '전투태세'를 경고하며 무력과시에 나섰다. 중국중앙(CC)TV는 지난 15∼16일 남중국해에서 해...
    Date2017.02.20
    Read More
  8. 정부 '김정남 암살 北배후' 공식화

    정부 '김정남 암살 北배후' 공식화 우리 정부는 김정남(46) 암살사건의 배후로 북한 정권을 공식 지목하면서 이 사건을 계기로 전방위 대북압박에 나설 태세를 갖추고 있다. 정부는 핵·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리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자신의 권력을 ...
    Date2017.02.20
    Read More
  9. “말레이경찰, 김정남 암살 용의자로 보이는 북한 여권 소지 남성 체포”

    “말레이경찰, 김정남 암살 용의자로 보이는 북한 여권 소지 남성 체포”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경찰이 김정남 살해 사건과 관련 17일 밤 북한 여권을 소지한 남성(47)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체포했다고 현지 중국어 신문 중국보를 ...
    Date2017.02.18
    Read More
  10. WP, “트럼프 다음주 새 ‘反이민 행정명령’ 발표”

    WP, “트럼프 다음주 새 ‘反이민 행정명령’ 발표”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주 새로운 이민규제 정책이 담긴 행정명령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법원의 시행 중지 결정으로 지루한 법정 싸움에 부...
    Date2017.02.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6 277 278 279 280 ... 574 Next
/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