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posted Feb 28,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만이 28(현지시간) 2·28 사건 70주년을 맞았다. 이 사건은 국민당 군인과 경찰이 차별에 항거한 대만 주민들을 유혈 진입한 일로, 최대 28000명의 희생자를 남겼다. 시위와 파업은 1947227일 시작됐다. 국민당 전매국 단속반원이 무허가로 담배를 팔던 노점상 여인을 구타한 것이 계기가 됐다. 단속에 항의하는 학생이 경찰의 총에 맞아 사망하자 주민들의 봉기는 28일 대만 전역으로 확산됐다. 이에 1945년 패망한 일제로부터 대만을 인수한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蔣介石)는 대만 행정장관의 요청에 2개 사단 병력을 보내 대만 주민들을 무차별로 학살했다. 이로 인해 18000~28000명이 희생됐다고 2·28사건 연구보고는 추산했다.


oght.jpg

 

()나라 때부터 대만에 건너와 살았던 중국계 후손인 본성인(本省人)과 광복 이후 중국에서 건너온 외성인(外省人) 간 차별은 봉기가 격화된 배경이 됐다. 당시 외성인은 인구에서 채 20%가 안됐지만 기득권 세력을 이루고 있었다. 이후 장제스는 1949년 마오쩌둥(毛澤東) 전 국가주석에 쫓겨 대만으로 넘어왔으며 1975년 타계할 때까지 계엄령 아래에 있던 대만을 통치했다. 이로 인해 2·28 사건은 금기어가 됐다. 이후에도 긴 시간 동안 이 사건은 입에 올릴 수 없는 역사였다. 그러다 1995년 국민당 소속의 리덩휘(李登?) 당시 총통이 피해자들에게 공식 사과하고 국가 차원의 배상을 약속하면서 사건은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진상규명과 피해자 보상 등의 작업은 국민당 마잉주(馬英九·2008~2016) 총통의 집권으로 거의 중단됐다.

 

특히 올해의 2·28 사건 기념식은 의미가 깊다.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민진당 정부 출범 이후 처음 맞은 행사이기 때문이다. 대만 정부는 기념일에 앞서 타이베이(臺北) 한복판에 있는 중정(中正·장제스의 본명)기념당의 용도 변경을 진행하고 있다. 기념당 내 장제스와 관련한 흔적도 지우고 있다. 지난 2000년 국민당 장기집권을 무너뜨린 민진당 천수이볜(陳水扁) 총통이 기념당을 '대만 민주기념관'으로 바꿨지만 마잉주 전 총통이 원상복구시켰다. 아울러 차이 총통은 지난 23일에는 사건 당시 대만의 행정장관이 장제스에게 군 병력을 요청하며 보낸 전문도 처음 공개했다.

 

최근 들어 중국은 차이 총통이 '92컨센서스'(92공식·1992'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고 독립 성향의 행보를 보이는 것과 관련해 대만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주 중국의 대만사무를 총괄하는 국무원 대만판공실은 대만 독립 지지자들이 "갈등을 유발시키고 여론을 분열시키기 위해" 기념식을 조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중국 공산당은 당시 주민들의 봉기를 1949년 공산당 승리로 이어진 전체 투쟁의 일부로 보고 있고 있는 반면 대만은 본성인의 동의 없이 대만을 통치하려는 시도에 대한 반발로 여기고 있다.


스포츠닷컴 국제팀

 



  1.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관계 긴장 고조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대만이 28일(현지시간) 2·28 사건 70주년을 맞았다. 이 사건은 국민당 군인과 경찰이 차별에 항거한 대만 주민들을 유혈 진입한 일로, 최대 2만8000명의 ...
    Date2017.02.28
    Read More
  2. 국방부 "사드, 5-7월경, 가능한 빨리 배치“

    국방부 "사드, 5-7월경, 가능한 빨리 배치“ 국방부는 28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될 시기에 대해 "가능한 빨리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당국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사드 부지 확보를 위한) 부지 교환이 이뤄졌기 ...
    Date2017.02.28
    Read More
  3. 트럼프 “이젠 늦었다"…대북 초강력 경고

    트럼프 “이젠 늦었다"…대북 초강력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발언이 예사롭지 않다. 그동안 북한의 핵과 미사일위협을 중대한 사안이라고 인식하면서도 극단적 발언은 삼갔으나, 2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작심한 듯 북한에 ...
    Date2017.02.24
    Read More
  4.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강화… 모든 이민자는 잠재적 추방 대상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강화… 모든 이민자는 잠재적 추방 대상 ‘이민자의 나라’ 미국에 혼란의 소용돌이가 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법원의 반대로 중지된 ‘반이민 행정명령’의 우회카드로 불법 체류자의 대대적인 단속을 꺼내 들었...
    Date2017.02.22
    Read More
  5. 말레이 보건당국, 김정남 시신 "심장마비 증거·침흔적 없어…유족 기다린다“

    말레이 보건당국, 김정남 시신 "심장마비 증거·침흔적 없어…유족 기다린다“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은 지난 13일 사망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이복형 김정남이 심장마비를 일으켰다는 증거가 없고 시신에 외상이나 뚫린 흔적도 없었다고 밝혔다. 또 김정...
    Date2017.02.21
    Read More
  6. 미국, 反트럼프 물결

    미국, 反트럼프 물결 미국도 대통령 때문에 무척 시끄럽다. 20일(현지시간) 대통령의 날을 앞두고 미국 전역에서 도널드 트럼프에 반대하는 시위가 잇달아 개최됐다. USA투데이 등에 따르면 수백명에 달하는 미국의 과학자들과 환경론자들은 19일 보스턴 코플...
    Date2017.02.20
    Read More
  7. 남중국해 미,중간 군사갈등 고조

    남중국해 미,중간 군사갈등 고조 남중국해에서 미,중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이 칼빈슨 항공모함 전단을 남중국해에 전개하자 중국은 20일 관영매체를 통해 '전투태세'를 경고하며 무력과시에 나섰다. 중국중앙(CC)TV는 지난 15∼16일 남중국해에서 해...
    Date2017.02.20
    Read More
  8. 정부 '김정남 암살 北배후' 공식화

    정부 '김정남 암살 北배후' 공식화 우리 정부는 김정남(46) 암살사건의 배후로 북한 정권을 공식 지목하면서 이 사건을 계기로 전방위 대북압박에 나설 태세를 갖추고 있다. 정부는 핵·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리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자신의 권력을 ...
    Date2017.02.20
    Read More
  9. “말레이경찰, 김정남 암살 용의자로 보이는 북한 여권 소지 남성 체포”

    “말레이경찰, 김정남 암살 용의자로 보이는 북한 여권 소지 남성 체포”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경찰이 김정남 살해 사건과 관련 17일 밤 북한 여권을 소지한 남성(47)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체포했다고 현지 중국어 신문 중국보를 ...
    Date2017.02.18
    Read More
  10. WP, “트럼프 다음주 새 ‘反이민 행정명령’ 발표”

    WP, “트럼프 다음주 새 ‘反이민 행정명령’ 발표”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주 새로운 이민규제 정책이 담긴 행정명령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반이민 행정명령’이 법원의 시행 중지 결정으로 지루한 법정 싸움에 부...
    Date2017.02.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76 277 278 279 280 ... 574 Next
/ 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