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posted Dec 11,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크기변환]환동해문화산업포럼3.jpeg

- 12.11, 경상북도 환동해 해양문화산업포럼 개최 -

- 환동해 해양문화 인재양성에 대한 가능성과 비전 제시 -


경상북도에서는 한국해양문화의 가능성 및 비전을 제시하는 환동해 해양문화산업포럼을 11일 경주 라마다호텔에서 개최했다.

 

환동해 해양문화의 산업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수립을 위해 올해 10월 구성된 경상북도 환동해 해양문화산업포럼은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장이자 한국캐릭터학회 학회장인 한창완 교수를 중심으로 해양문화산업과 콘텐츠산업을 위한 포럼을 기획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한창완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장, 이승규 스마트스터디 부사장, 권기창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원장, 최재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임연구위원, 김종식 사단법인 디자인정책연구원 이사장, 이종수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장을 비롯한 환동해 해양문화산업 관계자들이 온라인으로 포럼을 진행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조치를 감안해 발제자 및 토론자가 직접 참석하지 않고 원격 비대면 온라인 포럼으로 진행했으며, 녹화한 촬영분은 유튜브에 업로드 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양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가와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으로써 해양문화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하지만 올해 2해양교육 및 해양문화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법률 1708)이 제정되어 앞으로 해양문화산업에 있어서 환동해의 역할이 커질 전망이다.

 

환동해 지역은 현재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몽골-중국-러시아-일본까지 아우르는 열린 바다를 중심으로 한 협력의 공간으로 탈바꿈되고 있으며, 국민인식 제고 및 사회적 확산을 위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흐름에 맞춰, 이번 세미나는 한국해양문화의 가능성 및 비전 제시와 환동해 해양문화 산업화를 위한 중장기 대안 논의를 주제로,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환동해 해양문화산업의 체계적 발전전략 및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에 대해 제안했다.

 

우선, 기조발제에서는 이승규 스마트스터디 부사장이 아기상어(Baby Shark)’라는 글로벌 해양 콘텐츠의 제작 사례를 바탕으로, 해양문화산업을 이끌어갈 글로벌 콘텐츠 성공모델을 제시했다.

 

이어진 주제별 세션의 1부에서는 권기창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원장이 국내 해양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 최재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이 해외 해양문화사업 특화사례 분석을 주제로 강연했다.

 

두 연사는 해양문화 및 콘텐츠산업 현황을 분석하며 구체적인 국내외 사례를 통해 중장기적 지원정책의 매핑을 제시했다.

 

2부는 정낙현 안동대학교 교수가 해외 해양문화콘텐츠산업 해양박물관 중심 사례연구’, 양민호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 사업단 HK연구교수가 해양문화 해외연구 경향 및 산업연계 지향 비전을 주제로 해양문화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했다.

 

이들은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출구전략을 제안하며 환동해를 중심으로 국내외 해양문화 정책의 거점 및 네트워크 센터로서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부는 추광호 픽셀플레닛 대표가 애니메이션 독도 수비대 강치중심으로 경상북도 환동해 문화 콘텐츠 추진 사례를 소개했으며,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가 환동해 해양문화비전선포 및 전문 거버넌스 시스템과 스타트업 메이커스 센터 구축제안 설립비전을 제시하며 환동해 해양문화산업진흥원의 설립에 대한 당위성을 보여주었다. 경북도는 이들 사업을 구체화해 환동해지역본부를 중심으로 후속조치를 펼칠 예정이다.

 

한창완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장은 환동해 해양문화산업의 혁신적인 시도가 필요하며 환동해를 중심으로 기획-창작-제작-유통-투자 등의 생태계 선순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콘텐츠를 제작해 차세대 뉴노멀 한류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행사의 말미에 김남일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현재 포항, 경주 등 일원에 (가칭)해양문화산업진흥원 설립을 추진 중이며, 아기상어 콘텐츠의 성공사례를 참고해 해양인문, 생태, 민속, 이야기 등의 소재를 활용, 다양한 문화융합상품을 제작하고, 디자인산업과 연계한 플래폼 구성을 통해 새로운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양동주 기자


  1.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 12.11일, 경상북도 환동해 해양문화산업포럼 개최 - - 환동해 해양문화 인재양성에 대한 가능성과 비전 제시 - 경상북도에서는 한국해양문화의 가능성 및 비전을 제시하는 환동해 해양문화산업포럼을 11...
    Date2020.12.11
    Read More
  2. 원희룡 제주도지사-좌남수 제주도의장, 제주 제2공항 도민 의견수렴 합의문 발표

    원희룡 제주도지사-좌남수 제주도의장, 제주 제2공항 도민 의견수렴 합의문 발표 - 제2공항 여론조사 내년 1월 11일까지 완료 예정 … 4개 설문 문항 공개 - - 제주도·도의회, 제2공항 갈등 해소 위한 지속 협력과 공동 노력 약속 -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
    Date2020.12.11
    Read More
  3. 경기도 특사경, 미세먼지 불법 배출행위 사업장 98곳 적발

    경기도 특사경, 미세먼지 불법 배출행위 사업장 98곳 적발 -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11월 선제적으로 불법 배출행위 집중수사 - - 비산먼지 발생 억제시설 미설치 69건, 비산먼지·폐기물 관련 신고 미이행 21건 등 - 방진막·방진벽·방진덮개 없이 작업을 하...
    Date2020.12.10
    Read More
  4. 경상남도, 코로나19 긴급 유동성 지원 특례보증 지원대상 확대

    경상남도, 코로나19 긴급 유동성 지원 특례보증 지원대상 확대 - 식당, 카페도 긴급 특례보증 연2%로 1,000만 원 대출 - 앞으로 식당과 카페도 '긴급유동성 특례보증' 지원대상에 포함된다.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Date2020.12.10
    Read More
  5. 특목고, 자사고 부럽지 않아요! 일반고의 역전(逆轉)

    특목고, 자사고 부럽지 않아요! 일반고의 역전(逆轉) -경주여자고, 전국 일반고 우수 프로그램 운영교 선정-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2020년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뽑은 전국 일반고 우수 프로그램 운영교에 경주여고(교장 서정우)가 선정됐다고 ...
    Date2020.12.09
    Read More
  6. 충청북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특별점검’추진 회의

    충청북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특별점검’추진 회의 - 충북지방경찰청, 충청북도교육청, 도 관련 부서 협조체계 구축 - 충북도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에 따라 도내 방역관리 실태점검 체계를 재정비한다. 충북도는 9일 오후 4시 30분 도청 영상회의...
    Date2020.12.09
    Read More
  7. 경상남도, 2021년 어촌뉴딜사업 공모 ‘11개소 선정’

    경상남도, 2021년 어촌뉴딜사업 공모 ‘11개소 선정’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가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어촌뉴딜300사업’ 공모에 11곳이 선정되어 국비 701억 원을 확보했다. 2021년 어촌뉴딜300사업 최종 대상지는 해양수산부의 서면발표 평가(10.6. ~10.13...
    Date2020.12.09
    Read More
  8. 전국장애인지도자대회 개최

    전국장애인지도자대회 개최 - 21대 장애인 비례대표와 함께하는 핵심과제 및 장애계 주요정책 성과 공유 등 -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은 오는 12월 10일(목)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전국장애인지도자대회를 개최한다.   1999년 시작되어 올해로 ...
    Date2020.12.08
    Read More
  9. 경상남도, 전국 최초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사업’ 고용유지 모델로 성공적 안착

    경상남도, 전국 최초 ‘지역특화형 긴급직업훈련 사업’ 고용유지 모델로 성공적 안착 - 11월 첫 훈련과정 개설 후 한 달 여간 781명 노동자 참여해 고용유지 - - 내년 연말까지 7,831명 이상 고용유지 할 것으로 전망 -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와 고용노동부...
    Date2020.12.08
    Read More
  10. 임종식 경북교육감, 돌봄전담사 파업 당일 돌봄 현장 방문

    임종식 경북교육감, 돌봄전담사 파업 당일 돌봄 현장 방문 - 돌봄 공백 없는 촘촘하고 안전한 돌봄교실 운영 당부 - 경북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오는 8∼9일 돌봄전담사 파업에 따른 초등돌봄교실 운영 대책을 마련해 안내하고, 당일 돌봄 현장 운영 지원을 ...
    Date2020.12.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0 111 112 113 114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