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posted Jun 27,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과거 부동산은 돈이 몰리는 시장이었다.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땅과 집값은 상승 일변도였고, 자금이 유입되면서 투기열풍까지 일었다. 부동산은 주식이나 채권 시장과는 다르게 사놓으면 최소한 손해는 안 본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부동산이 투자보다는 내 집 마련의 수단으로 서서히 바뀌고 있다. 주택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집값은 제자리걸음 수준으로 소폭 상승에 그치고 있는 것은 이런 흐름을 방증한다.

 

alwu.jpg

 

부동산 업계는 이를 두고 부동산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신호로 보고 있다. 특히 전세난에 떠밀린 세입자들이 빚을 내면서까지 대거 매매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이런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부동산이 더 이상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다. 지난해 126677가구였던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달 12732가구로 5개월 동안 배 가까이 급증했다. 하지만 집값 상승률은 지지부진했다. 지난해 말 당 서울 아파트 시세는 483만원이었고, 지난 5월 시세는 496만원이었다. 거래량이 폭증하는 사이 불과 2.7%만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오히려 향후 집값이 급락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거래량 증가를 두고 주택시장을 활황으로 바라보는 착시현상이 일어나 공급 과잉이 빚어지면 그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건설 인허가를 받은 주택 물량은 515251가구로 국토교통부의 목표량 374000가구를 37.7% 초과했다. 여기에 올 들어 수도권 청약 1순위 조건 완화, 부동산 활성화 법안 국회 통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이 겹치면서 주택 공급은 더욱 늘 것으로 예상됐다. 부동산 업계는 올해 민간 분양 물량이 역대 최대치인 347000가구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전문가는 최근 부동산 시장은 집값 상승을 노린 투기 수요보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면서 특히 지방 시장은 그동안 수급 불균형으로 주택 수요가 늘어난 만큼 공급이 늘어날 향후 23년간 가격 움직임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에서도 실수요자 위주로 주택 거래가 이뤄지면서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북 지역이 약진하는 추세다. 지난달 기준 아파트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노원구로 1172건이 이뤄졌다. 강남구(811)와 송파구(753)를 가볍게 따돌린 수치다. 노원구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 아파트 평균 가격이 두 번째로 낮은 지역이다. 내 집 마련에 나선 신혼부부 수요로 거래량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강서구가 909건으로 2등을 차지했다. 강서구는 4개월 연속 아파트 거래량 2위를 기록했다. 양천구 전세 수요자와 광화문·여의도 출퇴근 직장인 등 실수요자가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동작구와 서대문구의 아파트 거래량도 큰 폭으로 늘었다. 동작구는 지난달 528건이 거래돼 1년 전 203건보다 160.1% 증가했고, 서대문구는 384건이 거래돼 1년 전보다 159.5% 늘었다. 두 자치구의 경우 정비사업이 진행되거나 해제되면서 묶여 있던 주택을 팔고 나오거나 새로 들어가는 실수요자가 동시에 발생했다.

 

작은 아파트의 인기는 큰 아파트를 압도하고 있다. 26일 부동산114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해 말 3.3890만원에서 5월 말 906만원으로 1.80% 상승했다. 공급 면적 기준으로 66미만이 2.73%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66992.45% 오르는 등 소형 아파트만 2%를 웃도는 상승률을 나타냈다. 99132의 중형 아파트도 1.89% 올라 평균치를 상회했다. 반면 대형 아파트들은 0.691.32%로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청약시장에서도 중소형 아파트가 강세다. 지난 4월 청약을 받은 서울 성북구 장위동 꿈의숲 코오롱하늘채의 경우 전용 594.2411순위에서 마감됐지만 전용 842순위에서 마감됐다. 서울 은평구 응암동 힐스테이트 백련산 4차도 5924.571로 경쟁이 뜨거웠지만 842순위까지 미달됐다.

 

한때 아파트에 떠밀려 찬밥 신세를 면치 못했던 다세대·연립주택의 인기도 상한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은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의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거래량을 총 23824건으로 집계했다. 지난해 15월의 15956건과 비교하면 49.3% 증가한 거래량이다. 이밖에 최근 ‘3040세대가 대거 아파트 청약에 몰리는 것도 실수요자 중심 부동산 시장의 단면으로 지목된다. 지난달 131순위 청약 접수를 받은 서울 서대문구 e편한세상 신촌의 경우 당첨자의 절반 이상인 57%30, 40대였다.

 

권맑은샘 기자

 

 

 



  1. 세계의 경제학 트렌드

    세계의 경제학 트렌드 조선일보가 정말 독자들에게 유용하고 좋은 기획기사를 보도했다. 스포츠닷컴은 조선일보에 타사지만 찬사를 보내면서 이를 독자들에게 소개하기로 했다. 경제학자들은 왜 싸우는 것일까? 올 들어 세계 경제계의 거물이 경제정책을 놓고 ...
    Date2015.06.27
    Read More
  2.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부동산, 실수요자 중심으로 트렌드 변화 과거 부동산은 돈이 몰리는 시장이었다.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땅과 집값은 상승 일변도였고, 자금이 유입되면서 투기열풍까지 일었다. 부동산은 주식이나 채권 시장과는 다르게 사놓으면 최소한 손해는 안 본다는 생각...
    Date2015.06.27
    Read More
  3. 새정치민주연합, 유승민 비판-정의장에 국회법 개정재의 촉구

    새정치민주연합, 유승민 비판-정의장에 국회법 개정재의 촉구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연신 "죄송하다"고 사과한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강하게 비판하며,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촉...
    Date2015.06.27
    Read More
  4.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 개최

    26일 여의도 렉싱톤호텔에서 <새누리당 평당원모임>이 주최하는 ‘박근혜 정부 성공과 새누리당 백년대계를 위한 특별 강연회’가 개최됐다. 변성근 사회자의 진행으로 1부에서 박경동 화백이 서화부채를 현장에서 직접 작품을 하였고, 탈북자 가수 유현주의 공...
    Date2015.06.26
    Read More
  5.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 국회법 재의 않기로, 유승민은 유임 새누리당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국회법 개정안을 국회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기로 결론을 내렸다. 국회로 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 재의에 부치지 않고 19대 국회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
    Date2015.06.25
    Read More
  6.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대통령거부권, 새정치 강력반발 새정치민주연합은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재의요구 즉 거부권 행사에 국회일정 보이콧으로 맞선 데 이어 새누리당이 국회법을 재의하지 않고 사실상 폐기하기로 가닥을 잡은 데 강력 반발했다. 여야 관계 경색이 불가피할...
    Date2015.06.25
    Read More
  7.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정부 하반기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 25일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내용은 각종 재테크 활성화 대책이다.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해외 주식 투자전용펀드가 내년부터 도입되고, 폭 넓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개인종합...
    Date2015.06.25
    Read More
  8.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메르스 격리해제‘ 3곳과 남은 후보 병원 1차 평택성모병원, 2차 삼성서울병원에 이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3차 유행의 진원지 후보로 꼽히던 병원들이 속속 무사히 격리기간을 넘겼다. 그러나 격리해제 의료기관이 나오기가 무섭게 또 다른 의료기관이 ...
    Date2015.06.25
    Read More
  9.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경찰,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3명 집회중 연행 목회자 정의평화위원회 회원 중 일부가 시국 기도회 중 경찰에 연행됐다. 서울 종로경찰서는 신고된 장소에서 벗어나 집회·시위가 금지된 미국 대사관 정문 앞에서 유인물을 뿌리고 도로를 막은 혐의(집회 ...
    Date2015.06.25
    Read More
  10.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대법원, 국·공립대 기성회비징수 적법판결 국·공립대학들이 기성회비를 징수해온 것은 적절한 조치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옴에 따라 각급 법원에 제기된 기성회비 반환 청구 소송에서도 무더기 원고 패소 판결이 예상된다. 교육부와 국·공립대측은 추가 소송제...
    Date2015.06.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72 473 474 475 476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