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美금리동결 이후 중국성장 둔화 우리경제는 수출부진 지속 가능성 커

posted Sep 2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금리동결 이후 중국성장 둔화 우리경제는 수출부진 지속 가능성 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 17(현지시간) 연방기금 금리 동결을 결정한 후 국제금융시장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연준은 금리인상 여부 판단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국제적 상황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차이나 쇼크로 불거진 신흥국 위기 등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때문에 미국 금리인상이 미뤄진 셈이다. 그러나 연준의 기대와는 달리 국제금융시장과 세계경제는 여전히 좌불안석이다. 금리인상이 이뤄지지 않았으니 주식시장이 활기를 띠어야 하는데도 주요국 증시는 대부분 하락했다. 신흥국의 환율 불안과 경기 침체도 더욱 심화하는 양상이다. 외풍에 취약한 우리 경제도 사정이 비슷하다.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이 안갯속인 데다 신흥국 불안도 계속돼 수출 부진과 금융 불안이 심화할 것이라는 걱정이 쏟아진다.

 

금리 동결에도 주식시장 약세

 

연준이 금리를 동결한 이튿날인 지난 18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74% 떨어졌다. 스탠더드앤푸어스(S&P) 500지수는 1.61%, 나스닥 종합지수는 1.36% 하락했다. 영국 런던 FTSE 100지수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DAX30지수도 각각 1.34%, 3.06% 떨어졌다. 원유시장도 불확실성의 후폭풍이 몰아닥쳤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4.73% 떨어졌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10월 인도분 브렌트유도 3.28% 가격이 하락했다.

 

sjed.jpg  

 

지난 18일 미국의 달러화 대비 브라질 헤알화 환율은 전날보다 1.96% 오른 달러당 3.958헤알을 기록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헤알화가 통화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 20021010일의 달러당 3.99헤알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것이다. 연준의 금리 동결에도 신흥국 사정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브라질의 신용등급은 투기등급으로 추락했고 터키나 러시아, 남아공 등도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놓였다. 브라질, 터키, 말레이시아 등은 경기가 악화하고 정부·의회의 뇌물스캔들, 긴축 재정과 구조 개혁을 둘러싼 정부와 의회 갈등으로 혼란이 지속하고 있다. 정부의 재정 건전성 의지와 실행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높아져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가 저하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한국 수출부진 지속할 가능성 커

 

사실상 미국 금리 결정의 키를 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중국의 경제전망도 밝지 않다. 중국은 사회주의국가라는 특성 등 때문에 시스템이 투명하지 않은데, 실물 경제지표로 드러나는 경기 둔화세가 심각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8월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49.73년 만에 최저수준이 됐다.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도 가시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현재 중국이 기록하고 있는 7% 경제성장률도 부풀려진 것이며, 성장률이 5%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에 수출하는 비중이 25.1%인 우리 경제는 비상이 걸렸다. 지난 17월 중국의 수입이 14.6% 감소하는 바람에 우리나라의 수출은 같은 기간 4.9% 줄었고, 지난달에는 14.7%나 줄어들었다. 중국 성장세 당분간 둔화 엔화 약세를 등에 업은 일본기업들의 공격적 수출 확대 세계교역량의 장기적 정체라는 이유를 들어 우리나라의 수출 부진이 앞으로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성장세 둔화는 투자 및 제조업 중심에서 소비와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체질 전환과장에서 겪어야 할 진통이라 부진이 장기화될 것이고 수출 부진이 장기화돼 경상수지 적자로 번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외화유동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권맑은샘 기자

 

 



  1. 새누리, 선거구 문제 "문재인은 농어촌 버릴거냐" 압박

    새누리, 선거구 문제 "문재인은 농어촌 버릴거냐" 압박 새누리당은 내년 4월 20대 총선에서 농어촌 지역구수 감소를 막기 위해서는 비례대표 의원수를 줄여야 한다며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압박하고 나섰다. 현재 246개인 지역선거구 수를 선거구획정...
    Date2015.09.22
    Read More
  2. 박맹우 국회의원-신뢰높은 조세행정, 복권사업 내실운영 당부

    신뢰높은 조세행정, 복권사업 내실운영 당부 지역구 의정활동 활발, 지역민 소통에 적극 참여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 박맹우 국회의원(울산 남구 을)이 최경환 경제부총리에게 질의하는 과정에서 올해 초 연말정산 대란을 되짚어보며 신뢰높은 조세행정과 ...
    Date2015.09.21
    Read More
  3. 미친 도심 아파트 전세값, 인식전환 해야

    미친 도심 아파트 전세값, 인식전환 해야 전반적인 경기 침체 속에 아파트값·전셋값만 턱없이 치솟고 있다. 20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전국 아파트값 평균 상승률은 3.33%, 전셋값 평균 상승률은 4.73%로 기록됐다. 이게 정부의 공식 아파...
    Date2015.09.21
    Read More
  4. 제주 어린이집 원장 일가족 4명 숨져

    제주 어린이집 원장 일가족 4명 숨져 제주에서 어린이집 원장 일가족 4명이 숨졌다. 가장이 식구들을 살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일가족 4명이 시신으로 발견된 것은 오늘 아침 7시 58분쯤이다.제주시 외도일동 모 어린이집에서 부부...
    Date2015.09.21
    Read More
  5. 김일곤, “피해여성으로 유인해 다른 사람 죽이려 했다”

    김일곤, “피해여성으로 유인해 다른 사람 죽이려 했다” '트렁크 시신' 살인사건 피의자 김일곤(48)이 원래 피해자인 주모(35·여)씨가 아닌 다른 사람을 살해하려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주씨는 원래 죽이고 싶었던 20대 남...
    Date2015.09.21
    Read More
  6. “나 김기춘 6촌인데” 수억뜯어

    “나 김기춘 6촌인데” 수억뜯어 전직 대통령들의 비자금을 관리하는 ‘청와대 국고국’ 소속 직원이자 김기춘 전 대통령실장의 6촌 동생이라고 속여 수억원을 가로챈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 혜화경찰서는 건설시행사 사업자금 3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정모...
    Date2015.09.21
    Read More
  7. 층간소음 때문에 집안LP가스 틀고 “펑”

    층간소음 때문에 집안LP가스 틀고 “펑” 아파트 층간 소음 갈등 때문에 집안의 LP가스를 폭발시키는 사건이 일어났다. 한 60대 남성이 이 문제로 집안에 LP가스 밸브를 열고 소동을 벌이다 폭발사고가 났는데 본인도 다치고 애꿎은 소방관도 크게 다쳤다. 폭발...
    Date2015.09.21
    Read More
  8. 美금리동결 이후 중국성장 둔화 우리경제는 수출부진 지속 가능성 커

    美금리동결 이후 중국성장 둔화 우리경제는 수출부진 지속 가능성 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 17일(현지시간) 연방기금 금리 동결을 결정한 후 국제금융시장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연준은 금리인상 여부 판단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국제적 ...
    Date2015.09.21
    Read More
  9. 새누리,청와대,정부, 취업규칙변경·일반해고기준 연내 마련키로

    새누리,청와대,정부, 취업규칙변경·일반해고기준 연내 마련키로 청와대와 정부, 새누리당은 20일 총리공관에서 회의를 열어 노사정위원회가 합의한 취업규칙 변경과 일반해고 기준을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올해 안에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회의는 원 원내...
    Date2015.09.21
    Read More
  10. 새누리당, 김무성·친박계간 오픈프라이머리 절충점 모색 중

    새누리당, 김무성·친박계간 오픈프라이머리 절충점 모색 중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제3의 길’은 무엇일까?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공언한 김 대표로서는 친박(친박근혜)계의 ‘불가론’을 돌파할 묘수 찾기가 절실하지만 쉽지 않을 것이...
    Date2015.09.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33 434 435 436 437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