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박영선 의원 검찰․국세청,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 간과

posted Oct 08,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영선 의원 검찰․국세청,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 간과 
- ㈜다스를 이명박 소유로 기소하면서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에 대하여 간과 - 

b9dabfb5bcb1.jpg

박영선 의원(더불어민주당/구로구을)이 10월 8일(월)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판결을 분석한 결과, 검찰과 국세청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다스를 수혜법인으로 한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를 간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10월 5일에 있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형사재판 결과,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다스의 주식을 형인 이상은에게 47.26%, 처남의 배우자인 권영미에게 23.60%, 후원회 회장인 김창대에게 4.20% 등 총 75.06%를 명의신탁한 채 차명으로 ㈜다스를 소유하고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다스를 수혜법인으로 하여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납부대상에 해당하는데도 검찰은 이에 대한 혐의를 구체화해 기소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감몰아주기 증여세는 2011년 12월 31일 신설된 제도로 수혜법인이 특수관계법인에게 총 매출액의 30%이상 매출한 경우 수혜법인의 지배주주 및 그 친족에게 증여세를 부과하는 제도이다.

특수관계법인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2조의2의 규정에 따라 증여세 납부대상자와 친족관계, 경제적 연관관계, 또는 경영지배관계에 있는 법인을 말한다.

㈜다스의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다스의 ㈜금강 등 특수관계법인에 대한 매출액 비율이 2013년은 34.73%, 2014년은 35.02%, 2015년은 35.12%, 2016년은 48.46%, 2017년은 45.04%에 이르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수혜법인인 ㈜다스의 주식을 75.06%를 소유하고 있는 자로서 지배주주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다스를 수혜법인으로 하여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납부대상자이며, 이에 대한 증여세 포탈 혐의 기소가 가능하다.

법원은 10월 5일에 있었던 형사판결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법인세 31억 원에 대한 특가법상 조세포탈 혐의에 대하여 대부분 무죄로 판단하여 5억 원 미만의 조세포탈금액만 인정하였고, 이에 따라 이명박 전 대통령은 조세포탈 금액이 5억 원 이상인 경우에만 적용되는 특가법을 피하게 되었으며 「조세범처벌법」으로 처벌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국세청의 고발이 결여되어 공소기각판결을 받게 되었다. 

검찰과 국세청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혐의에 대하여 조사 후 조세포탈 혐의금액에 포함하였다면 법원은 특가법상 조세포탈 혐의에 대하여 공소기각판결이 아니라 유죄로 판단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박영선 의원은 “검찰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조세포탈 혐의에 대하여 특가법위반 사안이라고 예단하여 조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간과하였고, 국세청은 ㈜다스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소유라는 것을 전제로 기소되었고 1심판결이 나왔으므로 이에 대한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한다.”라며 “국세청과 검찰은 공조하여 조세정의 및 조세평등의 원칙이 지켜질 수 있도록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의혹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응당한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스포츠닷컴 유규상 기자

  1. 남동발전 석탄건조설비사업, 특혜 ․ 조작 사실 확인 407억원 손해

    장도수 전 사장이 주도, 경제성 분석 조작하고 위법 부당한 수의계약 체결 압박 94억원 사업비 편법증액, 지체상금 29억 면제, 하자처리 34억원도 남동이 부담 산업부 특감 통해 현직전무 2명 포함 4명 해임 등 36명 징계요구 관련 임직원 및 한국테크놀로지 ...
    Date2018.10.09
    Read More
  2. 박영선 의원 검찰․국세청,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 간과

    박영선 의원 검찰․국세청,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 간과  - ㈜다스를 이명박 소유로 기소하면서 일감몰아주기 증여세 포탈 혐의에 대하여 간과 -  박영선 의원(더불어민주당/구로구을)이 10월 8일(월)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판결...
    Date2018.10.08
    Read More
  3. 경기도 판교에 청년노동자 위한 300호 규모 공공임대주택 조성 착수

    경기도 판교에 청년노동자 위한 300호 규모 공공임대주택 조성 착수 - 도, 성남판교 경기행복주택 기공식 개최 -  경기도 판교에 300명이 입주할 수 있는 대규모 공공임대주택이 마련돼 이 지역 청년 노동자와 창업가의 주거고민을 덜어줄 전망이다.  경기도와...
    Date2018.10.08
    Read More
  4. 외교부 국외연수는 美 복수국적 획득 창구?

    4급 이상 외무공무원의 미국 복수국적자녀 10명 중 7명은 부모의 미국 연수 중 복수국적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음.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석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 동안갑)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급 이상 외무공무원 자녀 중 미...
    Date2018.10.07
    Read More
  5. OECD 국가 교과서 ‘일본해’ 단독표기 13개국...‘동해’ 는 겨우 1개국 미 의회보고서, 병행표기 해오다 일본 입장 반영 2014년부터 일본해 단독 표기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5개 국가 중 교과서에 우리의 동해를 ‘일본해(Sea of Japan)’로 단독 표기한 국가가 14개국인데 반해 ‘동해(East Sea)’로 단독 표기한 국가는 절반인 2개국으로 7배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20 국가의 경우도 ‘일본해...
    Date2018.10.07
    Read More
  6. 편의점 ‘갑-을 분쟁’, 1위는 세븐일레븐! 최근 5년간 공정거래조정원 분쟁조정건수 172건!!

    세븐일레븐이 최근 5년간 가장 많은 분쟁조정 건수를 기록, 편의점 업계 중 ‘갑-을 분쟁’ 1위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조배숙 의원(민주평화당·전북익산을)이 공정거래조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코...
    Date2018.10.07
    Read More
  7. 홍철호“도로공사 41년간 해외사업으로 1억 7천만원 벌었다”

    국회 자유한국당 홍철호 의원(경기 김포시을, 국토교통위원회)은 한국도로공사가 해외사업 진출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1976년 이후 현재까지 지난 41년 9개월 동안 해외사업을 추진해서 총 1억 6900만원의 수익금을 벌었다고 밝히며, 사업 다각화와 지속...
    Date2018.10.07
    Read More
  8. FTA 발효에도 우리 중소기업 수출확대 효과 미지수

    관세청 통관자료 기준으로 통계작성을 시작한 2010년 이후, FTA 발효 국가 중 인도와 베트남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중소기업 수출 증가 효과 미미하거나 심지어 축소. 이종배 의원, “중소기업 정책을 소관하는 중기부는 각 FTA별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나 ...
    Date2018.10.07
    Read More
  9. 코이카 월드프렌즈 봉사단 파견, 수요의 1/4 밖에 못 미쳐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주요사업인 월드프렌즈 봉사단 파견이 수혜국 수요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병석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서갑/5선)이 6일 코이카로부터 받은 “월드프렌즈 코이카봉사단 통계분석”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수혜국의 봉...
    Date2018.10.07
    Read More
  10. 부동산발 가짜뉴스, 부동산 시장 교란… 금년 8월까지 거짓매물 신고 7만 3847건으로 전년 대비 46%증가,부동산가 폭등한 8월 한 달 허위매물 건수는 726건으로 전년 한 해 738건과 맞먹어허위매물 신고는 수도권이 90.3%

    6일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이 '부동산매물클린관리센터'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접수된 부동산 허위매물 신고는 모두 7만3847건이었다. 작년의 경우 허위매물 신고건수는 39,269건으로 올해 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유난...
    Date2018.10.0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 965 Next
/ 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