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정부 부처간 갈등사업 놓고 질타
 
 
충남 태안-서산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 가리킨 듯
[류재복 대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2일 국무회의 석상에서 일부 갈등 현안에 대해 "이런 것은 말이 안되지 않습니까"라며 강하게 질타한 사실이 전해지면서 청와대 안팎에선 해당 사업을 두고 온통 촉각이 곤두섰다. 이 같은 강도 높은 지적이 과연 어느 사업을 가리키는 것인지가 불분명했기 때문이다.
민경욱 대변인이 국무회의 이후 전한 사후 브리핑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 말미에 "지금 갈등이 되고 있는 어떤 사업의 경우 계획을 발표한 지 8년이 됐다고 하는데, 8년 동안 관계자가 내려가서 주민들께 설명하는 노력이 별로 없었다는 것이다. 이런 것은 말이 안 되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특정 사업을 거론해 강한 비판을 쏟아내면서도 박 대통령이 '어떤 사업'이라고만 표현하자 갖가지 추측들이 쏟아졌다. 박 대통령이 어느 사업을 염두에 뒀느냐에 따라 해당 사업에 관련된 쪽에서는 긴장할 수밖에 없고 만약의 경우 사업의 향배가 달라질 가능성까지도 있는 만큼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출입기자들을 비롯해 대변인조차도 명확히 해당 사업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밀양 송전탑 건설, 경주 방사능폐기물처리장, 제주 해군기지 건설 등 비슷한 시기부터 갈등을 빚어온 여러 현안들이 추정됐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충남 태안-서산의 가로림만 조력발전사업을 가리킨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판단이다. 2006년부터 사업 타당성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시작해온 가로림조력발전은 환경보전 문제를 놓고 주민들 간의 갈등도 이어지는 가운데 사업 자체가 위태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업은 1973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맨 처음 검토를 지시한 사업이기도 하다. 특히 이날 일부 언론도 가로림조력발전의 현 상황을 보도한 만큼 박 대통령이 이를 두고 비판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밖에도 박 대통령은 이날 각종 갈등 현안에 대해 정부의 대처를 지적하면서 갈등해소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이념, 빈부, 지역갈등이 매우 큰 것으로 나온다"며 "이것을 대화로 풀어갈 수 있는 논의의 장과 갈등 해소를 위한 시스템은 미흡한 것이 현실"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우리 사회의 갈등을 다루는 문화가 성숙되지 못하고 갈등을 긍정적 에너지로 심화·발전시키는 능력도 선진국에 비해서 부족한 상황"이라며 "송전선 설립공사 등 수많은 국책사업 사례에서 보듯이 앞으로도 국책사업 추진 과정에서 많은 갈등이 예상되는데 이런 갈등을 보다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과거와 다른 접근과 원칙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동남권 신공항 문제와 관련해서도 "지난주에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 결과가 발표됐는데 지역 간 경쟁 과열, 대립 등으로 갈등이 심화될 소지가 적지 않다"며 "관계부처는 타당성 검토 중인 과정에서 갈등이 커지지 않도록 지방자치단체 간 평가기준에 대한 합의를 먼저 이루고 결과를 수용한다는 원칙이 견지되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정부, 신현돈 1군사령관 '해임성' 전역조치
							정부, 신현돈 1군사령관 '해임성' 전역조치
							 윤일병 가해병사 4명 '살인죄' 적용
							윤일병 가해병사 4명 '살인죄' 적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