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담뱃값 인상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39.4% “세수 확대 위한 것”이라고 답해

posted Sep 20,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주민세?자동차세 인상 등 “반대” 58.3%
- 담뱃값 2천원 인상시 “끊을 생각 없다” 48.5%, “끊겠다” 42.7%

 
20140918175550_4822073310.jpg
금연 여부 설문결과
(사진제공: 모노리서치)
 
 
 정부가 추진하는 담뱃값 인상 추진의 성격으로 세수 확대를 위한 것이라는 응답이 국민 건강을 위한 것이라는 응답보다 다소 높은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흡연자를 대상으로 만일 담뱃값이 2천원 인상된다면 금연을 할 생각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끊을 생각이 없다는 응답이 끊겠다는 응답보다 많았다.

또 주민세 및 자동차세 등의 인상안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이 찬성 입장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16~17일 전국 성인남녀 1,050명을 대상으로 담뱃값 인상안 및 주민세·자동차세 등 인상안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우선 정부의 담뱃값 인상 방침의 이유로 39.4%가 ‘세수확대가 더 크다’, 33.2%가 ‘국민 건강이 더 크다’고 답했다. ‘국민 건강과 세수 확대 비슷한 비중’ 응답은 23.0%, ‘잘 모름’은 4.4%였다.

‘세수 확대’ 응답은 서울권(42.9%)과 전라권(42.2%), 30대(59.8%)와 40대(54.3%), 생산/판매/서비스직(54.6%)과 사무/관리직(45.0%), ‘국민 건강’은 경북권(46.4%)과 경남권(36.1%), 60대 이상(51.4%)과 50대(35.9%), 전업주부(39.3%)와 기타 직업/무직(39.2%)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이 ‘국민 건강 42.6% > 비슷한 비중 31.4% > 세수 확대 21.9%’, 새정치민주연합 지지 응답자들이 ‘세수 확대 56.7% > 국민 건강 29.5% > 비슷한 비중 13.2%’의 응답률을 보였다. 지지정당이 없다고 밝힌 무당층은 ‘세수 확대 50.7% > 국민 건강 24.0% > 비슷한 비중 19.6%’ 였다.

또 전체 응답자 중 담배를 피우고 있다고 응답한 227명(21.6%)에게 만일 담뱃값이 2천원 인상된다면 담배를 끊을 생각이 있는지 물은 결과 48.5%가 ‘끊을 생각이 없다’, 42.7%가 ‘끊을 생각이다’라고 응답했다. ‘잘 모름’은 8.8%였다.

‘끊을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경남권(65.1%)과 전라권(61.2%), 40대(52.5%)와 30대(51.8%), ‘끊을 생각이다’는 서울권(67.3%)과 충청권(53.0%), 60대 이상(48.2%)과 20대(48.2%)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이와 함께 담뱃값 인상안과 함께 증세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주민세 및 자동차세 등 세제 인상안 입법 예고에 대한 견해도 함께 물었다. 58.3%가 ‘서민 세금부담이 커져 인상에 반대’, 24.0%가 ‘복지 등을 위해 불가피하므로 찬성’이라고 응답했다. 15.3%는 ‘입법 과정 등을 지켜보고 판단’, 2.4%는 ‘잘 모름’이라고 답했다.

‘인상 반대’는 전라권(69.4%)과 서울권(62.2%), 30대(70.5%)와 20대(68.2%), 사무/관리직(63.2%)과 생산/판매/서비스직(59.7%)에서, ‘인상 찬성’은 경북권(35.2%)와 충청권(28.1%), 60대 이상(33.0%)과 50대(29.8%), 전업주부(27.6%)와 기타 직업/무직(26.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들이 ‘인상 반대 40.5% > 인상 찬성 35.6% > 지켜보고 판단 21.3%’, 새정치민주연합 지지 응답자들이 ‘인상 반대 76.7% > 인상 찬성 16.0% > 지켜보고 판단 7.3%’ 등이었다. 무당층은 ‘인상 반대 67.5% > 지켜보고 판단 15.2% > 인상 찬성 14.0%’ 였다.

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 이재환 선임연구원은 “담뱃값 인상이라는 민감한 사안에 이어 각종 세금 인상안이 이어지자 조세 저항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19~20일 전국 성인남녀 1,035(흡연자 182명, 비흡연자 853명)명을 대상으로 담뱃값 인상 찬반 조사를 실시한 결과 흡연자들은 62.5%가 반대, 35.9%가 찬성, 1.6%가 잘 모름, 비흡연자들은 67.2%가 찬성, 22.3%가 반대, 10.5%가 잘 모름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전체 평균은 찬성 61.7%, 반대 29.4%, 잘 모름 8.9%였다.

지난 16~17일 진행한 이번 조사의 유효 표본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50명이며 일반전화 RDD방식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에 기반한 비례할당 후 무작위 방식으로 표본을 추출, 인구 구성비에 기초한 가중치기법을 적용했다. 응답률을 6.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2%p이다.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1. 담뱃값 인상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39.4% “세수 확대 위한 것”이라고 답해

    - 주민세?자동차세 인상 등 “반대” 58.3% - 담뱃값 2천원 인상시 “끊을 생각 없다” 48.5%, “끊겠다” 42.7% 금연 여부 설문결과 (사진제공: 모노리서치) 정부가 추진하는 담뱃값 인상 추진의 성격으로 세수 확대를 위한 것이라는 응답이 국민 건강을 위한 것이...
    Date2014.09.20
    Read More
  2. No Image

    S&P,우리나라 신용등급-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조정

    S&P,우리나라 신용등급-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조정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19일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조정했다고 기획재정부는 밝혔다. 신용등급은 현행 A+를 유지...
    Date2014.09.20
    Read More
  3. 친서받은 朴대통령, 과거사 문제선행되야

    친서받은 朴대통령, 과거사 문제선행되야 최근 꽉 막혔던 한일관계에 '해빙' 기운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19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친서를 통해 만남을 제의함에 따라 주목된다. 아베 총리는 이날 2020년 도쿄올림픽조직위원장...
    Date2014.09.20
    Read More
  4. 새누리당, 한전 등 7대 공기업 개혁

    새누리당, 한전 등 7대 공기업 개혁 새누리당이 19일 부실경영으로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으로 떠오른 주요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 청사진을 제시했다. 새누리당 경제혁신특위(위원장 이한구)는 이날 국회에서 '공기업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Date2014.09.20
    Read More
  5. 부산지검, 해운·항만 관련기관 비리 57명 적발

    부산지검, 해운·항만 관련기관 비리 57명 적발 검찰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수사한 결과, 한국선급을 중심으로 해운·항만 관련 기관에 구조적인 비리가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지검 해운비리 특별수사본부는 4월 21일부터 8월까지 해운·항만관련 기관을...
    Date2014.09.20
    Read More
  6. No Image

    현대·기아차, 동반성장 투자재원 500억 출연 협약식 체결

    1년에 100억씩 5년간 총 500억원을 출연 현대·기아차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투자재원 조성을 위해 5년간 500억원을 출연한다. 현대·기아차는 18일(목) 플라자 호텔(서울 중구 소공로 소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 동반성장위원회 안충영 위원장, ...
    Date2014.09.18
    Read More
  7. No Image

    전경련, ‘민간소비 부진 원인’ 분석

    고령층의 보수적 소비성향이 전체 가구의 소비에 부정적 영향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민간소비 부진의 원인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가처분소득, 비용, 소비심리 등의 측면에서 소비 부진 현상을 분석, 제시했다. 가처분소득 측면에서는 가계부채가 증가...
    Date2014.09.18
    Read More
  8. No Image

    [2015년 예산안]보건·복지·고용예산 전체의 30%

    [2015년 예산안]보건·복지·고용예산 전체의 30% 전체 정부 예산에서 보건·복지·고용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30%를 넘어섰다. 기획재정부가 18일 발표한 '2015년 예산안'에 따르면 보건·복지·고용 분야 지출은 2014년 106조4000억원에서 2015년 115조...
    Date2014.09.18
    Read More
  9. No Image

    <2015년 예산> 국가채무 570조원

    <2015년 예산> 국가채무 570조원 기획재정부가 18일 공개한 2014∼2018년 국가재정운용 계획을 보면 경제상황 악화로 박근혜 정부 임기 내에는 균형재정을 달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내년에 예상되는 국가채무는 570조1천억원으로 국...
    Date2014.09.18
    Read More
  10. "세비 반납해야" 여당도 놀란 대통령 발언

    "세비 반납해야" 여당도 놀란 대통령 발언 야당 자극해 국회 더 꼬일까 우려 [류재복 대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세비 반납' 등 대야(對野) 강경 발언 때문에 새누리당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16일 박 대통령의 발언이 아무런 예고 없이 나온 데다 발언의 강도...
    Date2014.09.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55 656 657 658 659 ... 964 Next
/ 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