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9월 실업률, 11년 만에 최고, 청년,50대실업 빨간불

posted Oct 12,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9월 실업률, 11년 만에 최고, 청년,50대실업 빨간불

 

현재 우리나라 경제의 실업율이 매우 심각하다. 지난달은 취업자 증가 폭이 줄었고, 전체 실업률은 같은 달 기준으로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으며 청년실업률은 동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9월 취업자 수는 2653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7천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830만명 대로 올라섰지만 작년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한 달 만에 다시 20만명 대로 고꾸라졌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5(261천명) 이후 가장 작았다.


nmvc.jpg

 

조선업 경기 둔화에 수출 부진 영향이 겹치면서 제조업 부문 취업자가 76천명 감소한 영향이 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2651천명 감소한 이후 지난 7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으며, 이후 3개월째 감소 폭을 키우고 있다. 9월 고용률은 61.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청년층(1529) 고용률은 0.8%p 오른 42.5%를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4%0.3%p 올랐다.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4%p 상승한 3.6%를 기록했다. 이는 20059(3.6%)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체 실업자는 20대와 50대 이상을 중심으로 총 12만명 늘었다.

 

청년실업률은 9.4%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p 올랐다. 9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고치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 3)9.9%였다. 지역별 실업률은 조선·해운 분야 구조조정의 여파가 큰 울산과 경남에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0.5%p, 1.1%p 상승했다. 또 전국적으로 부산(1.4%p), 광주(1.2%p), 충북(1.1%p), 대전(1.1%p) 제주(1.0%p) 등 실업률 상승 폭이 1.0%p를 넘는 시도가 6곳이나 됐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선업 경기가 둔화한 데다 제조업이 부진하다 보니 취업자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올해 19월 평균 취업자 증가 규모가 298천명이었는데 9월은 그보다 조금 낮다"고 설명했다.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외에도 농림어업(-65천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2만명)에서 취업자가 줄었다. 건설업(41천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88천명)에선 취업자가 늘었지만, 전월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연령별로 보면 5060대 중고령층 취업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인구가 감소하는 40(-51천명)30(-42천명) 취업자가 줄었을 뿐 다른 연령대에선 취업자가 모두 늘어난 가운데 60세 이상 취업자는 219천명으로 가장 크게 늘었고 그다음이 50(99천명)였다. 성별로는 남성 취업자가 177천명, 여성이 9만명 늘었다. 임금근로자는 178천명 늘어난 19646천명으로 집계됐다.


kvaz.jpg

 

그중 고용계약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는 293천명 늘었지만 계약 기간 1개월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는 26천명,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89천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는 6885천명으로 89천명 증가했다. 자영업자가 86천명, 무급가족종사자가 3천명 늘었다. 한편 비경제활동인구는 15972천명으로 18천명 줄었다. 그중 '쉬었음' 인구는 1503천명으로 65천명 감소했다. 취업을 위해 학원 등을 다닌다는 취업준비생은 3만명 줄어든 593천명으로 나타났다. 구직단념자는 414천명으로 74천명 감소했다.


스포츠닷컴 경제팀

 



  1. "나라 위했다"는 최순실, 재단 앞세워 개인 돈벌이 정황 드러나

    "나라 위했다"는 최순실, 재단 앞세워 개인 돈벌이 정황 드러나 미르재단의 실질적인 '회장님'으로 지목된 최순실이 K스포츠재단에서 역시 실질적인 배후였다는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특히 최 씨는 K스포츠재단을 등에 업고 자신의 돈벌이를 하려 했다는...
    Date2016.10.19
    Read More
  2. 노무현 정권, 위기관리 매뉴얼에도 “북한과 협의”

    노무현 정권, 위기관리 매뉴얼에도 “북한과 협의” 2007년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에서 기권을 결정한 당시 노무현 정부가 북한과 협의했는지를 두고 정치권의 논란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송민순 회고록의 내용 뿐만 아니라 당시 노무현 정부의 위...
    Date2016.10.19
    Read More
  3. 제13회 대한민국통알예술제 개최 <공고>

    제13회 대한민국통알예술제 개최 주최: 스포츠닷컴(주), (사)대한민국장인예술협회 주관: 한국신춘문예협회, 스포츠닷컴 모델협회, 한국다문화예술 총연합회, 대한민국통일예술제 조직위원회 일시: 2016년 12월 28일 (수요일) 오후 5시~오후9시 장소: 켄싱턴호...
    Date2016.10.19
    Read More
  4. “잘 키운 말 하나 열 A+ 안 부럽다” 이대 엉망진창으로

    “잘 키운 말 하나 열 A+ 안 부럽다” 이대 엉망진창으로 교육부, 이대의혹 조사착수 교육부가 최순실씨 딸 정유라(20) 씨의 이화여대 입학과 학사 특혜 의혹에 대해 본격 조사에 들어갔다. 이미 이화여대로부터 관련 자료를 넘겨받아 검토 중인 교육부는 문제점...
    Date2016.10.18
    Read More
  5. “차은택, 박대통령에 직접보고” 문체부 출신고위 관계자들 증언

    “차은택, 박대통령에 직접보고” 문체부 출신고위 관계자들 증언 ‘시사IN’이라는 언론매체가 “차은택 감독이 청와대로 들어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직접 업무 보고를 했다.”는 복수의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출신 고위 관계자들의 증언을 확보했다. 최순실씨(최...
    Date2016.10.18
    Read More
  6. 2007년 11월 15일부터 20일까지의 청와대 진실게임

    2007년 11월 15일부터 20일까지의 청와대 진실게임 2007년 11월 15일부터 20일까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논쟁을 둘러싸고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벌어진 일들의 진실은 무엇인지 의혹이 일고 있다.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낸 송민순 북한대학원대학교 총...
    Date2016.10.18
    Read More
  7. 정부,새누리당, "북한핵·미사일 무력화 '軍 3축체계' 조기구축“ 합의

    정부,새누리당, "북한핵·미사일 무력화 '軍 3축체계' 조기구축“ 합의 정부와 새누리당은 18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위협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우리 군(軍)의 '3축 체계'인 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대량응징보복체계(KMPR) 등의 구축 시기를 202...
    Date2016.10.18
    Read More
  8. “이대는 말(馬)만 가지면 들어가는 학교”?

    “이대는 말(馬)만 가지면 들어가는 학교”? “K스포츠 박과장의 독일출장 수상하다“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로 통하는 최순실이 케이(K)스포츠 재단 설립 및 인사에 개입한 정황이 포착된 데 이어 재단이 최씨 딸의 훈련 숙소 마련 등에 직접 관여한 사실이 새...
    Date2016.10.17
    Read More
  9. “뭐? 북한에 물어보고,,,”?, 송민순 회고록 일파만파

    “뭐? 북한에 물어보고,,,”?, 송민순 회고록 일파만파 송민순, “내 회고록은 모두 사실이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자신의 회고록 ‘빙하는 움직인다’에 대해 “사실 관계를 엄격히 따져서 기술했다. 메모 기록만 수백 개가 있...
    Date2016.10.17
    Read More
  10. “국가재정 빨간불인데 정쟁에 날샌다”

    “국가재정 빨간불인데 정쟁에 날샌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일국의 경제수장들이 최근 미국까지 가서 신경전을 벌였다. 갈수록 힘이 빠지는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한은은 금리를 더 낮춰야 한다', 하고 '기재부는 ...
    Date2016.10.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37 238 239 240 241 ... 555 Next
/ 55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