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트럼프, 문대통령과 통화에서 "미사일지침, 한국 원하는 수준으로 개정“

posted Sep 02,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트럼프, 문대통령과 통화에서 "미사일지침, 한국 원하는 수준으로 개정

 

문재인 대통령은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대북 대응 방안과 미사일 지침 개정에 원칙 합의했다. 한미 정상의 통화는 지난달 7일 이후 25일 만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밤 1110분부터 40부 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갖고 최근 북한의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발사 도발에 대한 한미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에도 합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번 북한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엄중한 도발"이라고 지적하면서 "우리 공군이 대량 응징 능력을 과시하는 강력한 대응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xbsg.jpg

 

문 대통령은 이어 "미국이 전략자산을 신속히 전개하는 등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보여준 것과 안보리가 유례없이 신속하게 북한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하는데 있어 한미 양국이 긴밀히 공조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북한에 대해 강력하고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화답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에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북한으로 하여금 대화의 장으로 나와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재확인했다""이를 위해 한미 동맹, 그리고 한미일 3국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박 대변인은 또 "두 정상은 최근 북한 도발 대응 및 억지 과정에서 양국 NSC, 외교·군사당국 등을 통한 긴밀한 협의가 지속되어 왔음을 평가했다"면서 "향후 각급 레벨에서 빈번한 접촉을 통해 이러한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또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의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이에 '미사일 지침'을 한국 측이 희망하는 수준으로 개정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djfbv.jpg

 

이날 청와대가 구체적인 미사일 지침 개정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우리 측이 원하는 수준으로 개정에 합의'한 점을 감안하면 사거리 800탄도 미사일에 실을 수 있는 탄두 최대 중량을 현재 500미만에서 최소 1t으로 두배 가량 늘리는 방안에 합의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13년만의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로 미국 남부지역에 막대한 규모의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한 데 위로의 뜻을 전달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 이번 재난을 조속히 극복할 수 있기를 기원하면서, 피해복구 노력에 동참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은 깊은 사의를 표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달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날 예정이다.


스포츠닷컴 국방안보팀

 

 



  1. 사드(THAAD) 4기 마침내 성주기지에 배치

    사드(THAAD) 4기 마침내 성주기지에 배치 7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4기가 마침내 성주기지에 진입했다. 이날 사드 발사대 4기 추가배치를 앞두고 주한미공군 오산기지에서 출발한 사드 장비 차량 10여 대가 오전 8시 20분쯤 성주군 초전면...
    Date2017.09.07
    Read More
  2. 문 대통령 '채찍', 푸틴 '협상', 한러 정상 대북입장차 분명

    문 대통령 '채찍', 푸틴 '협상', 한러 정상 대북입장차 분명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6일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마주 앉았다. 그러나 두 정상이 동북아 안보의 최대 이슈인 북핵 문제를 놓고 내린 '처방'은 확연히 달랐다. 두 정...
    Date2017.09.06
    Read More
  3. 문 대통령, 러시아 순방, 푸틴과 정상회담

    문 대통령, 러시아 순방, 푸틴과 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오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안착, 1박 2일간의 방러 일정에 들어갔다. 이날 오전 서울공항을 출발한 문 대통령은 3시간여를 비행해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 박노벽 주 러시아 대사와 이석배 ...
    Date2017.09.06
    Read More
  4. 문 대통령 대북기조-‘대화’ 사라지고 ‘압박’으로

    문 대통령 대북기조-‘대화’ 사라지고 ‘압박’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기조가 '대화'에서 '제재와 압박'으로 옮겨간 것 같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 속에서도 '투트랙 방침'을 고수하는 한편, 그 가운데서도 대화에 방점을 두는 모습...
    Date2017.09.06
    Read More
  5. 옥씨, “이혜훈 대표 가족 먹을 김치도 담가줬다”

    옥씨, “이혜훈 대표 가족 먹을 김치도 담가줬다” 점입가경이다. 바른정당 이혜훈 대표에게 수천만 원대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가운데, 사업가 옥 씨는 이 대표 가족이 먹을 김치까지 담가줬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사업가 옥 씨는...
    Date2017.09.05
    Read More
  6. 열받은 한,미,일 그리고 한반도

    열받은 한,미,일 그리고 한반도 문 대통령, 아베와 통화, "지금까지와 다른 차원의 北절감할 실질적 조치 필요“ 문재인 대통령은 4일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 "국제사회와 협력해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르고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질적인 대응...
    Date2017.09.04
    Read More
  7. 북한 서울 핵공격 시 피해정도와 대피요령은?

    북한 서울 핵공격 시 피해정도와 대피요령은? 핵폭발 EMP탄’, 30~80㎞ 상공서 최대 위협 북한이 핵 개발 마지막 단계인 핵 전술 고도화를 위해 핵 전자기펄스(EMP) 공격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6...
    Date2017.09.04
    Read More
  8. 북한, 수소탄 실험, "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성공", 레드라인 넘어

    북한, 수소탄 실험, "ICBM 장착용 수소탄 시험성공", 레드라인 넘어 북한이 국제사회와 미,일, 한국의 강력규탄은 아랑곳 없는 듯, 또 3일 심각한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은 함경북도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탑재할 수소폭탄 실험을 목...
    Date2017.09.03
    Read More
  9. 맥도날드 또 사단, 집단 장염 발생

    맥도날드 또 사단, 집단 장염 발생 결국 또 맥도날드가 사단이 났다. 일명 '햄버거병' 논란에 이어 이번에는 초등학생들이 집단으로 장염에 걸렸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결국 맥도날드가 문제가 제기된 '불고기 버거' 판매를 중단하기로 했다. 보건당국은 장염...
    Date2017.09.03
    Read More
  10. 트럼프, 문대통령과 통화에서 "미사일지침, 한국 원하는 수준으로 개정“

    트럼프, 문대통령과 통화에서 "미사일지침, 한국 원하는 수준으로 개정“ 문재인 대통령은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대북 대응 방안과 미사일 지침 개정에 원칙 합의했다. 한미 정상의 통화는 지난달 7일 이후 25일 ...
    Date2017.09.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7 178 179 180 181 ... 560 Next
/ 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