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윤미향 의원,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언론중재위원회에 제소

posted Mar 08,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영란 기자]

윤미향.jpg

 

무소속 윤미향 국회의원(비례)은 3월 8일(화) 언론중재위원회에 조선‧중앙‧동아일보 등의 언론사를 대상으로 정정보도, 반론보도 및 손해배상을 청구하며 제소했다.

 

지난 5일(토) 이후 수십여 개의 언론사들은 윤미향 의원 SNS의 멸종위기종 관련 메시지를 대선과 관련된 산불 메시지로 보도하여, 보도를 접한 국민들로부터 윤미향 의원은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언론들은 “국힘, 울진 화재 비아냥 윤미향에 "자연재해마저 선거에 이용””, “윤미향 "자연이 인간보다 큰일 한다”… 野 "산불마저 선거 이용””, “野, 윤미향·민주당에 "자연재해마저 선거에 이용‥심판할 것”” 등의 제목을 달아 해당 기사를 보도했다. 

 

윤미향 의원은 3월 4일(금) 오전 10시 49분, 울진 산불 발생 이전에 산불과는 관련이 없는 소속 상임위 환경노동위원회 의제인 자연의 멸종위기종 관련 메시지를 게시하였다. 이는 산불이 처음 언론을 통해 알려진 당일 오후 12시 30분경은 물론, 추후에 발화시점으로 확인되고 있는 오전 11시 17분보다 이전에 게시된 글이다. 

 

윤 의원이 5일(토) 해당 메시지가 산불과 전혀 관련이 없음을 SNS를 통해 명백히 밝혔음에도, 이양수 국민의힘 선대본부 수석대변인은 6일(일) “자연재해마저 선거에 이용하는 민주당의 행태, 국민들께서 정권교체로 심판해 주실 것이다”라는 제목으로, “윤미향 의원은 본인의 SNS에 "자연이 인간보다 훨씬 대단한 일을 한다!"라고 올려 논란을 자초한 뒤 글을 내리기도 했었다.”라며 국민의힘 공식 논평을 냈다. 

 

국민의힘 논평과 관련하여, 윤 의원은 국민의힘 이양수 선대본부 수석대변인에게 사과와 정정을 요구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7일(월) 서울경찰청에 이양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을 형법상 명예훼손과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상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윤미향 의원은 언론사들에도 관련 보도 이후 정정 보도를 요구하였으나, 대부분 기사들은 그대로다. 8일(화) 오전 10시 기준, 문화일보가 정정 고지 없이 기사 자체를 삭제했고, 동아일보는 “윤미향측 “관련 없는 게시글…명예훼손 고소””라는 부제를 추가해 수정했고, 중앙일보는 제목은 그대로 둔 채 의원실 입장만 추가했다.

윤미향 의원은 “진실을 추구하는 언론에 대한 기대는 저버린 지 오래다. 그러나 적어도 일차적인 팩트체크는 하는 게 언론의 기본 아닌가. 사소한 팩트체크마저 패싱하고, 저를 선거에 이기려고 산불을 비아냥 댄 사람으로 만든 언론은 그야말로 악의적인 보도로 볼 수밖에 없다. 이런 언론사들의 자정작용을 신뢰할 수 있겠는가.”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 윤 의원은 “저의 명예훼손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당 언론사들은 국가적 재난인 산불로 피눈물 흘리며 고통받고 계시는 국민들에게도 반드시 사과해야 한다”며 “허위사실을 선거에 악용하려는 어떤 시도도 끝까지 찾아내서 반드시 책임을 강력하게 물을 것”이라고 했다.

 

  1. 강민정 의원, 「국가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지방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교육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이영란 기자]   강민정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교육위원회)은 3월 24일 공무원 직장 내 괴롭힘 금지 규정 및 피해공무원 보호조치 규정 등을 신설한 「국가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지방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 「교육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Date2022.03.24
    Read More
  2. 주철현 의원, 식품위생법 위반시 명인 지정 취소 하는 「식품산업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국회의원(여수시갑)은 식품명인이 「식품위생법」을 위반했을 때도 명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는 「식품산업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22일 대표 발의했다.    주철현 의원이 발의한 「식품산업진흥법」 개정안은 식품명...
    Date2022.03.22
    Read More
  3. 권인숙 의원,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 제정’ 국회 토론회 개최

    [이영란 기자]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권인숙 국회의원은 22일 오후 3시 국회 제1간담회의실에서 마을교육공동체의 활성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관련 법안의 추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 제정 국회 토론회’를 성황...
    Date2022.03.22
    Read More
  4. 이병훈 의원, “전매제한기간 위반한 분양권 전매행위 시 당첨 하는 「주택법」 일부개정안 발의

    [공병만 기자]   이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주 동구남구을)은 21일, 정해진 전매제한기간을 위반해 분양권을 매도하면 분양권 당첨을 취소하는 「주택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현행 「주택법」은 불법청약 등 ‘공급질서 교란행위’에 대해 분양권을 무...
    Date2022.03.21
    Read More
  5. 김병욱 의원, “생존수영 교육인프라 절대부족, 학교수영장 적극 확충해야”

    [이영란 기자]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생존수영이 2020년부터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됐지만, 수영장 시설의 부족 문제로 인해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나왔다.   국회 교육위원회 ...
    Date2022.03.21
    Read More
  6. 국회미래연구원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업무협약 체결

    [공병만 기자]   국회미래연구원(원장, 김현곤)은 3월 18일(금) 국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원장, 김일재)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업무협약은 양 기관의 자치분권, 지방행정혁신, 지역균형 발전 및 기타 지역발전 이슈에 관한 연...
    Date2022.03.18
    Read More
  7. 강기윤 의원, “K-방역 붕괴에도 소트로비맙, 몰누피라비르 등 다양한 치료제 준비 미흡”

    [이영란 기자]     정부가 자랑해오던 K-방역이 사실상 무너지고 있다. 이미 하루 환자는 60만 명에 달했고, 하루 사망자는 301명(3.17기준), 누적으로는 1만 1,782명이며 병원의 중증 병상 가동률도 66.5%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사실상 전 국민이 코로나에...
    Date2022.03.18
    Read More
  8. 윤준병 의원, 현행 대통령선거제도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발의

    [공병만 기자]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국회의원(전북 정읍시·고창군)은 17일, 단순다수제로 당선자를 결정하고 있는 현행 대통령선거제도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단순다수제 ...
    Date2022.03.17
    Read More
  9. 신영대 의원, <군산 전북대병원의 성공적건립을 위한 세미나> 개최

    [이영란 기자]   군산시민의 숙원인 군산 전북대병원 건립이 올해 상반기 설계 착수를 앞둔 가운데 성공적 건립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가 열렸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신영대 국회의원(전북 군산, 더불어민주당)은 17일 오후 3시 군산 예술의전당에...
    Date2022.03.17
    Read More
  10. 이용빈 의원, 찾아가는 면사무소 통해 광주 민심 수렴

    [공병만 기자]   이용빈 국회의원(광주 광산갑)은 “광산과 광주의 압도적 지지를 받들어 새로운 정치교체의 길을 닦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이용빈 의원은 지난 15일부터 지역의 바닥 민심을 듣기 위해 ‘찾아가는 면사무소(이하 면사무소)’를 진행하고 있다.  ...
    Date2022.03.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 524 Next
/ 524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