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상북도, 동해안 한국의 골드코스트로 육성한다

-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 - 국내 독자개발 및 수입 대체 -

- 기업육성, 일자리 등 3대 목표 - - 4개 분야별 과제 및 10개 세부과제 -

 

경상북도는 지난 3일「경북 해양산업 육성 지원 조례」개정 계기로 해양레저선박, 해양장비 등 해양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해양레저선박·장비 산업육성 기본계획(23~32년)’을 수립했다.

 

세계적으로 국민소득이 3만달러에 이르면 마리나를 중심으로 요트, 보트, 레저용 유인잠수정 등 해양레저활동 증가, 해양레저산업의 성장에 따라 미국, 호주, 유럽 등에서는 해양레저산업이 국가의 주요산업으로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해양레저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트, 요트, 수중드론 등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는 국내 설계기술 및 제조 경쟁력이 미국, 호주 등 선진국에 비해 부족함에 따라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해양수산부는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의 산업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해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방안(09년), 마리나항만 기본계획(20년),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19년) 등 국가차원의 다양한 해양레저산업 육성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고 있다.

 

경북1  후포 마리나항만 준공.png
후포 마리나항만 준공

 

이에 경북도는 부가가치가 높은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산업에서 경남, 전남 등 지자체와 경쟁을 극복하고 경쟁력이 있는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북도는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산업 육성을 위해서 세계 해양레저산업의 선진지로 알려진 호주의 골드코스트(Goldcoast)를 벤치마킹해 ‘경북 동해안을 한국의 골드코스트로 육성한다!’는 비전을 내놨다.

 

또 국민소득 5만불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산업과 관련하여 3대 목표와 4개 분야별 과제를 선정했으며 전체 사업비는 약 6천억원 정도에 이른다.

 

아울러,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실증 및 인증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세부사업으로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 사업이 올해 4월에 해수부가 주관하는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기본계획이 본격적으로 실행됐다.

 

‘해양레저장비 및 안전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경북도는 해양레저장비 표준설계 및 제조기술 확보, 안전한 수상 및 수중레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수중드론 개발 등 지역 중소조선기업 육성,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산업 활성화를 꾀한다는 구상이다.

 

4c7372d41984228fd9b9dbdb1b5e7a8b_1669715403_344.jpg
형산강 마리나 계류장 조감도

 

또 경북도는 해양장비 연구원 및 레저선박 기업의 연구개발, 설계 및 건조 등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하기 위해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기업의 오픈랩(Open Lab) 및 리빙랩(Living Lab)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본계획에는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산업의 기술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개발 및 제조, 정비 및 유지보수 등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하기 위한 방안도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경북도는 레저선박 및 장비의 대여 및 임대, 계류 및 보관, 유통 및 판매 등 서비스업 지원, 레저선박지원센터 설립, 국제보트쇼 개최 등 교육훈련 및 기술개발, 창업 및 일자리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인력 양성, 연구 및 교육훈련 센터 설립을 통해 레저선박 및 장비산업 육성, 해양레저산업 일자리를 창출해 경북을 해양레저선박 및 장비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1. 제주특별자치도, 충남 서산 한우 럼피스킨병 발생 대응 긴급방역

  2. 충청북도, ’24년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3개소 건립

  3. 경상북도, 도내 먹는샘물 제조업 4개소 수질검사 실시 모두 기준 적합 판정

  4. 제주특별자치도, 돌봄 걱정 없는 빛나는 제주 조성 본격

  5. 충청남도, 내포 농생명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토지거래 허가구역’ 지정

  6. 충청북도, 소아·청소년과 순회진료 확대 추진

  7. 경기도일자리재단, 고용개선 방안 논의를 위한 ‘2023년 지역 특화 일자리 컨퍼런스’ 개최

  8. 전라남도, 국제농업박람회 개막…‘지구·인간 치유농업’ 비전 제시

  9. 경상북도, 기업의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위한 ‘2023년 경상북도 정보보안 세미나’ 개최

  10. 김태흠 충남도지사, 대백제전 철저한 성과분석 주문

  11. 경상남도, 미국 LA에서 수산물 수출확대 위한 잰걸음

  12. 경기도, 2040년 광주 도시기본계획(안) 승인 인구 52만5천명 목표

  13. 충청북도,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 2.0 추진

  14. 전라남도, 국내 유일 영광 2023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

  15. 충청북도내수면산업연구소, 은어수정란 5백만립 충주호에 이식

  16. 경상북도, 해외유입 홍역환자 발생에 따른 확산방지 총력

  17. 제주특별자치도, 연말까지 지방세 체납액 징수‘총력전’

  18. 제주특별자치도, 과학행정 원천 빅데이터 플랫폼 고도화 추진

  19. 전라남도, ‘서남권 SOC 신 프로젝트’ 시동

  20. 경상남도, 공공형어린이집 16개소 신규 선정…‘보육 공공성 강화’

  21. 전라북도, ‘디지털 식품산업 활성화 방안’ 국회 세미나 개최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38 Next
/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