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멈추지 않는 예술인 임금(보수)체불, 최근 5년간 27억 원, 500만원 미만 소액 체불이 전체의 73.2% 가량, 연극(42.9%) 가장 많고, 연예(34.2%)·음악(7.7%) 순

posted Oct 0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5년간 예술인 신문고 신고접수 된 사건 656건 중 78.8%(517)가 임금체불

97건은 권고하기도 전에 체불임금 지급, 이행불능은 19건에 불과해 여건 탓 어려워

서면 계약서 미작성 또는 계약조건 미비로 체불금액 확정 안되는 건도 117건 달해

소액체불 관련 수입보장제 등 도입하고, 문체부에 서면계약 조사·조치 권한 부여해야

김영주.JPG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영등포갑,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인복지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예술인 신문고에 접수된 예술인 임금(보수)체불액이 2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73.2%500만원 미만 소액체불이며, 장르별로는 연극(42.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예술인신문고에 접수된 불공정신고 656건 중 예술인 임금(보수)체불(예술인복지법 제6조의제1항제2) 사건은 517건으로 전체의 78.8%에 이른다. 체불금액은 500만원 미만이 대부분(73.2%)*으로 이 중 100만원 미만 사건도 22%에 달해, 예술인 신문고를 찾는 많은 예술인들이 소액 체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액구간별 예술인 임금(보수)체불 신고 현황                 (단위: 백만원,건수,%)

연도/구간

100 미만

100 이상 ~500 미만

500 이상 ~1,000 미만

1,000 이상 ~2,000 미만

2,000 이상

특정불가*

(건수)

(금액)*

2014

9

45

12

10

5

6

87

548

2015

21

43

9

4

4

6

87

523

2016

38

58

6

11

10

11

134

691

2017

15

37

14

9

6

54

135

868

2018.8

6

23

5

2

1

37

74

156

89

206

46

36

26

114

517

2,786

비중

22.08

51.12

11.41

8.93

6.45

-

100

 

 

한편, 임금(보수)체불 사건 중 97건은 신고접수 이후 권고나 시정명령이 있기 전에 밀린 임금 또는 대금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고, 체불액을 지급하지 못할 사정 등이 있어 이행불능으로 사건이 종결된 사례는 19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단지 경영여건이 열악하다는 이유로 임금 등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보기 어려운 이유

 

 

<권고 전 이행(체불 임금 또는 수입 지급) 주요사례>

 

20178월 모 연극 기획사, 연극배우 12명에 대한 출연료 2,000만 원 가량을 지급하지 않다가 배우들이 예술인 신문고에 신고해 문화불공정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되기에 이르자 체불액 지급

20184월 연극 기획사, 연출가 및 극작가에 대한 계약 대금 200만원을 지급하지 않다가 연출가가 예술인 신문고에 신고하고, 신고 통지서가 발송되자 그제야 미지급 대급 지불

 

 

더불어, 많은 법률에서 표준계약서 사용을 권고하고, 예술인복지법에서도 서면계약을 의무화하고 있음에도 구두계약을 체결하거나, 서면 계약시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익배분 관련 사항을 누락하는 등 계약조건의 미비로 체불규모를 확정하지 못하는 건수도 114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김영주 의원은 우리나라 문화 콘텐츠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나, 정작 우리 예술인들은 여전히 체불로 신음하고 있다프리랜서 등이 많은 예술인의 경우에도 근기법 상 노동자에 대한 체당금 제도 와 같이 소액 체불에 대해서는 수입보장을 위한 제도를 도입하거나, 예술인(보수) 보증보험 등을 도입해 창작여건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현행 예술인복지법에서는 문화예술용역에 있어 서면계약을 의무화 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조사 및 행정조치 권한은 소관 부처에 부여하고 있지 않아 여전히 서면계약이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이를 해결할 <예술인 복지법> 개정안을 조속히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스포츠 닷컴 최정진 기자 

 

 


  1. 해외 한글학교 지원금 반납, - 반납 학교수도 10배 증가, 지원 시스템 철저하게 정비해서 효과적인 집행해야

      재외동포재단의 해외 한글학교 지원금 중 미처 사용되지 못해 반납된 금액이 4년 만에 8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이석현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 동안갑)이 재외동포재단으로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 26,107달러...
    Date2018.10.09
    Read More
  2. 경남도, 태풍 ‘콩레이’ 해양 쓰레기 처리사업비 긴급 지원

    경남도, 태풍 ‘콩레이’ 해양 쓰레기 처리사업비 긴급 지원 - 남강댐,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도내 해양 쓰레기 550톤 발생 추정 - 남해군 6천만 원, 창원시․거제시 각각 2천만 원 지원   경상남도가 제25호 태풍 ‘콩레이’로 인하여 육지에서 유입된 해양 쓰레...
    Date2018.10.08
    Read More
  3. 전남 여수시, 국내 최대 국가어항 국동항 정비 팔 걷어붙여

    전남 여수시, 국내 최대 국가어항 국동항 정비 팔 걷어붙여 - 4일 문수청사서 간담회하며 유관기관과 정비 공감대 형성 - 여수시(시장 권오봉)가 포화와 무질서 등을 겪고 있는 국동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지난 4일 문수청사 회의실...
    Date2018.10.08
    Read More
  4. 중소기업융합 제주연합회 회원 한마당 가을축제 성황리에 개최

    (사) 중소기업융합 제주연합회(회장 박광열)에서는 제주 연합회 회원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자는 취지로 제주연합회 가을축제를 7앞으로 일 사라봉 다목적체육관에서 개최했다. 융합팀과 교류팀으로 팀을 나누어 다양한 게임을 통해 협동...
    Date2018.10.07
    Read More
  5. ´08년 이후 급락한 농가소득 비율, 10년이 지나도 회복 못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부산 해운대 을)이 통계청의 농가경제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08년 이후 농가소득 비율이 급락한 가운데, 2016년까지도 2007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근로자 대비...
    Date2018.10.07
    Read More
  6. 멈추지 않는 예술인 임금(보수)체불, 최근 5년간 27억 원, 500만원 미만 소액 체불이 전체의 73.2% 가량, 연극(42.9%) 가장 많고, 연예(34.2%)·음악(7.7%) 순

    최근 5년간 예술인 신문고 신고접수 된 사건 656건 중 78.8%(517건)가 임금체불 97건은 권고하기도 전에 체불임금 지급, 이행불능은 19건에 불과해 여건 탓 어려워 서면 계약서 미작성 또는 계약조건 미비로 체불금액 확정 안되는 건도 117건 달해 소액체불 ...
    Date2018.10.07
    Read More
  7. 지난 10년 간, 주한미군 기지 126개소 환경기초조사 결과, 조사대상의 55%인 69개소에서 토양오염물질 검출, 지하수는 조사대상의 19%인 24개소에서 오염물질 검출

      지난 10년 간 환경부가 실시한 주한미군 공여지역 및 주변지역 환경오염 조사결과, 조사대상의 55%에서 토양오염물질이 검출됐다. 또한 지하수 오염은 조사대상의 19%로 나타났다. (126번의 조사 중 토양오염 69번, 지하수 오염 24번 오염물질 검출) 박병석 ...
    Date2018.10.07
    Read More
  8. 제주도, 5대 강력 범죄 발생 건수 최대. 3년 연속 인구 1만명당 가장 많아

    살인, 절도, 폭력 분야 범죄 3년 연속 1위 체감안전도 3년 평균 68.9점으로 전국 꼴지 권미혁 의원 “관광지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치안정책 필요”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행정안전위원회)은 7일,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5대 범죄 발생 건수를 확인...
    Date2018.10.07
    Read More
  9. 이만희 의원, 영천 렛츠런 파크 사업 정상화의 주역

    1-2단계 순차적 투자 통해 세계 최고의 시민공원형 경마장 조성 마사회“영천 렛츠런 파크 완공에만 집중할 뿐 그 어떠한 추가사업 조성 계획도 없음”을 분명히 밝혀...   한국마사회와 경북도, 영천시는 지난 5일(금) 과천시 마사회 본관 대회의실에서 실시설...
    Date2018.10.07
    Read More
  10. 경기도 환경오염물질 배출 꿈도 꾸지 마세요

    경기도 환경오염물질 배출 꿈도 꾸지 마세요 - 광역환경관리사업소 기존 단속팀 3개팀에서 7개팀으로확대 개편 -  경기도는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경기도청 환경안전관리과와 북부청 북부환경안전관리과, 경기도 공단환경관리사업소 등 3곳으로 나눠져 있던 환...
    Date2018.10.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26 227 228 229 230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