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강원도 석회암 지대, 한반도 자생식물 30% 살고 있다

posted Jul 03, 20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립생물자원관, 석회암지대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한반도 고유종 포함, 총 1,280종류의 자생식물 확인

◇ 강계큰물통이, 둥근잎개야광, 민망초 남한지역에서 최초 발견

희귀 북방계식물의 피난처로서 한반도 식물다양성 보전에 매우 중요

한반도의 석회암지대 분포도

포맷변환_03.jpg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상배)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 실시한 강원도 석회암지대에 대한 식물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반도 자생식물의 약 30%에 해당되는 총 1,280종류의 관속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조사된 식물목록에는 동강할미꽃, 복사앵도, 자병취 등 60종의 한반도 고유종과 개병풍, 구름병아리난초, 분홍장구채 등 14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몽고뽕나무, 산분꽃나무, 왜솜다리 등 다수의 희귀 북방계식물이 석회암지대에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강계큰물통이, 둥근잎개야광, 민망초 등을 남한지역에서 최초로 발견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석회암지대에 멸종위기종과 희귀 북방계식물이 다수 분포하는 원인이 토양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석회암지대의 토양은 다량의 칼슘과 탄산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수소이온농도(pH)가 높고, 단립구조가 발달하여 다른 토양보다 쉽게 건조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 단립구조 : 토양을 이루는 입자들이 응집되어 있지 않고 개개로 흩어져 있는 상태


쉽게 건조해지는 토양적 특성으로 인해 식생(植生)의 천이(遷移)가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는 석회암지대는 마지막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식물의 피난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식생의 천이 : 특정 공간의 식물 집단이 시간에 따라 변천해가는 현상


국내의 석회암지대는 강원도 남부에서 충청북도 북부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경상북도(울진, 봉화, 문경, 상주), 전라남도(장성, 화순) 등지에도 일부가 퍼져 있다. 남한면적의 약 10% 정도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퇴적암지역이다. 석회암지대는 희귀 북방계식물의 피난처로서 한반도의 식물다양성 보전에 매우 중요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식물현황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석회암지대 자생 주요 식물

 

가. 개병풍 : 강원도 지역(주로 석회암지대)의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종이며, 세계적으로도 중국의 동북 3성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잎모양이 연잎과 닮아 ‘산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포맷변환_04.jpg

 

나. 분홍장구채 : 국내에서는 경기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만 소수개체가 자라는 북방계 희귀식물이며, 2012년부터 멸종위기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분홍색 꽃이 줄기와 가지끝에서 모여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포맷변환_05.jpg  

 

다. 동강할미꽃 : 2000년도에 강원도 정선군 동강에서 처음 발견된 한반도 고유종으로서 국내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석회암지대에서만 자란다. 할미꽃과 달리 꽃이 땅을 향해서 피지 않고, 옆을 보거나 하늘을 향해 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꽃색은 연한 보라색, 분홍색, 보라색 등 다양하다. 

 

포맷변환_06.jpg

 

라. 복사앵도 : 한반도 고유종이며, 강원도 지역의 석회암지대에서만 발견되는 북방계 희귀식물이다. 국명은 복사나무와 앵도나무의 교잡종을 뜻하며, 꽃은 앵도나무와 비슷하고 열매는 복사(봉숭아)나무와 닮은 것이 특징이다.

 

포맷변환_07.jpg

 

마. 강계큰물통이 : 평안북도 강계(江界)시와 함경남도 삼수(三水)군 지역에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해살이식물이며, 이번 조사에서 강원도 태백시 석회암지대에서 100여개체를 국내(남한) 최초로 확인되었다.

 

포맷변환_08.jpg

 

바. 둥근잎개야광 : 함경북도 무산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북방계희귀식물이며, 이번 조사에서 강원도 삼척시의 석회암지대 2곳에서 생육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울릉도에서 자라는 섬개야광나무(멸종위기 2급)와 비슷하지만 잎끝이 둥글고 털이 많으며 꽃잎이 활짝 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포맷변환_09.jpg

 

사. 몽고뽕나무 : 국내에서는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석회암지대에서만 생육하는 북방계 희귀식물이다. 뽕나무에 비해 열매가 작고 잎가장자리가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포맷변환_10.jpg

 

 

www.newssports25.com
전재표 기자 su1359m@hanmail.net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스포츠닷컴&추적사건25시


  1. 강원도 석회암 지대, 한반도 자생식물 30% 살고 있다

    ◇ 국립생물자원관, 석회암지대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한반도 고유종 포함, 총 1,280종류의 자생식물 확인 ◇ 강계큰물통이, 둥근잎개야광, 민망초 남한지역에서 최초 발견 ◇ 희귀 북방계식물의 피난처로서 한반도 식물다양성 보전에 매우 중요 한반도의 석...
    Date2014.07.03
    Read More
  2. 일본 "집단자위권 행사 가능

    일본 "집단자위권 행사 가능 [권맑은샘 기자/스포츠닷컴] 일본이 자위대 창설 60주년인 1일 집단자위권 행사가 허용된다는 새로운 헌법 해석을 채택하면서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전환했다.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내각은 이날 오후 총리관저에...
    Date2014.07.01
    Read More
  3. 올해 지리산 새끼 반달곰 5마리 출생후 2마리 추가 확인

    전남 구례에 위치한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에서 자연적응훈련 중인 RF-21번이 낳은 새끼곰 2마리 /지리산에서 태어난 새끼 반달곰 모두 7마리로 늘어 지난 2월 울음소리로 출생 확인한 새끼 2마리가 어미곰과 활동하는 모습을 무인카메라로 촬영, 200...
    Date2014.07.01
    Read More
  4. ISIL "칼리프 통치, 이슬람 국가 수립"

    ISIL "칼리프 통치, 이슬람 국가 수립" [권맑은샘 기자/스포츠닷컴] 이라크 수니파 급진 무장단체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가 ‘이슬람 국가’ 수립을 선언했다. 이 국가는 과거 이슬람 국가 최고 통치자 칼리프가 통치하는 것으로 자신들이 지배하고 ...
    Date2014.06.30
    Read More
  5. 고창베리팜, 항산화의 제왕 ‘아로니아’ 생과 구매 예약 실시

    고창베리팜이 아로니아 수확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생과 판매 예약을 실시한다. 아로니아는 아직 국내에서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건강에 좋은 성분이 많아 최근 들어 소비자가 선호하는 고급 베리류로 각광받고 있다. 슈퍼베리로 통하는 아로니아는 최대 생...
    Date2014.06.30
    Read More
  6. 우리의 우수한 공예품 한자리에

    25일 오후 서울 중구 봉래동 문화역서울284에서 지역 공예 상품을 소개하고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2014 공예플랫폼-공예가 맛있다’ 개막행사가 열렸다. 이날 관람객들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이 전시는 6월 25일부터 7월 13일까지 우리의 우수한 공예품...
    Date2014.06.26
    Read More
  7. TNT투어, 마카오 ‘하우스 오브 댄싱 워터’

    TNT투어의 하우스 오브 댄싱 워터 하우스 오브 댄싱 워터(House of Dancing Water) /티엔티투어 TNT투어는 세계 최대의 수중 공연으로 알려진 ‘하우스 오브 댄싱 워터(House of Dancing Water)’의 5주년을 기념하여, 6월 30일까지 예약자에 대해 B석을 기존 TN...
    Date2014.06.24
    Read More
  8. 이라크, 미국에 반군 공습요청

    이라크, 미국에 반군 공습요청 [권맑은샘 기자/스포츠닷컴] 이라크가 미국에 이슬람 수니파 반군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에 대한 공습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중인 호시야르 제바리 이라크 외무장관은 ...
    Date2014.06.19
    Read More
  9. 에볼라 바이러스, 337명 사망

    에볼라 바이러스, 337명 사망 [권맑은샘 기자/스포츠닷컴] 기니와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등 아프리카 서부 3개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돼 숨진 사람이 337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세계보건기구(WHO)는 "1976년 콩고민주공화국 지역에서 에...
    Date2014.06.19
    Read More
  10. ‘천백 년 역사 예산! 황새를 품다‘

    천연기념물 ‘황새’ 60마리, 예산황새공원 이전 - 6.18.(수) 오후 2시 30분 / ‘황새 귀향’ 행사 개최 - 예산군이 ‘천백 년 역사 예산! 황새를 품다‘라는 표어로 황새의 귀향을 축하하고, 황새의 성공적 야생 복귀를 기원할 예정이다. 이번에 이전하는 개체는 ...
    Date2014.06.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2 443 444 445 446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