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라남도, 갯벌자원 짱뚱어 15만 마리 방류

- 해양수산과학원, 갯벌 생태 복원수산자원 조성 기대 -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원장 오광남)은 갯벌 수산자원 증가와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30일 보성 벌교 호산해역에서 어업인을 초청, 건강한 어린 짱뚱어 15만 마리를 방류했다.


8a9eeace8c0f67f2e8adfa55563a60c4_1564491448_7281.jpg
 


짱뚱어는 순천, 보성, 강진, 해남, 신안 등 갯벌에 서식하는 어종이다.


낚시, 맨손어업으로 연간 약 10억 원(25t)의 소득을 올리고 있으나 최근 개체 수가 줄어 ‘갯벌의 소고기’라 불릴 만큼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여름철 보양음식으로 각광받는 짱뚱어는 주로 탕, 구이, 전골로 많이 요리되면서 미식가들로부터 인기가 높다.


타우린·게르마늄·마그네슘 등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해 항산화 작용과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날 방류한 어린 짱뚱어는 지난 5~6월 벌교 갯벌에서 성숙한 어미를 포획, 성숙 유도, 인공부화 등 종자 생산 과정을 통해 약 60일간 관리한 1.5㎝ 이상 크기의 우량 개체다.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은 청정 남도갯벌 생태계 보전과 자원 회복,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2011년 짱뚱어 인공 종자 생산 기술 개발에 성공, 지금까지 보성장흥지역에 27만 8천 마리를 방류했다.


오광남 원장은 “전국 갯벌의 42%를 차지하는 전남 갯벌의 효율적 보전과 이용을 위해 짱뚱어를 포함한 지역 특산품종 방류량을 확대하고, 더 나아가 다양한 갯벌생물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어업인 소득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스포츠닷컴 이기장 기자


  1. 전남 무안군 운남면 새마을협의회·부녀회, 해양쓰레기 수거에 구슬땀

  2. 제주도교육청, IB본부와 한국어 IB 협력각서(MOC) 체결!

  3. 전라남도, 섬오지에 드론으로 공공부문 물류서비스

  4. 전남 무안군, 국가 6대 암 검진 홍보

  5. 전남 ‘여수시 소제지구를 스마트시티 시범지구로?’

  6. 전라남도, 갯벌자원 짱뚱어 15만 마리 방류

  7. 충청북도,‘2019 바이오 페스티벌’사전등록 오픈!!

  8. 경상북도, 경주 보문관광단지 활성화 청신호

  9. 전남 여수시, 휴가철 비브리오 패혈증 주의 당부

  10.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저지 활동 전개

  11. 강원도, 전국 최초 1인 자영업자 사회보험료 70% 지원!

  12. 충청남도, ‘군문화엑스포’ 지원체제 본격 가동

  13. 경남도, ASEAN 3개국 대상 단체관광객 유치 성과 가시화

  14. 김영록 전남도지사, 영광 녹색농촌체험마을서 민박간담회

  15. 경남도, 동남권 광역교통망 구상 논의 위한 간담회 열려

  16. 전남 여수시, 공유토지 분할 실적 ‘전남도 최고’

  17. 전남 무안, ‘제23회 무안연꽃축제’개막

  18. 전라남도, 천일염 산업 활성화 팔 걷어

  19. 경남도, ‘2020 함양산삼항노화엑스포’ 성공 개최 위해 영호남 손잡아

  20. 전남 여수시, 하반기 시민외국어 교육 수강생 추가 모집

  21. 전남 무안군 양파 사주기 운동 광주은행 동참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35 Next
/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