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 압력

posted Jun 07,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압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우 적극적으로 미 연방수사국(FBI)'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막으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미국 국가정보국(DNI)의 댄 코츠 국장에게 FBI 수사에 개입할 것을 요청했다고 6(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을 요청한 정보기관 고위 관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22일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코츠 국장과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방을 나갈 것을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코미 국장과 FBI 수사에 대한 불만을 털어놨다. 코미 국장은 브리핑 이틀 전인 20일 하원 정보위원회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선 캠프와 러시아 정부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힌 상태였다.


ighe.jpg

 

트럼프 대통령은 코츠 국장에게 FBI가 벌이고 있는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 수사에 개입할 것을 지시했다. 플린 전 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전부터 러시아 관료들과 접촉한 사실이 드러나 2월 사임한 대통령의 최측근이다. 코츠 국장은 이후 이를 DNI 관료들과 논의했으나 대통령의 요청대로 FBI 수사에 개입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뒤 코츠 국장에게 다시 한 번 개입을 요청했다. "러시아 스캔들과 관련해 어떠한 증거도 없다"DNI의 공식 성명 발표를 요구한 것이다. 코츠 국장은 다시 한 번 요청을 거절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마이크 로저스 국가안보국(NSA) 국장에게도 비슷한 접근을 취했다고 전했다. "증거가 없다"고 공표해 달라는 것이다. 로저스 국장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DNI 측은 이와 관련해 대통령의 요청과 관련한 대답을 거절했다. 다만 대변인 성명을 통해 "코츠 국장은 대통령 또는 행정부의 누구로부터 진행 중인 수사나 정보 문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압박을 느끼지 않았다"고만 밝혔다. CIA와 백악관은 아직까지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WP는 정보기관 수장들의 개입을 요청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이 '정치와 정보기관을 분리하는 전통'을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뉴욕의 억만장자인 스티븐 페인버그를 정보기관 관리·감독하는 역할에 임명하자는 백악관의 아이디어 역시 정보기관을 압박하려는 시도였다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코미 국장을 전격 해임했다. 지난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의 이메일 수사 과정에서 FBI의 신뢰를 떨어뜨렸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코미 전 국장이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강화하면서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미 전 국장은 마침 오는 8일 상원 정보위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을 할 예정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코츠 국장도 7일 열리는 청문회에 출석해 러시아 스캔들과 관련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한다. 이 청문회에서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 내용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스포츠닷컴 국제팀

 

 



  1. 중부전선, 북한군 1명 귀순

    중부전선, 북한군 1명 귀순 경기도 최전방 지역 중부전선에서 13일 북한군 병사 1명이 우리 군으로 귀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오후 7시 50분께 중부전선에서 북한군 1명이 아군 GP(소초)로 귀순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은 귀순자의 신병을 확보해 ...
    Date2017.06.13
    Read More
  2.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 압력

    트럼프 '러 수사' 방해, “FBI에 개입하라” 압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우 적극적으로 미 연방수사국(FBI)의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막으려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미국 국가정보국(DNI)의 댄 코츠 국...
    Date2017.06.07
    Read More
  3. IS, "런던브리지 테러, 독자행동 아닌 조직작전" 거듭 주장

    IS, "런던브리지 테러, 독자행동 아닌 조직작전" 거듭 주장 수니파 극단주의조직 '이슬람국가'(IS)가 이달 5일 발생한 런던 브리지 테러가 추종자의 독자 행동이 아니라 조직의 작전수행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IS는 공식 선전매체 알바얀 라디오를 통해 런던브...
    Date2017.06.05
    Read More
  4. 북한, 대북 인도지원단체 방북 거부

    북한, 대북 인도지원단체 방북 거부 북한은 5일 유엔의 대북제재와 이에 대한 우리 정부 태도를 이유로 대북 인도지원단체의 방북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민간단체들이 추진해 온 남북 교류 재개가 시작부터 난관에 부닥치게 됐다. 대북지...
    Date2017.06.05
    Read More
  5. ‘2017 충남 다가족 다문화 어울림 대축제’ 개최

    ‘2017 충남 다가족 다문화 어울림 대축제’ 개최 충남도는 20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5월 가정의 달 및 제10주년 세계인의 날 기념 ‘2017 충남 다(多)가족 다(多)문화 어울림 대축제’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 근로자 등 1200여 명이 참가한...
    Date2017.06.02
    Read More
  6. 미 정부, 대북 강력 독자제재 발표

    미 정부, 대북 강력 독자제재 발표 미국 정부는 1일(현지시간) 미사일과 핵 위협 도발을 멈추지 않는 북한에 대해 초강력 추가 독자제재에 나섰다. 미 재무부는 이날 북한의 개인 4명과 단체 10곳에 대한 독자제재를 전격으로 발표했다. 올해 들어 2번째인데 ...
    Date2017.06.02
    Read More
  7. 파리기후협정, 트럼프 몽니 부리자 중국 발빠르게 나서

    파리기후협정, 트럼프 몽니 부리자 중국 발빠르게 나서 파리기후협정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몽니로 삐걱거리자 중국이 기후변화 어젠다를 차지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자유무역에 이어 파리협정이라는 글로벌 어젠다를 끌어안으면서 국제...
    Date2017.06.02
    Read More
  8. 청와대, 사드조사-한민구, 김관진 넘어 조사대상 전방위 확대 중

    청와대, 사드조사-한민구, 김관진 넘어 조사대상 전방위 확대 중 사드 발사대 4기 비공개 반입에 대한 청와대의 진상조사가 전광석화로 진행되면서 조사대상이 어디까지 확대될지도 주목되고 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지 하루만인 지난달 3...
    Date2017.06.01
    Read More
  9. 앙겔라 메르켈, "미국에 의지하던 시대 끝났다"

    앙겔라 메르켈, "미국에 의지하던 시대 끝났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8일(현지시간) 뮌헨에서 열린 정당 행사에서 "지난 며칠 동안의 경험을 볼 때 다른 누군가에게 온전히 의지할 수 있는 시대는 지난 것 같다."고 말했다.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
    Date2017.05.30
    Read More
  10. 프랑스, 러시아, 북핵 대응 협력

    프랑스, 러시아, 북핵 대응 협력 프랑스를 방문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양국의 정치 경제와 문화 협력뿐 아니라 한반도 긴장과 우크라이나, 시리아, 리비아 사태 등 폭넓은 주제를 논의했다. 이번 양국 정상...
    Date2017.05.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1 282 283 284 285 ... 585 Next
/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