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전국에 765㎸ 송전탑 902기…유해성 두고 논란

posted Sep 21, 20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밀양=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765㎸ 고압 송전탑이 전국에 900기 넘게 설치된 가운데 송전탑의 유해성을 두고 한전과 반대단체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765㎸ 송전탑은 한국전력공사와 경남 밀양 주민들이 건설 문제로 장기간 갈등을 겪는 송전탑과 같은 종류다.

 

21일 한전에 따르면 765㎸ 송전설비는 당진화력, 신서산, 신태백, 신울진, 신가평 등 5개 선로, 457.3㎞에 걸쳐 있다.

 

765㎸ 송전탑은 현재 모두 902기가 가동되고 있다.

 

선로별로는 신태백(317기), 신서산(259기), 신가평(154기), 당진화력(90기), 신울진(82기) 순으로 많다.

 

행정구역별로 보면 강원도에 가장 많은 333기가 있다.

 

충남(265기), 경기(252기), 충북(35기), 경북(17기)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송전탑들의 인체·가축 유해성 여부를 두고 송전탑 반대단체와 한전 간에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밀양 765㎸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를 포함한 전국 송전탑 반대 네트워크는 지난 4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765㎸ 송전선로 답사 보고대회'에서 송전탑이 들어선 지역 주민들의 영상 진술을 통해 사람의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송전탑 주변에 사는 적잖은 사람이 암으로 잇따라 숨져 송전탑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송전탑 아래에서 사육하는 돼지와 소가 유산하는 등 가축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했다.

 

횡성군의 한 마을에서는 어미 소와 돼지들이 유산해 사육 농가가 줄지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반대단체는 주장했다.

 

또 송전탑과 송전선로의 지속적인 소음으로 두통이 발생하고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한전은 "송전탑 반대 네트워크가 어떤 경로로 답사했는지 모르겠지만 765㎸ 송전선로가 지나는 지역에서 주민 민원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전은 특히 송전선로 주변에서 암 환자와 가축 피해가 발생했다는 주장은 전혀 근거 없는 소문이라고 일축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전자계 장기 노출 때 암이 진전된다는 생체 작용은 밝혀지지 않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한전은 설명했다.

 

전자파에 민감한 꿀벌도 송전탑에 집을 짓고 서식하는 모습이 발견됐으며, 송전선로와 변전소 주변 주민들이 건강하게 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논란 속에 한전과 밀양 주민 간 갈등 사태가 어떻게 해결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ym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2013/09/21 08:07 송고


  1. 한강하구 軍 철책 제거 또 미뤄져…빨라야 2016년

    (고양·김포=연합뉴스) 김창선 우영식 기자 = 한강하구 군부대 철책 제거가 또 미뤄진다. 2011년 말이면 한강하구가 반세기만에 국민 품으로 돌아올 것으로 기대됐지만 수차례 연기돼 빨라야 2016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김포시는 철책을 대신해 군부대 경계...
    Date2013.09.22
    Read More
  2. 전국에 765㎸ 송전탑 902기…유해성 두고 논란

    (밀양=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765㎸ 고압 송전탑이 전국에 900기 넘게 설치된 가운데 송전탑의 유해성을 두고 한전과 반대단체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765㎸ 송전탑은 한국전력공사와 경남 밀양 주민들이 건설 문제로 장기간 갈등을 겪는 송전탑과...
    Date2013.09.21
    Read More
  3. 공산성에 이어 홍주성도 배불림 현상…붕괴 '우려'

    여하정 인근 100여m 구간…'보수·정비 시급' (홍성=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천년 홍주'를 대표하는 유적지인 충남 홍성 홍주성 일부에서 배불림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폭우가 내리면서 붕괴된 공주 공산성처럼 홍주성도 자칫 붕괴될 ...
    Date2013.09.20
    Read More
  4. 입주물량 많은 부산, 전세대란 '무풍지대'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 부산지역 전세시장이 '전세 대란'을 빚고 있는 수도권과는 대조적으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산은 부동산 활황기가 수도권에 비해 3년가량 늦은 2009∼2010년까지로, 당시 분양 물량이 최근 입주를 시작하면서 공급 과잉을...
    Date2013.09.19
    Read More
  5. 추석명절 '살기 힘들다' 50대 유서 남기고 권총 자살(종합2보)

    치매 90대 부친도 같은 날 숨져…경찰 지병으로 인한 자연사 추정 중학생 딸 홀로 남아 안타까워…수년전 돈벌러 나간 오빠 소식 끊겨 (고양=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추석연휴 첫날 3대가 모여 사는 가정에서 할아버지, 아버지가 한날 세상을 떠나고 중학생인 ...
    Date2013.09.18
    Read More
  6. 귀성전쟁 시작

    (성남=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추석 연휴가 시작된 17일 오후 성남시 궁내동 서울 톨게이트 인근 고속도로가 귀성 차량들로 가득하다. 2013.9.17 hama@yna.co.kr (끝)/신준희 kirin@yna.co.kr 2013-09-17 12:33 송고
    Date2013.09.17
    Read More
  7. 제주 특산 백년초로 만든 빵과 김치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13일 제주시 한림읍에 있는 제주도농업기술원 서부농업기술센터에서 '2013 제주 특산물 백년초 체험 페스티벌'이 열린 가운데 부녀회원들이 백년초로 만든 빵과 김치 등을 들어 보이고 있다. 2013.9.13. khc@yna.co.kr (끝)/김...
    Date2013.09.15
    Read More
  8. 한전 "밀양 송전탑 마을 절반 보상안에 합의"

    송전탑 건설 반대 현수막들 경남 밀양경찰서 옆 도롯가에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현수막들이 나붙어 있다. 그 옆에는 찬성 현수막들이 나란히 걸려 있다.<<연합뉴스 DB>> 반대 대책위 "주민 다수는 보상 거부, 합의하지 않아" (밀양=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Date2013.09.15
    Read More
  9. 경기도교육청도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정밀 검토'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논란을 빚고 있는 교학사의 한국사 교과서와 관련해 경기도교육청이 정밀 검토작업에 착수했다. 14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역사전공 교사와 전문직 등으로 구성된 3개팀이 최근 문제가 된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으...
    Date2013.09.14
    Read More
  10. CM&G부산연합세미나 개최-경제를 살린다!

    [부산 = 김현아 기자/스포츠닷컴] <사진= CM&G 김선호 회장> 소비자와 제조자가 만드는 글로벌 기업 생활용품 600여가지 출시예정 14일 오후2시부터 부산시 동구 소재 부산일보10층 대강당에서 CM&G부산연합세미나가 개최됐다. CM&G제조회사 김선...
    Date2013.09.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 295 Next
/ 295